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사자
라이온
뉴스
사자와 싸운 로마 시대 검투사 '진짜였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4.24
로마에 있는 콜로세움 내부 전경. 과거 로마 제국 시절 검투사들이 다른 검투사나
맹수
와 전투하는 경기장이었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연구팀은 "로마 제국 시대 유럽에서 사람과 동물 사이의 전투를 직접적으로 보여주는 첫 물리적 증거"라며 "이런 '스포츠 행사'가 로마 본토를 넘어 널리 퍼져 ... ...
인류 조상이 만든 가장 오래된 동물 뼈 도구…150만년 전 사용
동아사이언스
l
2025.03.06
방식으로 뼈 도구를 만들었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수십만년 동안 초기 인류는 대형
맹수
나 맹금류 등을 위험 요소 또는 먹이 경쟁자로 인식했다. 드 라 토레 교수는 "이번 발견은 아슐리안 문화에서 인류가 이미 동물을 위험요소, 경쟁자, 단순 식재료가 아닌 도구 생산 원료의 원천으로 생각했다는 ... ...
"4만8천년 전 동굴사자 갈비뼈에 구멍…네안데르탈인 사냥 증거"
연합뉴스
l
2023.10.13
네안데르탈인이 나무 창으로 이 동물을 죽였음을 시사한다며 이는 네안데르탈인이
맹수
를 사냥했다는 것을 보여주는 첫 직접 증거라고 설명했다. 동굴사자는 호모 사피엔스 등 초기 인류의 동굴 벽화에 자주 등장하지만 네안데르탈인이 동굴사자와 어떤 상호작용을 했는지는 잘 알려져 있지 ... ...
포유동물들, 사자보다 '사람 소리' 더 무서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3.10.06
2배 높아졌다. 기린, 얼룩말, 임팔라, 쿠두 등의 초식동물은 물론 표범, 하이에나 등의
맹수
들도 인간의 목소리에 가장 예민하게 반응했다. 코끼리는 사람의 목소리에는 도망쳤지만, 사자 소리가 들릴 땐 소리가 나는 곳으로 향해 격렬하게 부딪히는 등의 반응을 보였다. 이로 인해 연구팀의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표지로 읽는 과학]인간과 친구된 개의 조상, 유럽보다 아시아 고대 늑대에 가까워
동아사이언스
l
2022.07.16
동물 중 한 종류로 꼽힌다. 유럽과 아시아, 북아메리카 등에 서식하며, 호랑이 등의 대형
맹수
를 제외하면 대적할 수 있는 생명체가 없다고 알려졌다. 하지만 표지의 늑대는 온순한 표정이다. 오늘날 집에서 기르는 개의 조상은 회색 늑대라고 추측된다. 하지만 늑대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 ...
[강석기의 과학카페] 격한 운동을 해야 하는 이유들
2022.06.28
스턴슨 교수는 진화의 관점에서 설명을 제시했다. 격한 운동은 생리 지표의 관점에서
맹수
와의 다툼 같은 극단적인 상황과 비슷하므로 몸이 생존을 극대화하는 방향으로 적응한 결과라는 것이다. 잘못하면 죽을지도 모르는데 음식을 먹을 겨를이 있겠냐는 것이다. 실제 격한 운동 직후 CNDP2 유전자 ... ...
[이덕환의 과학세상] 변화하는 기후에 ‘적응’하는 노력이 더 중요하다
2022.02.02
불을 사용하는 기술을 개발한 것이 그 시작이었다. 불은 인류에게 어둠과 추위, 그리고
맹수
의 공격을 물리칠 수 있도록 해주었다. 무엇보다도 먹거리를 조리할 수 있게 되면서 질기고, 딱딱하고, 상한 음식도 안전하게 섭취할 수 있게 되었다. 우리 뇌의 크기가 커지고, 기능이 발달하게 된 것도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생활 제로 시대의 진화심리학
2022.01.25
남들의 평판에 예민한 마음도 진화했다. 자칫 반사회적 인물로 찍혀 쫓겨나 혼자가 되면
맹수
가 우글거리는 들판에서 살아남을 수 없기 때문이다. 여러 시뮬레이션 결과 상호적 이타성에 기반해 돌아가는 인류 사회에서 성공을 담보하는 핵심전략은 ‘절대로 먼저 배신하지 마라’와 ‘상대방이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 쓰나미 대피 요령 외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이 개 이름은 방카르입니다. 방카르는 몽골의 드넓은 초원을 달리며 가축을 보호하고
맹수
로부터 몽골인을 지켜주기도 해요. 방카르는 ‘귀신 쫓는 개’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어요. 방카르에 대해 속속들이 파헤쳐 봤습니다 ... ...
