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
학급
병단
군단
대
단체
일단
d라이브러리
"
반
"(으)로 총 2,507건 검색되었습니다.
[수학클리닉] 확률 정복하기!
수학동아
l
2011년 10호
포기하지 않고 꾸준히 노력하다 보면 분명 여러분의 노력이 빛을 발하는 날이
반
드시 올 겁니다.1%의 가능성이 있는 일에 100번 도전했을 때 적어도 1번 이상 성공할 확률을 구해보면 아마 깜짝 놀랄 거예요. 1 - 0.99100≒0.63, 즉 63%나 되거든요. 다들 조금씩 힘내서 포기하지 말고 꾸준히 노력해서 이번 ... ...
Part 1. 기다림의 과학, 재활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버리고 단계적으로 차근차근해야토미존 수술 뒤 선수들은 짧게는 1년, 길게는 1년
반
의 재활 기간을 거친다. 수술을 받은 뒤 첫 4주는 수술한 부위를 고정해 아물도록 기다린다. 그 뒤 4주 정도 물리치료를 통해 관절의 운동 범위를 회복한다. 수술 8주 뒤부턴 근력을 만든다. 이 단계는 사람에 따라 ... ...
[knowledge] 고대 화장품은 현대 화장품과 다르다? 같다!
과학동아
l
2011년 10호
발견하면서 화장품에 결합했다. 레틴A는 각질층에 쌓인 늙은 세포는 떨어져 나가게 하는
반
면 젊은 세포는 성장을 촉진시켜 피부를 젊은 세포로 회복하게 만든다. 레티놀은 레틴A에서 만든 유사품으로 공기 중에 쉽게 산화되는 단점이 있으나 피부 자극은 상대적으로 적다.최근엔 줄기세포 성분이 ... ...
통계 휘어잡기!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누적도수’ 를 떠올리고 문제를 푸는 실수를 많이 했어요. 하지만 기본 개념을 여러 번
반
복해 공부했더니, 훨씬 나아졌어요.”또 옆에 있던 백민찬 학생은 가장 고민하고 어려웠던 유형의 문제를 극복한 노하우를 소개했어요. “찢어진 그래프를 이용해 푸는 문제 유형이 가장 어려워요. 그래서 ... ...
목소리 크면 주던 점수, 이젠 정밀 채점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콘텐츠를 자유롭게 스트리밍서비스 받을 수 있다. 이를 고려한다면 아마도 머지않아
반
주기의 스트리밍서비스도 본격화돼 언제 어디서든 최신곡을 바로 즐길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3D 영상이 본격 지원되면 실제 공연장에서 노래를 부르는 것 같은 느낌을 받을 것이다 ... ...
공책, 수학으로 가득 찬 '빈 책'
수학동아
l
2011년 09호
스프링으로 제본한 공책이 좋다. 이 공책은 종이가 한 장씩 따로 묶여 있다. 공책을
반
으로 접어 쓰기에도 편해 책상 위의 공간을 적게 차지한다.스프링 공책은 종이의 왼쪽이나 위쪽에 작은 구멍을 뚫고 스프링을 끼워 만든다. 스프링 지름의 크기는 1cm에서 수cm로 종이의 매수에 따라 다르다. 묶을 ... ...
꿈을 향해 어디까지 왔을까?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대체로 물리가 연관이 깊으니 유리할 거야. 더불어 수학도 매우 중요해. 컴퓨터 공부는 일
반
공부가 지루하거나 힘들 때 틈틈이 하도록 해. 봉사활동을 하고 있니?” “가끔 하고, 꾸준히 하는 건 없어요.” “그렇다면 컴퓨터 조립하는 법을 인터넷에서 배워봐. 그리고 주위에서 중고 컴퓨터를 ... ...
노벨과학상 양성소 일본 교토대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분화능력을 가진 역분화줄기세포를 만드는 데 성공했다. 그러자 교토대는 2년
반
만에 이를 위한 연구소를 설립해신야 교수의 연구를 지원했다. 이곳은 개방형 실험실과 세포배양 처리시설 등 역분화줄기세포 연구에 최적화된 환경을 갖추고 있다.지난해 10월 당시 교토대에 유학 중인 학생의 수는 1 ... ...
과일 먹은 사람은 몇 명?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나눠도 맞지 않습니다. 그런데 갑자기 다른
반
선생님이 다른 아이들에게도 줘야 한다며
반
을 가져갔습니다. 잠시 후 그 선생님은 과일이 몇 개 남는다며 7개를 되돌려 줬습니다. 영희는 배가 아파서 양호실로 가네요. 그제야 과일을 3개씩 나누니 딱 맞았습니다. 영희를 제외한 아이들은 몇 명일까요 ... ...
월드와이드웹 20년, 아직 진화는 끝나지 않았다
과학동아
l
2011년 09호
인한 언어장벽 해소다. 인터넷이 전 세계를 연결하고 있지만 사실 콘텐츠는 영어가
반
을 넘고 그나마 다른 언어는 해독조차 어렵다. 우리나라 사람들의 1인당 인터넷 트래픽수가 세계 1위라지만 결국 찾아가는 곳 대다수는 당연히 한글 사이트다.그런데 구글을 비롯해 몇몇 업체들은 각국의 언어를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