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기원
발상
근원
시발
착상
발원지
원천
스페셜
녹색 2.0의 미션은 한국 녹색기술의 세계화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4.10.29
징후들의 근저에 이산화탄소가 있다는 사실에 특히 주목하고 있습니다. 미세먼지의
발원
지인 중국도 이제 정부 차원의 녹색기술개발 의제에 적극적으로 역량을 집중시키고 있습니다. 녹색기술센터의 존재 이유는 기본적으로 인류의 지속 가능한 생존전략으로서 녹색기술을 확산하고 정착시키기 ... ...
[과학향이 나는 지리여행] 제주 편, 용천 지리여행
KISTI
l
2014.05.29
그래서 제주의 하천들은 남쪽 몇 개를 제외하곤 거의 말라있다(사진 1). 물론 그들
발원
지에 가보면 영락없이 많은 양의 용천수가 흘러나오고 있는 것을 볼 수 있다. 용천수를 잘 구경하기 위해선 ‘물 순환(water balance)’과 ‘물 수지(water budget)’ 개념을 알아야 한다. 전자는 지구상의 물은 돌고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살이│섬강 ,민물고기의 혼인 잔치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있었는지 5월 섬강의 모습으로 확인해보려 합니다. 섬강은 강원도 횡성군 태기산에서
발원
하는 한강의 지류입니다. 강원도 횡성읍, 원주시를 지나 경기도 여주시에서 한강 본류와 만나지요. 2000년 횡성댐이 지어지며 209km2 면적의 횡성호가 새로 생겼습니다. 최근 한강에 사는 민물고기에게 닥친 ... ...
한강, 그 흐름의 기록
과학동아
l
2021년 07호
제14권 충청도편에는 ‘저 월악을 보니 중원에 비껴 있는데 한강의 물이 처음
발원
했네’라는 구절이 등장한다. 월악산이 있는 충주에 흐르는 하천을 남한강이 아닌 한강으로 표기했다. 1909년 발간한 ‘한국충청북도일반’, 1916년 ‘충주발전지’, 1928년 ‘충청북도요람’ 등 과거 대부분의 ... ...
코로나19 결말 영화 ‘컨테이젼’ 시나리오 따라가나
과학동아
l
2020년 03호
있다. 1월 27일부터는 전 세계에서 매일 환자 수천 명과 사망자 수십 명씩 늘어나고 있다.
발원
지인 중국 우한은 사실상 지역감염 단계이고, 후베이성의 다른 도시들도 상황이 심각하다. 중국은 집권세력(공산당)에 불리한 내용은 철저히 통제하는 국가로 세계보건기구(WHO)의 조사도 거부하고 있어 ... ...
[Issue] 양서류 흑사병
발원
지가 한국?
과학동아
l
2018년 07호
어디서 시작됐는지에 대해서는 밝혀진 사실이 없었다. 이번 연구 결과는 항아리곰팡이의
발원
지를 밝히기 위해 영국 임페리얼칼리지런던과 서울대 등 전 세계 21개국 38개 연구팀의 협업으로 이뤄졌다.공동연구진은 전 세계에서 항아리곰팡이 시료 234개를 모아 각각의 유전자 염기서열을 분석했다.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기사콘 챌린지] 나만의 장을 만든다면
기사
l
20250208
있습니다. 베트남에 많이 전수되어 있습니다. 검은 간장이라고도 부르고, 점성이 있습니다. '호이진 소스'라고도 부르는데, 해선장의
발원
지인 광둥 지역의 사투리로 '해선'을 읽어 그렇게 불린다 합니다. 쉽게 볼 수 있는 곳은 '찐' 베트남 음식점으로, 쌀국수의 고기도 찍어 먹는다 합니다. 해선장에 바다 해(海)가 들어가서 해산물이 들어간다고 오해 ...
닼못
포스팅
l
20221209
해도 그랬다. 그런데 오늘은 눈이 2.5피트(2.54x12x2.5=약 75cm정도.)로 쏟아지고 빙하가 된 한강을 쇄빙선이 깨고지나가며,금강산에서
발원
하여 남한쪽 강원도를 따라 한강을 이루는 북한강이 '빙하'한자 뜻 그대로 얼음강이 되어있었고 남한강 역시 살얼음이 올라가 있었다. 조수간만이 약한 동해라지만 매일 파도가 치고 소금기가 강력한 물의 ...
고덕수변생태공원 어류 이야기
기사
l
20220906
차다현 한강, 그리고 고덕수변생태공원에 대해 고덕수변생태공원에 흐르는 강인 ‘한강’은 강원도 태백시 창죽동 검룡소에서
발원
되어, 춘천 소양강, 양평 남한강과 만나 인천광역시 강화군 월곶읍 연미정으로 나간다. 한강의 전체적 줄기로 보면 고덕수변생태공원은 하류이지만, 서울특별시에 흐르는 한강의 기준으로는 상류에 위치한다. 이러한 고덕수변생태 ...
여름에는 어디로 가야할까요? - 민물고기 산간계류 탐사편
기사
l
20220711
7월 9~10일날 갔다온 강원도 산간계류 탐사를 여러분께 보여드릴려고 해요. 우선 산간계류란 무엇일까요? 산간계류란 우리 강의 시초인
발원
지에서부터 평지하천까지의 구간을 말해요. 쉽게 이야기하자면 계곡이라고도 할 수 있어요. 이런 산간계류의 특성은 나무들 덕분에 햇빛이 잘 투과하지 못해서 수초보단 바위의 이끼류가 잘 분포되어 있어요. 그리 ...
한반도의 생태 보고서 백두대간
기사
l
20220612
남북으로 약 1400㎞에 이릅니다. 남한에는 휴전선부터 지리산 천왕봉까지 약 701㎞입니다. 이곳은 한반도의 4대 강을 포함한 하천의
발원
지로서 생명력이 시작되고 이어지는 곳입니다. 또 강원·충북·전북·전남·경북·경남의 6개의 도의 32개 시·군, 108개 읍·면·동을 통과합니다. 남한의 백두대간 보호지역은 275천 ㏊(헥타르)의 국회의사당이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