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 '랩온어디스크'로 질병 진단의 기초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4.05
- 케마티카)를 개발한 화학 석학이며, 프랑수아 앙블라르 연구위원은 수학, 생물학, 물리학을 전공한 박학다식한 연구자이다. 조 그룹리더도 화학공학, 재료공학을 전공하고 생명공학 분야에서 질병진단 기술을 개발해 왔다. 조 그룹리더는 "사실 처음에는 IBS 첨단연성물질 연구단에서 함께 연구할 ... ...
- 양자컴퓨팅의 세계, 기초과학이 토대 세운다동아사이언스 l2017.03.07
- 다진법 기반 전자소자 가능성을 발표했으며(네이처 피직스, 2017. 02) 나노구조물리 연구단은 빛의 속도로 정보를 전달하는 초고속 광전소자를 개발했다(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 2016. 11). 이렇듯 양자컴퓨터 상용화를 위해 기초과학 연구를 포함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으나 실제 상용화시기를 ... ...
- "최고 수준의 중이온가속기 건설에 모든 걸 걸었어요!"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제어하는 일을 하다 보니 굉장히 재미있다"고 말했다. 그는 장치가 다 구축되고 나면 핵물리 실험에도 참여하고 싶다고 한다. 수소, 산소 같은 입자가 생성되는 규칙에 대한 원리를 연구하면서 관련된 실험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 사업단은 지난 11월에 ECR-IS에서 인출된 산소 빔을 최초 ... ...
- 완벽한 인공지능구현, '기초과학 연구'가 필수동아사이언스 l2017.02.03
- 때문이다. 이런 연구는 국내에서 기초과학연구원(IBS)이 앞장서고 있다. IBS의 나노구조물리연구단은 2차원 반도체 신소재로 인간의 뇌 속 시냅스를 모방한 반도체 소자를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인간의 뇌 속 시냅스는 2개의 돌기(소자의 전극에 해당)로 신호를 주고받으며, 신호의 잔상을 남겨 기억을 ... ...
스페셜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 [기사콘 챌린지] 나의 백업 방법기사 l20251118
- 가장 확실한 방법은 여러 저장소에 중복해서 안전하게 보관하는 것이다. 클라우드는 편리하고 자동적인 장점이 있고, 외장하드는 물리적으로 안전하며, 자동 백업 기능은 전체 시스템 복구에 적합하다. 이 모든 방식을 적절히 조합하면 언제 어떤 상황이 발생하더라도 소중한 데이터를 잃지 않고 지킬 수 있다. 백업은 번거로운 작업처럼 보일 수 있지만, 한 ...
- 끄적(1)포스팅 l20251114
- 후, 나는 봐선 안될 걸 본 것만 같았다.하얀 것이 사람을 공격했고, 당하는 사람이 물리자 또 다른 사람을 공격하려 했다."무.. 물리 펀치!!"신체강화 상태의 내가 하얀 것을 제압하자 상황은 일단락되었다.그러나, 다시 움직였다.목이 돌아가진 상태로."기적을 위해.. ㅁ..미라클 하트 어택..♡"완전히 형태가 알아볼 수 없을 만큼 ...
- 세상에서 가장 위험한 동물 1~ 5위기사 l20251104
- 마주쳐서,훈련 받지 않은 코끼리는 사람을 죽일 수 있습니다.대망의 1위는모기입니다! (출처:동물 대백과사전,비룡소) 우리가 흔히 물리는 빨간집모기가 아니구요. 열대,아열대지방에 모기 말하는 겁니다.모기는 댕기열 ,말라리아,뇌염을 옮깁니다.모기는 매년 최대 1,000,000 명의 목숨을 앗아가요.그렇다고 너무 걱정 할 필요 없어요.최근 일본 뇌염 ...
- 체인소맨에 이런 악마 어떨까하고 짠 설정입니다포스팅 l20251023
- 악마로 카테고리를 묶어 천칭에 오를 수 있다. 다만 비교할 때 계약자의 가산점이 올라간다. 천칭에 오른 자들은 지상에서 어떠한 물리적 정신적 피해를 입지 않으며, 비교의 악마의 심판대에 오르게된다.그 후 계약자가 비교할 것(단, 사람수 키 몸무게와 같이 한 눈에 봐도 결과가 나오는 것은 불가하다.)을 말하면, 비교의 악마는 심판대를 돌려 다수( ...
- 우주 페스티벌 광주과학관기사 l20251020
- 과학자? 축구선수?저는 과학자인데요. 저처럼 과학자가 꿈인 친구들은 공상과학 책을 많이 읽어야 합니다.왜냐하면 공상과학 책이 물리와 수학을 좋아하게 만들었다는 김진혁 연구원님의 보장이 있기 때문입니다. 예전에는 인공위성을 만들고 외국에서 실험·발사를 해야 해서 매우 힘들었지만, 나로우주센터가 만들어진 후, 부품 실험와 발사 등 여러 가지를 우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