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과기원NOW] KAIST, 헌팅턴병 원인 단백질 새 기능 규명 外동아사이언스 l2025.10.01
- 국제 의생명공학아카데미(IAMBE) 종신 석학회원(fellow)으로 선정됐다고 1일 밝혔다. IAMBE 석학회원은 국제의생명공학연맹(IFMBE)이 의학과 생명공학 분야에서 탁월한 학문적 업적과 국제 리더십을 보인 연구자에게 수여하는 최고 영예로 김 교수는 한국인으로 두번째, 국내 현역 교수로는 유일하게 ... ...
- [과기원NOW] KAIST, 빛과 AI로 경제적이고 튼튼한 3D프린팅 구현 外동아사이언스 l2025.09.29
- 노벨물리학상 수상자인 피에르 아고스티니 미국 오하이오 주립대 교수를 비롯해 세계적 석학들이 참석했다. 물리학, 화학, 생물학 등 다양한 분야의 연구자들이 모여 최신 연구 성과와 미래 발전 방향을 논의했다. 남 교수는 "이번 수상은 그동안 꾸준히 천착해 온 초강력 초고속 레이저 연구 성과가 ... ...
- [과기원NOW] GIST, 차세대 반투명 태양전지 개발 外동아사이언스 l2025.09.23
- 행사에는 Nature Aging, Nature Neuroscience, Nature Metabolism 등 네이처 주요 저널 편집장과 세계 석학 16명이 참여한다. 이건우 DGIST 총장은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뇌 건강과 슬로우 에이징 분야의 국제적 학술 교류를 강화하고 DGIST가 글로벌 연구 허브로 자리매김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밝혔다. ... ...
- 분자·세포생물학회 국제학술대회 29일 제주서 개막동아사이언스 l2025.09.23
- 이르기까지 생명과학의 이슈를 폭넓게 다룬다. 이번 국제학술대회에서는 세계적 석학 4인이 기조강연을 진행한다. 앨런 살티엘 미국 샌디에이고캘리포니아대(UC샌디에이고) 의대 교수, 안토니 하이만 독일 막스플랑크 세포 생물학 및 유전학 연구소장, 니콜라스 토마 스위스 로잔연방공과대(EPFL) ... ...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