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가수
뉴스
이수만 SM 총괄프로듀서, KAIST 초빙석학교수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2.02.25
취임 초부터 과학기술과 인문·문화의 융합을 강조했으며, 그 일환으로 지난해 10월에는
성악가
조수미 씨를 문화기술대학원 초빙석학교수로 임명했다. 조 교수도 2024년 9월까지 리더십 특강을 열며, AI를 활용한 음악연주 분석과 생성에 관한 기초 연구와 미래의 공연 제작과 무대 연출 기술에 관한 ... ...
소프라노 조수미 KAIST교수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5
성악가
조수미 씨가 과학기술인재 산실인 KAIST의 교수가 됐다. KAIST는 15일 소프라노
성악가
조수미 씨를 문화기술대학원 초빙석학교수에 임명했다고 밝혔다. 조 교수는 2022년 1학기부터 학부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강의를 진행한다. KAIST는 14일 오후 KAIST 학술문화관 양승택 오디토리움에서 ... ...
[프리미엄 리포트] 혀의 진화 래퍼의 탄생
과학동아
l
2019.05.19
영향에서 비롯되지만 훈련을 통해 극복할 수 있다고 본다. 과학동아 제공 래퍼부터
성악가
까지 모든 가수는 관객에게 노랫말을 전달한다. 성대가 만든 소리를 노랫말로 바꾸려면 복부부터 얼굴까지 400여 개의 근육을 움직여 소리의 공명을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이들 근육의 움직임을 최종적으로 ... ...
프레디 머큐리처럼 우렁차지만 감미롭게 노래하는 법
과학동아
l
2019.04.20
곧게 편 자세가 되면 후두의 위치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충분한 공명강을 확보할 수 있다.
성악가
가 턱을 당기고 목을 꼿꼿이 편 자세로 노래를 부르는 이유도 공명강을 최대한 넓게 활용하기 위해서다. 성대와 공명강이 음색을 결정한다면, 전달력을 부여하는 건 구강이다. 구강에서 정확한 발음이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소프라노 조수미 KAIST교수 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21.10.15
성악가
조수미 씨가 과학기술인재 산실인 KAIST의 교수가 됐다. KAIST는 15일 소프라노
성악가
조수미 씨를 문화기술대학원 초빙석학교수에 임명했다고 밝혔다. 조 교수는 2022년 1학기부터 학부생과 대학원생을 대상으로 강의를 진행한다. KAIST는 14일 오후 KAIST 학술문화관 양승택 오디토리움에서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혀의 진화] 400개 근육의 최종 지휘자
과학동아
l
2019년 05호
래퍼부터
성악가
까지 모든 가수는 관객에게 노랫말을 전달한다. 성대가 만든 소리를 노랫말로 바꾸려면 복부부터 얼굴까지 400여 개의 근육을 움직여 소리의 공명을 만들어야 한다. 그리고 이들 근육의 움직임을 최종적으로 조율해 발음을 만들어내는 기관이 바로 혀다. 혀가 만든 길을 따라 공기가 ... ...
내 목소리도 프레디 머큐리처럼
과학동아
l
2019년 04호
곧게 편 자세가 되면 후두의 위치가 아래로 내려가면서 충분한 공명강을 확보할 수 있다.
성악가
가 턱을 당기고 목을 꼿꼿이 편 자세로 노래를 부르는 이유도 공명강을 최대한 넓게 활용하기 위해서다. 성대와 공명강이 음색을 결정한다면, 전달력을 부여하는 건 구강이다. 구강에서 정확한 발음이 ... ...
[DJ CHO의 롤링수톤] 디카펠라의 ‘글로리 데이스’ 아름다운 화음의 비법
수학동아
l
2018년 08호
하지만 본래 아카펠라는 5명 내외의 사람이 목소리만으로 부릅니다. 이탈리아 교회에서
성악가
들이 무반주로 부르던 노래가 시초인데 19세기부터는 악기 반주가 없는 곡 대부분은 아카펠라라고 불렀습니다. 이후 꼭 성악이 아니더라도 무반주, 또는 최소한의 악기 반주로 화음을 이뤄 노래하는 합창, ... ...
[Future] 오페라 무대 선 로봇 디바 ‘에버’
과학동아
l
2018년 04호
협업으로 탄생한 창작 오페라다. 완벽한 오페라 가수를 뽑는 오디션에서 인간
성악가
와 에버가 대결하는 줄거리다. 공연을 관람한 조화연 양(대구 경명여중 2학년)은 “로봇의 연기가 인간처럼 완벽하게 자연스럽지는 않았지만 초등학교 때 봤던 로봇에 비하면 훨씬 인간에 가까워졌다”며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계이름의 탄생은??
기사
l
20200824
나중에 빈센초 갈릴레이(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아버지)가 반음(#,b)을 추가해서 12음계가 된 것입니다. 계이름은 약 1000년 전 이탈리아의
성악가
인 구이도 다레초 가 저녁 미사식 때 기도 노래의 첫 음절들을 따온 것입니다. 그리고 그 이후로도 조금씩 수정되고 변경되어 지금의 "도레미파솔라시도"가 된 것이죠. 도(Do)는 원래 윳(Ut)이였지만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