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기계"(으)로 총 4,196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기억의 우주에서 불멸이 되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이식되기 직전에 환자의 아내가 의사에게 이렇게 물었다고 한다. “남편의 심장이 기계로 바뀐 뒤에도 그가 여전히 나를 사랑할까요?” 알다시피 이 걱정은 이제 더 이상 문제가 되지 않는다 ... ...
- Bridge. ‘물질 디자이너’ 꿈꾸는 양자물질 헌터들과학동아 l2017년 04호
- 도입하려고 한다. 수백만 종류의 물질에서 특정 물질을 찾는 것은 아주 어려운 일인데, 기계학습을 적용하기에 딱 좋은 분야다.Q 양자물질 연구가 성숙하면,양자역학의 다음 단계는 뭐가 될까?다음은 ‘물질 디자인’이 될 거라고 생각한다. 지금은 존재하는 물질과 존재하는 결정을 찾는 단계지만, ... ...
- [도전! 코드마스터] SW와 함께하는 미래어린이과학동아 l2017년 04호
- ‘4차 산업혁명’ 시대라고 불러요. 원래 산업혁명은 1784년 영국에서 증기기관을 비롯한 기계가 쓰이기 시작한 시기를 말해요.△1차 산업혁명 시대에 사용한 증기기관차.인류는 300년도 안 되는 시간 동안 1~4차 산업혁명을 겪었다.△로봇 기자인 ‘워드스미스’가 작성한 기사(왼쪽)와, 우리나라 로봇 ... ...
- 갑자기 똑똑해진 음성인식, 그 비밀은?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지 채 10년도 되지 않았는데, 음성인식은 새로운 변화를 불러오고 있다. 이제는 음성으로 기계를 자연스럽게 조작할 날이 머지않았다.음성인식 자동통역 서비스 지니톡은 다른 언어를 쓰는 사람끼리 자연스럽게 대화할 수 있게 도와준다. 음성인식, 스마트해지다음성은 저마다 특징을 갖고 있다. ... ...
- [DJ CHO의 롤링수톤] 콜드플레이의 ‘더 사이언티스트’ 감성 충만 과학자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정답만 찾으려고 헤매다 사랑을 놓쳐 버렸다는 것이지요. 인간에게 이성만 있다면 기계와 다름이 없겠지요. 그래서 우리 인간에게는 감성이라는 불필요해 보이지만 삶을 풍요롭게 만들어주는 능력이 필요합니다. 그런데 ‘더 사이언티스트’에서 노래하듯이 과학자들은 감성이 부족할까요? 모든 ... ...
- Part 3. 인공지능도 역설을 이해할까?수학동아 l2017년 04호
- 인공지능도 ‘집합 R이 R의 원소이기도 하고, 원소가 아니기도 하다’는 결론의 허점을 기계가 이해할 수 있는 언어로 쓸 수 있다.그럼 이발사의 역설에서는 어떤 결론을 얻어낼 수 있을까? 자신의 머리를 스스로 자를 수 없는 모든 이의 머리는 잘라주지만 머리를 스스로 자르는 이의 머리는 ... ...
- Part 2. 미시세계 꿰뚫는 열쇠, 수학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나노’는 한번쯤 들어봤을 법한 단어다. ‘나노 기술’에 대한 연구 결과가 뉴스에 자주 등장하기 때문이다. 이 기술은 10억 분의 1m를 뜻하는 나노미터(nm) 크기의 물질을 다룬다. 기존 물질과는 성질이 달라서 의료, 에너지, 촉매, 센서 등 다양한 분야에서 주목받고 있다.나노 입자를 활용하려면 ... ...
- [Future] ‘잘 나가던’ 소프트로봇이 발목 잡힌 이유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생각하는 방식을 바꿔야 한다”며 “이 논문이 좋은 예”라고 밝혔다. 조규진 서울대 기계항공공학부 교수도 “학계에서 거의 다루지 않는 설계시 신뢰도와, 상용화를 할 때 고려해야 할 여러 요소에 대한 논의를 제공했다는 데 의의가있다”며 “기술을 제품화할 때 참고하기 좋은 논문”이라고 ... ...
- Part 1. 수학으로 본 작은 세상수학동아 l2017년 03호
- “도윤아, 노올~자.”도윤이, 하윤이 남매의 집은 동네 친구들의 놀이터였다. 괴짜과학자인 부모님 덕분에 신기한 장난감이 많았기 때문이다. 오늘도 동네 아이들이 놀러왔다.“어휴, 시끄러운 방해꾼들이 또 오셨군.”누나인 하윤이는 투덜거리며, 조용히 있을 수 있는 곳을 찾아 일어섰다. 작아 ... ...
- [포토뉴스] 쓰레기통으로 목성의 대기 흐름 재현하다과학동아 l2017년 03호
- 조나단 아르노 교수팀은 목성의 대기를 최초로 실험실에서 재현하기 위해 기계공학 실험에 쓰이는 대형 회전 테이블을 이용했다. 이 장치는 1분에 120번 회전할 뿐만 아니라 1t의 무게를 견디기 때문에 많은 액체가 담긴 탱크를 빠른 속도로 돌릴 수 있다. 연구팀은 지름 1m, 높이 1.37m의 원통형 ... ...
이전100101102103104105106107108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