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
학급
병단
군단
대
단체
일단
d라이브러리
"
반
"(으)로 총 2,507건 검색되었습니다.
임지순 서울대 물리천문학부 교수
과학동아
l
2011년 06호
하겠다는 친구라면 큰 문제에 도전해 보세요. 성과는 금방 나오지 않겠지만 인생을
반
복하며 사는 건 재미 없잖아요. 청소년들은 공부 말고도 자기가 좋아하는 것에 꼭 시간을 내보세요. 그게 꼭 과학이 아니더라도. 나도 열심히 다른 분야 책 보다 과학자가 됐어요 ... ...
암산 왕과 암산 신동을 만나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때문에 초등학교 때 암산을 잘한다면 수학에 자신감을 얻을 수 있죠. 암산을 잘한다고
반
드시 수학을 잘하는 것은 아니지만 도움이 된다고 볼 수 있습니다 ... ...
[수학클리닉] 함수 정복하기!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놓치지 마세요.3학년 학생들은 이차함수 그래프 모양의 핵심이 ‘대칭’ 이라는 것을
반
드시 기억해 두세요. 주어진 그래프를 관찰해대칭축과 꼭짓점을 구할 수 있어야 하고, 이는 최댓값과 최솟값으로 연결돼 고등학교 과정으로 확장되는 발판 역할을 하거든요. 그래프를 얼마나 잘 해석하느냐에 ... ...
발명의 나라 스웨덴 4D프레임과 사랑에 빠지다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피라미드를 만들었다. 시에르핀스키 피라미드는 프랙탈 도형으로 정사면체가
반
복해서 나타난다.시에르핀스키 피라미드를 직접 만들어 본 에이나르 프란센 나카시 교육감은 “수학은 물론 협동심까지 가르칠 수 있는 좋은 교구” 라며 “다른 수학 교구는 미리 정해놓은 도형만 만들 수 있는데, ... ...
완전수 6으로 떠나는 여행
수학동아
l
2011년 06호
직사각형으로 만들 수 있어. 그러면 n번째 삼각수는 이 직사각형을 이루는 점의 개수의 절
반
인 n×(n+1)/2 이라는 공식으로 나타낼 수 있단다.이번 여행 어땠니? 이제 6에 대해서 자신 있게 말할 수 있을 것 같지. 숫자가 너무 흔하게 쓰이다 보니 숫자를 봐도 그냥 지나치는 경우가 많은데, 이번 여행으로 ... ...
우리 땅 독도 과학으로 지킨다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정도. 8명이었던 이어도 과학기지에 비해 늘었다. 또 과학기지 시설 중 일부는 학생과 일
반
인의 교육 공간으로 활용될 예정이다. 홍보관에서 체험학습을 하게 되면 멀게만 느껴지던 독도가 훨씬 가까이 다가올 것이다.지난 4월 1일 우리 정부는 독도에 무인 환경방사능 감지기를 설치했다. 우리나라로 ... ...
“고교생활의 값진 IT 경영수업”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5등 안에 들었지만 선린인터넷고를 지망하기에는 조금 부족한 성적이었다. 그래서 일
반
전형이 아닌 특별전형을 지원했다. 특별전형에서는 프로그래밍에 대한 소질을 보여야 하기 때문에 평소 좋아하는 게임을 직접 만들었다. “실제 게임 엔진을 써서 슛팅게임을 만들었어요. 면접을 볼 때 세부적인 ... ...
최초의 아벨상 수상자 장 피에르 세르 교수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문제를 생각할 때 눈을 감고 집중합니다. 정말 어려운 문제는 침대에 누워서 해결합니다.
반
쯤 졸면서 생각할 때 멋진 해결책이 떠오르곤 하죠.”세르 교수에게 ‘어려운 문제’를 하나 냈다. 2012년 국제수학교육대회와 2014년 국제수학자대회처럼 세계적인 행사 준비에 바쁜 한국 수학계에 조언을 ... ...
[영재교육현장] 수학자·과학자 돼보는 대진대 과학영재교육원
수학동아
l
2011년 05호
친구들 앞에서 발표까지 하며, 한 팀에 속한 영재들이 지혜와 능력을 총동원한다.생물학
반
은 멀리 갯벌까지 직접 찾아간다. 갯벌과 바다에 사는 동식물을 관찰하면서 갯벌생태계를 체험하는 것이다. 갯벌생태계의 역할과 중요성을 이해하는 과정에서 생물학 연구의 필요성을 깨달을 수 있다.이처럼 ... ...
Intro. 방사능 공포는 과장인가
과학동아
l
2011년 05호
취재를 통해 진실의 윤곽을 하나하나 끼워 맞춰 나가야 하는 것은 퍼즐이다. 미스터리는
반
대다. 정보가 너무 많아 진실을 알 수 없는 경우다. 그렇다면 방사능 논란은 퍼즐일까, 미스터리일까. 차고 넘치는 정보 속에서 오히려 혼란이 커지고 있으니 전형적인 미스터리가 아닐까.하지만 틀렸다.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