전술의 신 4. 탄탄한 수비진 짜는 팬의 알고리듬
수학동아
l
2024년 03호
수 있는 공간을 좁게 만드는 것이다. 그렇다면 어떻게 공간을 좁혀야 할까? 신기하게도
맹수
가 먹잇감을 사냥하는 방법을 축구에 적용한 과학자가 있다. 2012년 과학자 셀리나 팬은 입구가 있는 사각형 안에서 다수의 추격자가 입구를 향해 다가가 적을 잡는 알고리듬을 만들었다. 일명 팬의 ... ...
[SF 소설] 방 안의 호랑이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여성은 김부영의 세 번째 연인, 여홍옥입니다.”나는 여자가 별채에서 상상만으로 그린
맹수
를 물끄러미 바라봤다. 그리고 다시 홀로그램의 여자를 올려봤다. 단단하고 부드러운, 고독하고 정다운 눈빛. 홍옥은 꿈에서 본 호랑이와 닮은 인상이었다. 다른 그림을 요청해야 특별전을 열 수 있을 ... ...
[가상 인터뷰] ‘북극에 웬 댐이…?’ 지구온난화가 넓힌 비버의 여행지
어린이과학동아
l
2022년 03호
수심을 깊게 만들기 위해서예요. 비버는 물 한가운데 집을 짓고, 물 밑으로 입구를 내
맹수
가 집에 접근하기 힘들게 만들어요. 수심이 얕으면 천적이 건너올 수 있기 때문에 댐을 지어 강을 깊게 만듭니다. 그뿐만 아니라 나뭇가지는 비버의 먹이가 되어 주기도 하죠. 어쩌다 북극까지 가게 됐니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그냥 간단하게 써본 단편...입니다.
포스팅
l
20250831
떨어져 있지 않았다. “네가 배신자냐고 물었어. 똑바로 대답해.” 샬롯이 루카스에게 검을 들이대며 말했다. 그녀의 눈은 마치
맹수
같았고, 살벌했다. “난 배신자가 아니야.” “정말이야? 맹세할 수 있어?” “그럼. 당연하지.” 루카스는 양손을 들며 그녀의 경계심을 낮추려 노력했다. 멋쩍게 씩 웃어도 보였다. “거짓말.” 샬롯의 ...
이탈리아의 수도, 로마에는 뭐가 있을까?
기사
l
20250501
아레나는 나무판 위에 모레를 깔아 피가 묻으면 갈수 있게 만들었어요. 모레 이름이 아레나이죠. 엘레배이터는 주변 환경 사람,
맹수
를 아레나 위를 올릴수 있게 만들었어요. 차단막은 너무 더울때 시원하게 천으로 햇빛을 막아줍니다. 사람의 힘으로 해군들이 펼치고 접는답니다. 일반인은 못할 정도로 함든일이에요. 잘 보셨나요? 사실 콜로세움의 ...
사슴에 대해!
기사
l
20240512
대형종까지 존재합니다. 크게는 몸길이가 3.1m 어깨 높이 2.35m의 대형종까지 있습니다. 아주 빠른 달리기 속도를 가지고 있어서
맹수
들에게서 살아남으며, 무리를 지어 다니고 아침과 저녁먹이를 섭취하고 나서는 경치를 감상하며 휴식을 취한다고 합니다. 번식기에 들어서면 수컷들의 큰 뿔을 통해 싸움을 벌이고 싸움에서 승리한 수컷이 여러 암컷을 거 ...
자폭 하기 전 대본 올리기
포스팅
l
20240325
아이였지.한번은 ‘체험담’ 이라 부르는 처녀림에 관한 책에서 아주 멋있는 그림 하나를 보았지.바로 억센 보아뱀이 타 동물들에겐
맹수
이지만,보아뱀의 입장에선 가녀린 먹잇감의 숨통을 조이며 삼키는 그림이였지.나는 그 그림을 보고 나서 색연필로 내 그림 1호를 그렸네.나는 이 걸작을 당시 어른들에게 보여주며 무섭지 않느냐고 물어 보았지.그러나 어른들 ...
세종 수목원과 함께한 하루종일 탐사 후기 (도시숲 생태다양성 프로젝트)
기사
l
20230828
가위처럼 생겼다고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고 하셨습니다. 팥중이는 깃털색이 특이하였는데요 길텃을 피면 노랑색이 보이는데 이는
맹수
에게 자기가 독이 있는것처럼 보이게하는 위헙용이라고 합니다. 아이누길앞잡이도 보았습니다. 길앞잡이라고 붙은 이유는 사람이 갈때 앞으로 도망가는 모습이 길을 안내해주는것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입니다. 다음으로 본것은 방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