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판잣집
뉴스
[때와 곳 16] 야영지: 일상에서 가장 먼 곳
2017.08.05
원시적인 숙소인 셈이다. 진화해온 인류가 견고한 집을 짓고 살기 전에는 동굴이든
움막
이든 자연에 밀착해 그대로의 환경을 이용했으니 말이다. 다만 오늘날의 야영은 야영의 불편함을 최소화하기 위해 공업 생산물로 만든 캠핑 전용 장비를 사용한다는 점에서 그 차이는 크다. 오늘의 야영은 ... ...
딱따구리와 동고비의 못 말리는 자식 사랑
2015.05.08
남원의 지리산 기슭. 김성호 교수는 '
움막
'을 쳐 놓고 소나무에 지은 딱따구리 둥지를 관찰한다. - 남원=신선미 기자, vamie@donga.com 제공 참새만 한 작은 새 두 마리가 소나무 기둥으로 날아왔다. 회색 날개에 노란 배, 눈 옆에는 마치 붓으로 선을 그린 듯한 줄무늬. 동고비였다. 동고비 두 마리는 소나무 ... ...
뉴스 더보기
d라이브러리
[SF 소설] 방 안의 호랑이
과학동아
l
2022년 05호
“어, 산이 아닌데요. 강가도 아니고.”그림이 그려진 곳은 야외가 아니었다. 홀로그램은
움막
인지 토굴인지 모를 작은 별채의 흙벽을 만들어냈다. 방엔 먼지가 가득했다. 쪽창은 작디작았다. 곧 붓을 쥔 손이 생겨났다. 메마른 손등엔 정맥이 울퉁불퉁했고 손마디마다 굳은살이 가득했다. 손목에서 ... ...
[SF소설] 바키타
과학동아
l
2021년 11호
꺼냈습니다. 무척 서툴렀지만 이들은 끓는 물에 야생초를 데쳐줬고, 제가 잘 수 있도록
움막
에 따로 잠자리를 마련해 줬습니다. 이뿐만 아니라 이들에게도 남아있는 문명의 흔적들이 있었습니다. 이들은 식사 후 물로 입을 헹궜습니다. 누군가는 손으로 이를 정리했고, 누군가는 칫솔과 비슷한 ... ...
[과동키즈] “당신의 이야기로 숲을 가꿉니다”
과학동아
l
2021년 04호
언제든 자연을 만날 수 있었다.자연히 자연에 관심이 커졌다. 숲에서 살아남는 법,
움막
만드는 법, 불 피우는 법 등 자연 탐험과 관련한 책이라면 다 좋았다. 여기에 너무 몰입했던 나머지 어린 나이에 비해 무모한 탐험을 하기도 했다. 친한 친구 두 명과 50km가 넘는 각자의 시골 할머니 댁까지 ... ...
닥터 그랜마와 함께하는 한자 과학풀이
어린이과학동아
l
2016년 02호
‘나오다’의 뜻인 ‘날 출(出)’이 합쳐진 글자예요. 옛날 사람들이 생활하던 동굴이나
움막
집은 입구가 매우 좁아서 몸을 굽혀야만 나올 수 있었어요. ‘굽힐 굴’은 이러한 모습을 본떠 만든 상형문자로, ‘굽히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답니다.‘꺾을 절(折)’도 사물의 모양을 글자로 표현한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어서와, 꾸룩새 연구소는 처음이지?
기사
l
20200608
얼마 전에 '흥보가'를 끝까지 배웠어요. '흥보가' 중에 '유색 황금눈'이라는 노래가 있는데, 가사 중에 '강남서 온 제비가 홍보
움막
을 날아드니~'라는 부분이 있더라구요. 저의 할머니가 그러시는데 제비는 봄에 강남으로 오기 때문에 제비가 상징하는 계절이 봄이라고 하네요. 우리는 꾸룩새 연구소에 가서 정다미 소장님의 어머니이신 임봉희 부 ...
신사임당과 율곡 이이의 생가, 오죽헌
기사
l
20180401
내려갔을 때 신사임당은 시름시름 앓더니 마흔여덟살의 나이로 눈을 감고 말았습니다. 그러자 이이는 3년 동안 신사임당의 묘 앞에서
움막
을 짓고 살았습니다. 이이는 장원에 급제한 후 어느 해 봄에 큰 흉년이 들자, 이이는 백성들이 가난에서 벗어날 수 있는 길을 연구하여 '사창제도'를 주장했습니다. 사창제도란 가을에 곡식일 모아 두었다가 봄에 곡식을 ...
일본의 전통적인 유노하나(유황결정체) 재배지를 방문했습니다.
움막
을 지어놓고 기체상태인
탐사기록
l
20160219
일본의 전통적인 유노하나(유황결정체) 재배지를 방문했습니다.
움막
을 지어놓고 기체상태인 유황을 전통적 방법으로 고체결정으로 만들고 있었습니다. 자세한 원리는 모르겠지만 신기했습니다. 그곳 담당자에게 부탁×100을 해서 가지고 간 코니칼튜브에 잘 담아왔어요~^^ 이것도 잘 관찰해서 사진으로 보여드릴게요.☆ ...
속초, 아바이 마을을 다녀왔어요!~
기사
l
20140606
6.25동란 때 북에서 피난 내려온 사람들이 전쟁이 끝나면 곧 고향으로 돌아갈 것을 예상하여 38선 가까이에 있는 이곳에 임시적인
움막
형태의 집들로 처음 정착하면서 집 단촌이 형성되었다. 청호동에는 함경도에서 내려온 피난민들이 많이 거주하는 까닭으로 "아버지"의 함경도 사투리인 "아바이"를 사용하여 일명 '아바이 마을'이라고도 부른다.아바이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