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풀밭
목초지
스텝
황야
잔디
잔디밭
목포지
뉴스
매머드가 돌아온다면?…절멸종 복원 그 다음을 묻다
과학동아
l
2025.06.21
놓고 있다. 이곳이 녹지 않고 단단히 얼어 있으면서 온실가스를 붙잡아두는 식이다.
초원
이 생기면서 이산화탄소를 흡수하는 효과 또한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이런 맥락에서 콜로설 바이오사이언스 또한 홈페이지를 통해 "매머드를 복원하고 나면 시베리아에 방사할 것"이라고 소개하고 있다. ... ...
7만년 전 더 극한 환경으로 이동한 인류
동아사이언스
l
2025.06.19
인류의 조상은 아프리카 대륙을 넘고 심지어 섬으로까지 거주 공간을 확장했다. 숲,
초원
, 늪, 사막 등 인류의 발길이 닿지 않은 곳은 거의 없다. 안드레아 마니카 영국 케임브리지대 동물학과 교수 연구팀은 인간이 다양한 공간에 거주하게 된 시점과 원인을 분석하고 연구 결과를 18일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은 더위를 어떻게 견딜까
동아사이언스
l
2025.06.15
있는 가능성을 제시하기 위한 연구가 진행 중이다. 사이언스는 특집호 소개문을 통해 "
초원
, 열대우림, 농경지 등 많은 생태계가 이미 극심한 온도 변화로 고통받고 있다"며 "식물이 고온에 어떻게 반응하고 적응하는지를 다양한 규모에서 이해하는 것은 앞으로의 기후 위기에 대응하는 핵심 ... ...
[ISS2025] "위성영상 자동 분석해 20~40분내 산불 위험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5.06.05
산불 문제로 매년 고통받는다"고 말했다. 카자흐스탄은 국토 대부분이 넓은
초원
과 산림 지대로 산불 위험이 크다. 산불 감시 기술의 가장 큰 문제는 산불 위험을 감지하고 경고를 전달하기까지 시간이 너무 오래 걸린다는 점이다. 이오노스피어 연구소는 위성 탑재 센서인 VIIRS 등을 활용해 위성 ... ...
뉴스 더보기
스페셜
[표지로 읽는 과학] 북미 야생말이 사라진 이유
동아사이언스
l
2025.05.18
북극의 베링 육교가 물에 잠겼고 대륙 간 연결 통로가 끊겼다. 동시에 북미의 넓은
초원
은 습지와 이탄지로 바뀌며 먹이 접근성이 나빠졌고 말의 이동성은 떨어졌다. 이런 환경 변화가 북미 말 개체 수 감소로 이어진 것이다. 다양한 환경에 적응할 수 있는 무스나 엘크 같은 동물은 살아남았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옥시토신은 어쩌다 사랑의 호르몬 됐나
2024.05.16
중성지방을 에너지원으로 쓸 수 있게 해 살아남게 하는 알로스타시스로 볼 수 있다.
초원
들쥐 연구로 옥시토신을 사랑의 호르몬으로 불리게 했던 미국 에머리대의 신경과학자 래리 영이 지난 3월 21일 56세의 나이에 심장마비로 별세했다. 네이처 제공 며칠 전 뉴욕타임즈에 옥시토신 권위자인 ... ...
[표지로 읽는 과학] 고대인 유골에서 발견된 다발성 경화증의 기원
동아사이언스
l
2024.01.13
무덤에서 전형적으로 발견되는 조형물 '쿠르간'이 보인다. 배경에 펼쳐져 있는 넓은
초원
에는 당시 유목민의 생활상과 밀접하게 관련됐던 말 등의 가축도 찾아볼 수 있다. 과학자들이 고대 유라시아인들의 유전자 데이터를 조사해 현대 유럽인에게서 나타나는 질병의 기원을 찾아냈다. 질병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식물 생태계 복원 위해 초식동물 개체수 조절 필요할까
동아사이언스
l
2023.11.05
동물인 '게레눅'의 모습을 실었다. 아프리카 동남부에 서식하는 게레눅은 아프리카
초원
에 사는 대표적인 초식동물이다. 초식동물은 생태계를 유지하는 중요한 계층이다. 특히 자연 환경에서 식물의 풍부함과 다양성에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초식동물의 개체수 증가는 식물 ... ...
