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족관
물새
수금
유리 상자
손톱
조갑
절개
뉴스
[동물do감] 팔 8개 모두 활용하는 문어…앞팔은 탐색, 뒷팔은 이동
동아사이언스
l
2025.09.12
학명 Octopus americanus) 등 3종이 조사됐다. 이전 문어 행동 연구는 주로 실험실
수조
에서만 연구돼 한계가 있다. 피부를 주변 환경과 비슷하게 변화시키는 등 위장 능력이 뛰어난 문어는 찾는 것부터가 난제다. 연구팀은 문어가 먹이 잔해를 은신처 주변에 남긴다는 점을 활용해 문어를 찾아내고 ... ...
서울대 공학관 배터리 폭발로 화재…40명 대피
동아사이언스
l
2025.08.12
인력 82명, 차량 23대를 투입해 오전 11시 39분 진화에 성공했다. 문제가 된 배터리를
수조
에 담그는 등의 조치로 진화 작업을 시행했다. 이번 화재로 공학관 내에 있던 40명이 대피했으며 인명 피해는 없는 것으로 전해진다. 소방당국은 “정확한 화재 원인을 조사 중”이라고 전했다 ... ...
높이 93.7m 인류 최대 지하공동 굴착…日 중성미자 검출기 들어선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8.05
5배 이상 큰 규모다. 2026년부터 광검출기(PMT) 등 부품 설치가 진행될 예정이다. 2027년까지
수조
내 광검출기가 모두 설치되면 이후 초순수 물을 채우게 된다. 실제 운영은 2028년 시작이 목표다. 도쿄대는 "일본에서 새로 개발된 50cm 크기의 PMT 대량 생산이 원활하게 진행 중"이라고 밝혔다. 전세계에서 ... ...
구글, 시공간 초월해 10m 격자로 지구 지도화…역대급 AI 모델 구현
동아사이언스
l
2025.08.01
효율이 높아 데이터 분석에 드는 시간과 에너지를 줄일 것으로 기대된다. 구글은
수조
개의 위성 이미지와 레이더 데이터 등을 분석해 어떤 시간대와 장소에서도 지구를 지도화할 수 있는 AI 모델 알파어스를 개발하는 데 성공했다고 30일(현지시간) 발표했다. 모델 개발 과정, 초기 테스트 결과 등을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이덕환의 과학세상] '전기차 화재' 9월 종합대책, 기대되지 않는 이유
2024.08.14
수용이 가능한 안전 대책이 필요하다. 지하 주차장에 전기차 전용의 '방화벽체·소화
수조
·스프링클러'와 '질식소화포'(덮개)를 갖추어야 한다는 주장은 충분히 고려할 여지가 있는 것으로 보인다. 화재 발생을 감시하는 열화상 카메라를 설치하고 지하 주차장에서 화재의 확산을 막는 스프링클러의 ... ...
[이덕환의 과학세상] '가짜' 과학에 찌들어버린 사회
2023.07.18
제1원전
수조
. 연합뉴스 제공 후쿠시마 오염수 방류에 대해 침묵을 지켜왔던 과학기술계가 마침내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과학기술한림원이 지난 7월 6일 원탁토론회를 통해 우리가 후쿠시마 오염수의 태평양 방류를 걱정해야 할 어떠한 과학적 근거가 없다는 사실을 밝혔다. 서울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한국도 첫발 뗀 '천연수소' 탐사...땅속 무한에너지
2023.06.28
지난해 10월 미국 지질조사국에서 내놓은 보고서에 따르면 천연수소의 추정 매장량은
수조
톤으로 인류가 수천 년 동안 쓸 양이다. 참고로 수소의 주된 용도인 암모니아 비료를 만드는 데 매년 9000만톤이 쓰인다. 게다가 천연수소는 계속 만들어지기 때문에 이 정도 사용량으로는 고갈될 염려도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통조림의 탄생과 나폴레옹의 전쟁(1)
2023.05.16
식품 보존법을 남긴 인물이 되었다. 아페르는 경험적으로 외부와 접촉을 차단하고,
수조
에서 열을 가하면 음식의 부패를 막을 수 있음을 알았지만 장기보존이 가능한 이유를 정확히 설명하지는 못했다. 그러나 이 방법은 쉽게 음식을 보존할 수 있게 했으므로 퍼져나가기 시작했다. 필립 드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통합과학 교과서] 불면증에 걸린 공주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5호
1시간 간격으로 반복됐습니다. 연구팀은 또 잠든 문어를
수조
속에 넣고 고무망치로
수조
를 두드렸어요. 그 결과, 잠든 문어는 때로는 소리에 반응을 보였지만 어떤 때는 반응을 보이지 않았습니다. 문어가 사람처럼 얕은 잠과 깊은 잠을 자고, 깊은 잠을 잘 때는 외부 자극에 반응하지 않는다는 ... ...
