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극성
음성
뉴스
12·3 계엄 그후 '명령에 따랐을 뿐?'…책임감·죄책감이 사라질 때
과학동아
l
2025.03.22
2017년 영국 유니버시티 칼리지 런던 인지뇌과학연구소 연구팀은 '피드백 관련
부정성
(FRN)'이란 뇌의 특정 신호를 분석해 이와 같은 결론을 발표했다. (doi: 10.1093/scan/nsw160) 실험 참가자들은 구슬이 굴러가는 화면 속 모니터를 보고 구슬이 비탈길의 끝에 다다르는 정확한 시점에 컴퓨터 마우스를 ... ...
[카드뉴스] 내 선택을 조종하는 보이지 않는 손
2018.06.11
긍정적인 정보와 부정적인 정보가 함께 있을 때는 후자가 머리에 깊이 남는 것이죠. 이를
부정성
효과라고 합니다. 네거티브 캠페인의 효과는 또 있습니다. 이강형(경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의 논문 ‘네거티브 선거 캠페인의 효과 - 2007년 대통령선거 투표참여를 중심으로'에 따르면 네거티브 ... ...
[에디터칼럼] 방사능보다 무서운 붕어빵 반죽
동아사이언스
l
2014.01.14
‘원자력 마피아’들의 제식구 감싸기 아닌지 궁금하다. 심리학 용어 중 ‘
부정성
효과(negativity effet)’라는 것이 있다. 사람들은 대개 긍정적인 것보다 부정적인 것에 더 영향을 많이 받고 오래 기억한다는 것이다. 남녀관계에서 ‘열 번 잘해봐야, 한 번 잘못하면 끝’이라는 말과 다르지 않다. ... ...
뉴스 더보기
d라이브러리
[Tech & Fun] 두근두근♡실습일지
과학동아
l
2016년 07호
아직.”3분을 더 기다렸을 무렵, 윤정은 입을 열었다.“제가 아주 겁이 많다는 거요.”
부정성
이 강해서 상대방에게 매력적이지는 않지만 솔직한 대답이었다. 로봇이 채점을 하고 있을 때, 윤정은 또 정답을 입에 담아 버리고 말았다.“로봇 씨는 저와 가까운 친구가 되고 싶어요?”로봇은 아까 ... ...
PART 1. 나는 왜 그 사람을 찍었을까?
과학동아
l
2012년 12호
정보와 부정적인 정보가 함께 있을 때는 후자가 머리에 깊이 남는 것이다. 이를 ‘
부정성
효과’라고 한다.네거티브 캠페인은 투표를 독려한다정당한 네거티브 캠페인에는 또 다른 효과도 있다. 이강형 경북대 신문방송학과 교수가 발표한 논문 ‘네거티브 선거 캠페인의 효과 - 2007년 대통령선거 ... ...
금혜원 사진전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거대한 흐름을 상징 한다. 작가는 이 풍경에서 ‘일상에 가해진 폭력과 재개발의
부정성
을 타포린으로 덮어 버리려는 듯한 느낌을 받게 된다’고 설명한다.작가가 재개발이 일상에 대한 폭력이라고 말하는 까닭은 무엇일까. 철거되는 건축물과 더불어 동네 삶의 질서 역시 파괴되기 때문이다. 어떤 ... ...
1. 인터넷 시대 심리를 알아야 한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길을 제시해야 한다”고 말한다. 세 교수의 이론은 게임 중독과 외계어 문제에 대해
부정성
만을 강조했던 지금까지의 분석과는 사뭇 다른 주장이다.심리학자들이 이처럼 사이버 세계에 대한 발언의 강도를 높이는 이유는 뭘까.이정모 교수는 “더이상 인간의 지적인 진화 속도가 인터넷을 따라가지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