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인간 손발, 어류 지느러미에서 진화?…"특정기관 발달 유전자 회로 재활용"동아사이언스 l2025.09.21
- 제브라피시 배아. 아래 쪽의 검은 부분이 총배설강 부위를 나타낸다. 하버드대 제공. 약 3억 6000만 년 전 어류의 조상들이 물을 벗어나 육지에 첫 발을 내디뎠다. 이때 형성되기 시작한 육상 척추동물의 손발이 어류의 지느러미에서 직접 진화한 것인지 아니면 다른 방식으로 만들어진 것인지는 오 ... ...
- 에너지도 만들고 건강도 위협하는 '달콤한 맛'의 딜레마어린이과학동아 l2025.09.13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 달콤한 맛, 얼마나 먹을까. ● 당류 많이 먹는 어린이와 청소년 사탕, 초콜릿, 탕후루 등 간식을 먹으면 달콤한 맛이 느껴집니다. 간식에는 단맛을 내는 탄수화물인 당류가 들어 있기 때문인데요. 우리나라의 식품 안전을 담당하는 식품의약품안전처(식약처)는 매년 국 ... ...
- 희귀 유전질환 '낭포성 섬유증' 치료제 개발자 래스커상 수상동아사이언스 l2025.09.12
- 2025년 래스커상 수상자. 왼쪽부터 디르크 괴를리히 독일 막스플랑크다학제과학연구소 연구원, 스티븐 맥나이트 미국 텍사스대 사우스웨스턴메티컬센터 교수, 마이클 웰시 미국 아이오와대 교수, 헤수스 곤살레스·폴 네굴레스쿠 버텍스파마슈티컬스 연구원, 루시 샤피로 미국 스탠퍼드대 교수. 래 ... ...
- 스마트폰으로 장내 미생물 조종해 장염 치료한다과학동아 l2025.09.06
- 게티이미지뱅크, Nature microbiology 제공 장내 미생물은 동물의 장에 서식하는 미생물이다. 인체와 상호작용하며 건강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중국 톈진대, 시베이 농림과기대, 하이난대 등 공동연구팀은 7월 28일 장내 미생물의 활성을 스마트폰으로 조절하는 데 성공했다는 연구 결과를 ... ...
뉴스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