스페셜 더보기
d라이브러리
[마이보의 과학영상 읽어줌] 쓰나미 대피 요령 외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7호
수 : 85.5만 명)검은 털이 복슬복슬한 이 개 이름은 방카르입니다. 방카르는 몽골의 드넓은
초원
을 달리며 가축을 보호하고 맹수로부터 몽골인을 지켜주기도 해요. 방카르는 ‘귀신 쫓는 개’라는 별명도 가지고 있어요. 방카르에 대해 속속들이 파헤쳐 봤습니다 ... ...
[숫자로 보는 뉴스] 기온 따라 변신?! 날개 무늬 바꾸는 나비
어린이수학동아
l
2024년 05호
눈에 띄지 않으려면 주변 식물들과 비슷하게 무늬 없는 갈색 날개가 더 좋지요. 단, 수컷
초원
갈색나비들은 점이 많아야 암컷에게 잘 선택받을 수 있어서, 기온이 높은 곳에서도 날개 무늬를 바꾸지 않았어요. 용어 설명℃★ 우리나라에서 기온을나타낼 때 주로 사용하는 ‘섭씨온도’의 ... ...
[특집] 동물복제 왜 할까?
어린이과학동아
l
2024년 04호
계획이죠. 연구팀은 “매머드를 복원함으로써 시베리아 툰드라를
초원
으로 되돌리고, 이
초원
이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 효과를 가져올 것”이라고 말했습니다 ... ...
타디그레이트 피플
수학동아
l
2024년 02호
떴다. 살짝 눈만 감은 채 쉬려 했는데 어렴풋이 꿈을 꾸었다. 꿈에서 선은 드넓게 펼쳐진
초원
길을 친구와 함께 걷고 있었다. 태양에서 쏟아진 햇빛 줄기가 식물의 거대한 푸른 잎 위에서 반짝이며 부서졌고, 다섯 갈래 꽃잎 사이로 호박벌이 머리를 집어넣고 엉덩이를 씰룩대는 모습도 봤다. 아마도 ... ...
d라이브러리 더보기
어린이과학동아
초원
에서 아무도 안먹는 하이에나 고기. 유일하게 먹는 동물이 있다고?
기사
l
20250220
사진출처 : https://namu.wiki/w/%ED%95%98%EC%9D%B4%EC%97%90%EB%82%98) 안녕하세요. 이예나 기자입니다. 야생
초원
에서 하이에나 고기는 맛없기로 유명해 거의 아무도 먹지 않는다고 합니다. 하지만 이 하이에나 고기를 유일하게 먹는 동물이 있는데요. 바로 하이에나 입니다. 같은 동족을 잡아먹는다고 ...
저빌탐사대 - 250202 - 4
탐사기록
l
20250202
초원
수리로 추정 ...
쿠시로 두루미 원정대 후기
기사
l
20241125
주기적으로 흙을 채취하여 분석하고 있다고 합니다. 다양한 습지 생물에 관련된 설명을 들으며 안쪽으로 가니 나무가 사라지고
초원
같은 곳이 나타났는데 그곳에서 사슴 가족들과 마주쳤습니다. 수사슴의 커다란 뿔이 가장 인상깊었습니다. 점심식사 후 이동 중 솔개무리를 발견했습니다. 국내에서 보기 힘든 진귀한 풍경이라 ...
남매탐사대 - 240519 - 2
탐사기록
l
20240519
남색
초원
하늘소 ...
남색
초원
하늘소
탐사기록
l
20240511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