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 "AI, 양자컴퓨터와 상호보완적으로 발전 가능"동아사이언스 l2025.09.29
- 9월부터 11월까지 총 7회에 걸쳐 'AI 프런티어 시리즈: 과학기술(S&T)×AI, 미래를 설계하다' 한림원탁토론회를 개최한다. AI 기반 교육, 연구, 산업, 정책을 유기적으로 연결하고 국가 과학기술의 미래 방향을 제시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날 토론회는 시리즈 세 번째 순서다 ... ...
- [사이언스게시판] 과기정통부, '한국-OECD 합성생물학 워크숍 개최' 外동아사이언스 l2025.09.25
- 인공지능(AI)을 활용한 새로운 에너지 패러다임과 전환 전략을 다뤘다. ■ 한국공학한림원(NAEK)은 'Physical AI 시대, 한국의 대응 전략'을 주제로 제281회 NAEK포럼을 개최한다고 25일 밝혔다. Physical AI란 텍스트·이미지 생성에 머물렀던 기존 생성형 AI를 넘어, 휴머노이드·자율주행·자율 생산 등 물리적 ... ...
- 과학자·언론 신속·정확하게 잇는다…한국과학기술미디어센터 공식 개소동아사이언스 l2025.09.23
- 구혁채 과학기술정보통신부 1차관과 이은정 한국과학기자협회장, 정진호 한국과학기술한림원장이 축사를 했으며, 설립위원장을 맡았던 홍성욱 서울대 과학학과 교수와 글로벌 사이언스미디어센터의 축하 영상이 상영됐다. 이어 이근영 한국과학기술미디어센터장의 비전 발표가 이어졌다. ... ...
- 이건우 DGIST 총장 "피지컬AI·휴먼디지털트윈·양자센싱에 역량 집중"동아사이언스 l2025.09.21
- 운영해 3대 미래 연구분야를 정했다. 이 총장은 "외부 위원장으로 윤의준 현 한국공학한림원원장을 모시고 교내 젊은 연구자 10명 등과 함께 논의한 결과"라고 밝혔다. 글로벌 트렌드와 DGIST 보유 역량, 지역과의 산업 연계성을 모두 고려했다는 설명이다. ● "피지컬AI로 패러다임 넘어가는 시점이 ... ...
뉴스 더보기
d라이브러리
- [과학사 극장] 홍대용은 조선의 코페르니쿠스 였을까?과학동아 l2023년 10호
- 처음으로 생각한 사람이라 평가했다. 그 업적으로 홍대용은 과학기술부와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선정한 과학기술인 명예의 전당에 이름을 올리기도 했다. 하지만 ‘지구가 돈다’는 생각은 홍대용이 조선 최초로 한 것도 아니었고, 더욱이 코페르니쿠스가 주장한 지동설과도 달랐다. 조선에서 ... ...
- (광고) 과학으로 우리의 삶을 바꾼 사람들 '대한민국 과학기술유공자'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8호
- 발표돼 작년까지 총 81명의 과학기술자들이 선정됐지요.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은 유공자 지원사업을 통해 그들의 업적을 기리고, 과학기술 분야의 연구자들이 자긍심을 갖고 연구할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답니다.-이호왕 교수 (1928~2022) 고려대학교 명예교수1976년, 당시 유행성 출열혈을 일으키는 ... ...
- [5년 후, 과학은]빛과 소리로 몸속을 샅샅이, 광음향 의료영상기술과학동아 l2023년 01호
- 연구 분야는 차세대 의료영상 기술 개발, 임상적용 및 기술사업화다. 2017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 젊은 과학자상, 2017년 IEEE EMBS 젊은과학자상, 2021년 이달의과학기술자상을 수상했으며, 현재 SPIE 및 OPTICA 석학회원이다. chulhong@postech.ac ... ...
- 주목! 한국 수학계를 이끌 차세대 수학자는?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비선형 방정식 중 하나예요. 이 연구로 오 교수는 최연소로 2016년 한국과학기술한림원이 만 40세 미만 유망한 과학자에게 수상하는 젊은과학자상(대통령상)을 받았습니다. 양-밀스 방정식, 아인슈타인 방정식 등 우주의 비밀을 밝히는 연구를 계속하고 있습니다. 연구 분야 : 편미분방정식, ... ...
d라이브러리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