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계"(으)로 총 4,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소설 I 멋진 신세계] 엄마의 계획수학동아 l2017년 07호
- 나오자 당연하다는 듯이 마고가 기다리고 있었다.“도대체 어디로 갔던 거야?”마고의 기계음은 평소와 다름없이 차분했지만, 하림은 왠지 그 안에서 책망하는 듯한 분위기를 느꼈다.“너야말로 어디 갔던 거야? 엘리베이터에서 나오니까 없더만.”하림은 일부러 적반하장으로 나왔다.“좀 ... ...
- Part 4. 벌레, 로봇을 입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나방이 조종하는 로봇 등장!수컷 나방은 수km 떨어져 있는 암컷 나방의 냄새를 맡을 수 있을 정도로 후각이 예민해요. 그런데 최근 일본 도쿄대학교 안도 노리야스 교수팀이 나방의 후각을 활용할 수 있는 특이한 로봇을 만들었어요. 바로, 나방이 직접 조종하는 로봇이랍니다.이 로봇에는 나방이 탑 ... ...
- Part 3. 마실물 만드는 별별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뿌리가 염분을 들어오지 못하게 막고, 물만 흡수하는 거예요.이상준 포스텍 기계공학부 교수팀은 맹그로브 뿌리의 원리를 이용해 바닷물을 담수로 바꾸는 새로운 방법을 개발했어요. 연구팀은 페트병과 같은 소재의 막에 양전하를 띠는 물질과 음전하를 띠는 물질을 여러 층으로 쌓았어요. 염분이 ... ...
- [과학뉴스] 50만 개의 뉴런으로 직접 뇌를 그리다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가장 많이 받은 것 을 우승작으로 선정하고 있다.던 작가는 “우주에서 가장 신기한 기계가 우리 몸안에 있다는 걸 각인시키고 싶었다”고 수상 소감을 전했다 ... ...
- [Future] 누나 드론 차 뽑았다, 널 데리러 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됐지만, 플라잉카만큼은 아직까지도 불가능한 상황이다.이유가 뭘까. 이관중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는 “자동차만큼 운전하기 쉽고 안전하게 만들기 어려운데다 연비(연료 효율)가 나쁘고 소음도 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운전자가 쉽게 운전할 수 있으면서도 안전해야 하는데, 도로를 ... ...
- Part 2. 수학, 음악을 만들다수학동아 l2017년 06호
- 언어인 리듬과 멜로디, 화성★을 인식해 응답한다. 즉흥연주법을 배우는 과정은 평범한 기계학습 원리와 같다. 컴퓨터에게 수많은 고양이 사진을 주고 ‘고양이’라고 가르치면 자동으로 고양이 사진의 패턴을 배우는 것처럼 잼 인공지능도 잼 자료를 듣고 어울리는 연주의 패턴을 학습한다.리듬과 ... ...
- [Issue] 이게 맥주야? 커피야? 질소 커피의 인기 비결은?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과정부터 맥주와 비슷했다. 카페에서 볼 수 있는 에스프레소 기기가 아니라 생맥주 기계처럼 생긴 기기를 이용했다(왼쪽 사진).“드시기 전에 한번 보세요.” 신동휴 이디야커피 커피음료R&D팀장은 잔에 따른 커피를 탁상에 놓고 가만히 기다렸다(심지어 잔도 맥주 잔 같이 생겼다). 그러자 흑맥주 ... ...
- Part 1. 바퀴벌레 아니고 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바퀴벌레 로봇, ‘크램’을 소개합니다!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교 로버트 풀 교수팀은 바퀴벌레 로봇 ‘크램’을 만들었어요. 바퀴벌레가 몸을 절반 이상 낮춰서 4mm의 좁은 틈도 통과하는 모습을 보고 아이디어를 얻었지요.바퀴벌레는 부드러운 여러 개의 판으로 이루어진 외골격과 각각의 판 ... ...
- Part 5. 미래의 사이버그를 위하여!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구조로 만들어야 해요. 그런데 무거운 금속으로 날개를 만들 경우, 빠르게 흔들기 위해선 기계가 무리할 만큼의 큰 힘이 필요하지요. 따라서 쉽게 고장이 날 수밖에 없답니다. 이를 막기 위해선 금속보다 가벼우면서도 외부 충격에 쉽게 찢어지지 않는 재료를 사용해야 해요.최근엔 미국 ... ...
- Part 2. 바닷물 어떻게 마실 수 있는 물로 만들까?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6호
- 바닷물을 그냥 마시면 안 되는 이유!바닷물을 그냥 마시면 안 되는 이유는 바로 ‘삼투현상’ 때문이에요. 바닷물에는 흔히 소금이라고 부르는 염화나트륨을 비롯해 여러 ‘염류’들이 포함돼 있어요. 이렇게 바닷물에 녹아 있는 염류들을 모두 합쳐 ‘염분’이라고 불러요. 전세계 바닷물의 평균 ... ...
이전9697989910010110210310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