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 [이슈 속 과학기술] 실종 비행기 어떻게 찾을까KOITA l2015.01.14
- 1000㎞ 정도의 거리까지 떨어져 있는 항공기를 대부분 잡아낸다. 더구나 항공기는 동체가 크기 때문에 소형기나 전투기에 비해 레이더에 매우 잘 탐지되는 편이다. 하지만 각 언론매체에선 이번 사고를 ‘항공기 실종’이라고 보도했는데, 그 이유는 관제시스템의 한계 때문이다. 레이더는 비행기의 ... ...
- 비행기 사고 서바이벌 가이드동아사이언스 l2014.07.11
- 비행기가 충돌하는 과정을 상세하게 보여준다. 먼저 비행기의 앞바퀴가 부러지면서 동체가 충격을 받아 조종사와 가장 앞쪽 승객이 탄 부분이 통째로 뜯겨 나간다. 수집한 데이터를 분석하니 가장 앞쪽의 더미(충돌실험용 인형)가 받는 힘은 12G(중력, Gravity)에 달했다. 날개 부근에 탄 더미는 8G, 꼬리 ... ...
- 세계에서 가장 빠른 비운의 여객기, 콩코드KISTI l2013.12.10
- 여객기의 개발은 멈추지 않고 계속됐다. 1919년에는 독일이 최초로 금속을 이용해 동체를 제작하면서 더 많은 사람을 실어 나르는 일이 가능해졌다. 영국, 프랑스, 미국, 러시아도 이에 질세라 더 크고 더 무거운 비행기 개발에 힘을 쏟았다. 그중 가장 빠른 속도로 발전을 이뤄낸 나라는 미국이었다. 1 ... ...
- 조종사의 손보다 위대했던 컴퓨터KOITA l2013.07.30
- 출력을 개선하고, 셀 수 없을 만큼 많은 실험을 거듭해서 주날개의 형상을 디자인하고, 동체를 가볍게 하느라 온갖 소재를 적용했다. 이러한 노력의 결과, 요즘의 민항기나 훈련기들은 일부러 실속에 빠뜨리기도 어려울 정도로 비행안정성이 높아졌다. 그러나 전투기는 사정이 다르다. 곡예에 가까운 ... ...
스페셜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 대한민국의 5대 참사(1)기사 l20251104
- 높이를 맞춘 로컬라이저 설치를 위해 토성처럼 둔덕을 쌓고 그 위에 콘크리트 기초를 만들고 안테나를 박았는데, 사고 기체가 동체 착륙하던 도중 토성같은 흙둔덕과 그 둔덕 위에 얹힌 콘크리트 기초에 충돌하는 바람에 폭발한 것이, 참사의 결정적인 원인 중 하나로 지목되었기 때문입니다. 일반적인 로컬라이저의 설계와는 동떨어지게 지은 것이 대형 인명사고 ...
- [우주기자단 현장미션] 사천 에비에이션 센터를 다녀왔어요!기사 l20250831
- 보았습니다. 또한, 수리온과 LAH 헬기는 아직 완성되지 않고 앞 동체와 뒤 동체로 나누어져 있는 것을 볼 수 있었습니다. 수리온 중앙 동체와 수리온 FASS도 볼 수 있었고, 여러 가지 목적을 가진 헬기 모형도 많이 보았습니다. 수리온 모형, 임무 전용 헬기 모형, 상륙 기동 헬기 모형, 소방 헬기 모형, 경찰청 헬기 ...
- 우주기자단 현장미션 - [GIST 행성탐사연구소] 를 다녀와서!!기사 l20250721
- 카르만라인(상공 100Km)부터 시작된다는 설명으로 시작된 강연은 흥미진진했습니다. 로켓의 구조에 대한 설명이 이어졌는데, 로켓은 동체와 엔진, 탑재체만 있으면 되는데 그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은 당연히 엔진입니다. 엔진은 풍선에 공기를 넣었다가 공기가 빠지면서 날아가는 작용 반작용의 원리이기 때문에 오늘 일정중 함께 만들어 볼 에어로켓로 그러 ...
- GPERI와 함께 지구 바깥으로의 여행!기사 l20250714
- 요소] 로켓은 크게 세 가지로 이루어져 있습니다. 1. 엔진: 추진력 제공 2. 탑재체(페이로드): 목적을 가진 장비나 물체 3. 동체: 엔진과 탑재체를 연결하는 구조물 더 멋진 로켓을 만들기 위해 GPERI는 제어 기술도 개발하고 있습니다. 현재는 원하는 방향으로 로켓을 보내기 위한 GSLV-II를 개발 중이라고 합니다. ...
- [우주기자단] 우주로 가는 꿈에 대해 배우다.기사 l20250712
- 직접 에어 로켓을 만드는 시간이 왔습니다. 1인당 1개씩 나눠 주신 에어 로켓은 비록 우주에 갈 수는 없었지만 로켓의 모든 요소(추진, 동체, 소프트웨어, 지상시스템)를 지니고 있었습니다. 완성의 시간을 기다리며 열심히 만들었습니다. >> 완성한 에어 로켓을 날리러 잔디밭으로 나왔습니다. / 가족이 촬영 >> 제가 에어 로켓을 날리는 영상입니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