[커리어] 지하 1000m 과학자들의 놀이터! IBS ‘예미랩’과학동아 랩투어
과학동아
l
2024년 03호
내는 아주 깨끗한 물이 들어있다. 만약 어떤 신호가 검출기에 검출되고 스테인리스 속
수조
에서 체렌코프 효과에 의한 빛이 측정된다면 검출기에 검출된 것이 중성미자가 아닌 뮤온이라고 해석해 해당 데이터는 버리는 식이다. 조서연 독자는 “비싸고 복잡한 기구들이 아닌 물로 뮤온을 거른다는 ... ...
넓디넓은 바다 속 보물, 어떻게 찾을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2호
가득한 거대한
수조
에 담가 소금기를 제거합니다. 목재의 소금기가 모두 빠지면,
수조
에 약품을 넣어 목재의 표면이 뒤틀리거나 터지는 것을 막죠. 약품이 충분히 스며든 뒤, 보존처리사는 목재를 공기 중에서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며 서서히 말립니다. 마지막으로 건조된 목재를 도면대로 조립해 옛 ... ...
살살 녹는 고기의 비밀은 방정식으로
수학동아
l
2024년 01호
뜻하는 수비드는 요리 재료를 진공 포장한 뒤,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고 조절할 수 있는
수조
에 넣고 정확한 시간 동안 조리하는 방법이다. 하지만 수비드는 불과 몇 분 차이로도 음식 맛이 전혀 달라질 수 있어서 재료별로 조리 시간을 정확하게 지키는 것이 중요하다. 또 60~70℃ 안팎의 낮은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청계천 어류 탐사대] 청계천에 대왕 잉어가 살고 있어요!
기사
l
20250527
미꾸리 - 손에 직접 올려봤어요. 미끌미끌~> 채집활동이 끝나고 다른 대원들과 박사님들이 찾은 8종의 물고기들을 어류관찰
수조
에 넣어 관찰했습니다. 청계천에 이렇게 큰 잉어가 산다는 것이 놀라웠고,수염이난 미꾸리, 입이 뾰족 튀어나온 모래무지도 신기하고 재밌었습니다. 처음에는 붕어와 잉어가 잘 구분이 안 되었는데, 박사님이 잉어 ...
마지막 태국탐험대
기사
l
20250525
있었습니다. 그리고 여러
수조
가 놓여져 있었는데요. 해파리는 나이에 따라 다른
수조
에 있었습니다. 가장 나이가 어린 해파리들이 든
수조
를 들여다보니 먼지 같이 작은 해파리가 있었습니다.두 번째로 해양생물학 센터를 방문했을 땐, 바닷물이 어떻게 오염되고 그 오염이 바다 생태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배웠습니다. 보통 바다 ...
태국탐험대 2
기사
l
20250525
수심이 얕아 보였지만 깊이가 2m나 된다고 합니다. 또한 그
수조
엔 10마리까지 살 수 있을 정도로 넓다고 합니다. 처음에 바다거북의
수조
를 보고 얕고 좁은 곳에 바다거북을 두는 건 아닌가 염려했지만 충분히 넓은 곳이란 설명을 듣고 안심이 되었습니다. [제대로 수영을 못하고 기울어서 수영을 하는 바다거북.] 우리는 바다거북에 ...
청계천 20주년 기념 어류 탐사
기사
l
20250518
피라미였습니다. 피라미는 물살이 세지 않은, 수초가 많은 곳에서 잘 잡힌다는 것을 알게 되었습니다. @ 처음 잡은 피라미(개인 관찰
수조
) 4cm정도의 길이로 새끼 피라미인것으로 추정됨. 두 번째로 잡은 것은 모래무지였습니다. 바닥에 족대를 대고 모래를 쓸면서 나아가다 족대를 확인해보니 몸에 둥근 무늬가 있는 물고기를 잡을 수 ...
별은 어떻게 태어나고, 어떻게 죽을까?
기사
l
20250308
수소를 사용해 에너지를 아낍니다. 에너지를 오래 사용할 수 있어 수명이 수천억 년이나 됩니다. 목성만 한 별도 있는데, 그 별은
수조
년쯤 살 수 있다고 하네요. 3. 별이 죽을 때 무거운 별과 가벼운 별이 죽는 모습은 크게 다릅니다. 무거운 별은 수소를 빠르게 소모한 후 '적색초거성'으로 변합니다. 베텔게우스가 이러한 형태죠. 적색초거성은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