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활용
반사
끝바꿈
어미변화
대기차
어형 변화
뉴스
김민경 GIST 교수, 한국인 최초 ‘나노포토닉스 신진연구자상’ 수상
동아사이언스
l
2025.06.19
취득한 후 나노광학 전반에 걸쳐 활발한 연구를 이어 오고 있다. 특히 빛의 반사나
굴절
과정에서 발생하는 미세한 방향성 광현상인 ‘광스핀홀 효과’와 외부 환경에도 강인한 ‘빛의 위상학적 특성’을 포함한 주제로 실험 연구를 선도했다는 평가를 받는다. 김 교수는 지금까지 나노포토닉스를 ... ...
머리카락 1만분의 1 굵기 렌즈 '투명 방탄복' 입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6.19
눈에 보이는 빛(635nm 파장대)의 97.2%를 손실 없이 원하는 방향으로 보낼 수 있을 정도의
굴절
률이다. 보호막이 렌즈를 감싸고 있어도 빛을 거의 완벽하게 조절할 수 있다는 의미다. 연구팀이 개발한 보호막은 메타렌즈의 내구성도 향상시켰다. 모래에 메타렌즈를 넣고 초음파로 두 시간 동안 ... ...
지구 자기장과 산소는 5억4000만년간 '공동 운명체'
동아사이언스
l
2025.06.15
지구의 자기장은 태양풍의 유해한 입자들이 지구로 유입되지 않도록 태양풍 흐름을
굴절
시키고 지구에 있는 산소 등이 우주로 빠져나가지 못하도록 보호하는 효과가 있다. 자기장 세기가 강해지면서 지구 산소 농도가 높아지고 생명체가 탄생할 수 있는 환경이 갖춰졌을 가능성이 있다는 ... ...
싱크홀 부르는 도로 균열, 미래엔 '혼자' 치유한다
과학동아
l
2025.06.14
후면 아래에 부착된 전자기파 장비로 지하를 연속해서 훑었다. GPR은 매질에 따른 전파의
굴절
과 변화를 통해 싱크홀의 잠재 원인이 될 수 있는 지하의 빈 공간(공동)을 발견한다. 흙을 통과하던 전파가 공동을 만나면 흙과 공동 속 공기의 매질 차이에 의해 전파의 강도와 극성 등이 변하는 원리를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강석기의 과학카페] 옥시토신은 어쩌다 사랑의 호르몬 됐나
2024.05.16
제공 바소프레신과 옥시토신은 진화생물학 용어로
굴절
적응(exaptation)의 예다.
굴절
적응은 이미 존재하는 물질이나 회로를 다른 목적으로 이용하는 현상을 가리킨다. - 래리 영 & 브라이언 알렉산더, '끌림의 과학'에서 계절의 여왕이라고 불리는 5월에 어울리는 꽃은? 이런 질문을 받으면 많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빛을 향하는 식물 '굴광성'의 비밀
2023.12.13
세기의 감소 기울기가 가파르다. 반면 파란빛이 변이체 식물체의 하배축을 지나갈 때는
굴절
률이 1.42(세포벽) → 1.33(세포질) → 1.42(세포벽) → 1.33(세포 사이 액체) → 1.42(세포벽) → 1.33(세포질) → 1.42(세포벽) → 1.33(세포 사이 액체) 식으로 바뀌어 빛이 별로 흩어지지 않는다. 그 결과 하배축 반대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고대 백내장 수술로 시작된 안과 수술
2023.12.03
어느 정도 유지되어야 한다. 얇은 각막을 가진 이들에게 시력교정이 필요한 경우에는 광
굴절
각막절제술(Photorefractive keratectomy, PRK)을 실시한다. PRK 수술은 시력 이상이 있는 생긴 분들의 시력을 교정할 수 있는 좋은 방법이며 얇은 각막을 가진 이들에게도 적용 가능하다. 또 회복 시간이 짧아서 일상 ... ...
[과기원NOW] KAIST, 휴대용 3차원 구강 스캐닝 카메라 개발 外
동아사이언스
l
2023.09.07
스캐닝에 적합한 휴대형 라이트필드 카메라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6일 밝혔다. 저
굴절
률의 고분자 코팅을 통해 마이크로렌즈의 초점거리를 향상한 것이 핵심이다. 이 렌즈를 장착해 제작된 라이트필드 카메라는 피사계 심도가 높았다. 손떨림에도 둔감하고 한 번 촬영으로 더 많은 3차원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배달시작 ⎪ 전격공개! 로봇이 바라본 세상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3호
라이다는 주변을 자세하게 매핑할 수 있지만 비용이 많이 들고 눈이나 비가 내리면 빛이
굴절
되어 정보에 오류가 생겨요. 레이더는 라디오 전파를 쏘면서 주변 사물을 감지합니다. 레이더는 라이더보다 저렴하고 환경이나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지만, 라이다에 비해 간략한 정보만 탐지할 수 ... ...
