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 3년의 사투, 코로나19 팬데믹수학동아 l2024년 04호
- 활동을 유지할 수 있는 감염 취약, 노출, 감염, 회복 그룹에 주목했다. 이 그룹을 재택근무나 격리 같은 거리 두기 상황에서도 높은 생산성을 유지하는 노동자와 낮은 생산성을 보이는 노동자로 다시 나눴다. 연구팀은 76주의 기간과 3억 3,000만 명의 인구를 가정한 다음, 강도 높은 거리 두기 정책을 ... ...
- “문제를 해결하는 법과 제도로 국민들이 정치효능감 느낄 수 있게”_이해민과학동아 l2024년 04호
- 영입했다. 구글코리아를 거쳐 미국 구글 본사까지, 글로벌 IT 기업에서 총 15년 넘게 근무한 IT 전문가는 당의 과학과기술특별위원회 위원장 자리를 맡았다. 3월 7일 만난 이 위원장은 “구글에서 상품과 서비스를 만드는 일과, 국회에서 법과 제도를 만드는 것은 똑 닮아있다”고 말했다. Q 글로벌 IT ... ...
- [논문탐독] 모든 물질의 출발점에 다가서는 입자 생성 매커니즘과학동아 l2024년 04호
- 물리학과 대학원에서 박사 학위를 받았다. 독일 하이델베르크대에서 박사후연구원으로 근무 중이다. 앨리스 실험에서 검출기 시뮬레이션과 맵시 쿼크를 포함한 입자들을 연구하고 있다. seo@physi.uni-heidelberg ... ...
- [특집] 소셜 미디어가 설계한 중독과학동아 l2024년 03호
- Computational Design) 박사학위를 받았다. 이후 실리콘밸리에서 UX 디자인 리서처로 근무했다. 주 연구 분야는 UX, HCI, 행동 변화를 위한 디자인 등이며 현재 한국연구재단의 지원을 받아 사용자를 유인하고 현혹하는 UX 디자인에 관한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저서로 ‘디자인 트랩’이 있다. ryun@hongik.ac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 [우주기자단] It's PARTY TIME! 제2회 어린이 우주인 선발대회!기사 l20250915
- 이번 면접에는 친근한 얼굴이 많아서 편안했습니다. 나라스페이스 박재필 대표님, 우주항공청 현성윤 과장님, 그리고 NASA에서 오래 근무 하신 김현대 부문장님 모두 몇 번 뵌 적이 있어 작년처럼 떨리지 않았습니다. 내년에 우주기자단 3기를 도전하실 분들께서는 이 글을 참고하셔도 좋을 것 같습니다. 왜냐하면, 2기에서의 팁을 적어드릴 것이기 때문 ...
- [현장 미션] 보령에서 만난 약의 과학, 미래의 가능성!기사 l20250820
- 점심식사 처음 해보는 구내식당 단체 식사이다 보니, 정말 신기했어요!메뉴도 좋고~ 음료수까지 나와서 보령제약 신공장에서 근무하시는 분들은 좋을거 같다는 생각이 들었어요. 아이스크림도 있어서 함께 맛있게 냠냠 먹고 다음 현장탐장투어를 준비했답니다. 그리고, 이번 미션에선 HIS라고 적혀있는 검정색 단체티셔츠를 나눠주셔서~ 이렇게 입고 있으니 ...
- [우주 기자단 현장미션] 우리나라의 항공우주 기술, 그것이 알고 싶다!기사 l20250503
- 우리의 항공우주 기술을 개발하기 위해 만든 출연 연구원,즉 정부에서 돈을 지원해주는 연구원입니다. 항우연에서는 1300명 정도가 근무하고 있고, 대부분이 항공기, 인공위성, 그리고 누리호와 같은 우주 발사체를 개발하는 연구원들이 모여 일을 하는 중입니다. 저희는 그중 이곳에서는 한국항공우주연구원의 홍보실장인 이성민 연구원께서 전시품 ...
- 과학기술대전에 다녀오다!기사 l20250502
- 성층권 무인기 EAV-4와 아리랑 7호,달탐사선 다누리호와 누리호에 대해 알아봤습니다 항우연은 1989에 설립 되 지금까지 많은 사람이 근무하고 있습니다. 첫 번째는 태양광 성층권 무인기 EAV-4입니다. 태양광 성층권 무인기의 날개는 무려 30미터의 길이지만 무게는 크기에 비해 가볍습니다.성층권은 기온이 영하까지 내려가 일반 건전지를 사 ...
- 우주 탐사의 개척자, 항우연을 다녀오다.기사 l20250427
- 많았는데요. 저는 항공우주연구원(항우연) 부스에 관한 기사를 쓰려고 합니다. 항우연은 1989년에 설립되었고 현재는 1300명 정도가 근무하고 있다고 합니다. 항우연이 하는 일은 항공기 개발, 인공위성 개발, 우주발사체 개발등이 있다고 합니다. 항우연 부스는 야외부스와 실내 부스로 두 군데서 진행되고 있었는데요.. 실내 부스에서는 성층권 태양과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