[독자기고] 동그란 무지개의 비밀
과학동아
l
2024년 01호
현상은 일반적인 무지개와는 몇 가지 차이점이 있습니다. 일반적인 무지개의 경우 빛을
굴절
시킬 물방울 외에 무지개가 비쳐 보일 곳이 꼭 필요하지는 않지만, 브로켄 현상은 구름과 같은 곳에 빛이 비쳐야만 보입니다. 또 다른 점이 있다면 일반적인 무지개는 속이 빈 도넛을 반으로 자른 모양인 ... ...
[스미스의 탐구생활] 생명과학자에 도전! 디스커버리 현미경 세트와 3D 야광 인체 모형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8호
모형’으로 호기심을 풀어보세요! 현미경은 작은 물체를 확대해 보는 도구예요. 빛을
굴절
시켜 물체를 확대해 주는 렌즈가 달려 있죠. 덕분에 크기가 작은 미생물이나 머리카락, 식물의 잎 구조 등 맨눈으로 보기 힘든 것들을 현미경으로 자세히 관찰할 수 있지요. 3D 야광 인체 모형에는 근육과 뼈, ... ...
[질문하면 답해ZOOM] 시력은 좋아질 수 없나요?
어린이과학동아
l
2023년 14호
두께를 정확하게 조절하지 못하면 망막에 초점이 정확히 맺히지 못해 근(원)시● 같은
굴절
이상이 나타나며 시력이 떨어지게 됩니다. 시력은 언제 완성될까요? 시력은 아기가 엄마의 뱃속에 있을 때부터 발달하기 시작해 만 10~13세까지 발달합니다. 신생아는 시각을 담당하는 뇌 영역이 아직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어린이 과학동아 500호]나도 이제 해리포터?!
기사
l
20250629
투명망토가 개발되어 일상에 사용되고 있습니다. 투명망토는 처음 2012년 물체의 모양이 변하더라도 자동으로 빛의
굴절
률을 조절하는 '스마트 메타 물질'을 개발하였습니다. 그리고 2015년 가시광선 영역에서는 처음으로 물체가 사라지는 '나노 안테나 투명망토가 공개되었다. 그러나 이제는 투명망토는 아주 흔히 비상용에 사용하는 투명망토가 되었습니다. ...
[우주기자단] 텔레픽스 함선정 이사님의 강연을 듣고
기사
l
20250528
중력렌즈 현상을 관측한 적도 있는데요, 중력렌즈란 뭘까요? 쉽게 말해 중력 때문에 빛이
굴절
되어 천체가 여러 개로 보이거나 빛이
굴절
되어 보이는 것입니다. >> 제임스 웹 딥 필드(James Webb Deep Field)에서 중력렌즈 효과가 관측된 것을 볼 수 있다. 이미지 중앙의 밝은 천체 주변의 붉은 곡선 형태의 천체들이 보인다 ...
옷에 물이 젖으면 왜 색이 어두워 질까?
기사
l
20250216
물을 흡수한 원단을 현미경으로 보면 물이 투명하므로 달라진 것을 확인하긴 어렵습니다. 하지만 분명 물의 층이 생겼을 것이고 빛의
굴절
이 달라졌을 겁니다. 원단만 있었을 때는 난반사를 했을 텐데 물의 층이 생기면서 반사하는 정도가 약해집니다. 그래서 주변보다 색이 짙어지는 겁니다 옷 뿐만 아니라 물을 흡수하는 모든 물체가 그렇습니다. 이런 원리 ...
드림렌즈, 내 눈을 지켜 줘! (1)
기사
l
20240505
맺히지 않아 생기는 것인데요, 이런 것을 막고 늦춰 주기 위해 드림렌즈를 착용합니다. 우리가 자는 동안 드림렌즈가 각막을 정상적인
굴절
상태로 복원하면서 다음 날 잘 보이게 됩니다. 하지만 드림렌즈를 꼈다고 해서 바로 잘 보이는 것이 아닙니다. 적어도 일주일은 지나야 서서히 변화가 나타나기 시작합니다. 저는 왼쪽 눈이 0.6, 오른쪽 눈이 ...
지구에 일어나는 신기한 현상
기사
l
20240302
이 현상은 대기 중에 있는 구름 속 얼음결정이 태양광에
굴절
해 발생하는 대기 광학현상이예요. 파이어 토네이도는 화재로 갑자기 뜨거워진 공기와 불꽃이 뒤섞이면서 마치 토네이도처럼 솟구쳐 '불 회오리'를 만들어내는 현상이다. 모닝글로리 구름은 '특별한 환경'에 수분 함량이 다른 두 개의 공기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