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녕
빵꾸
홀
함정
입
바람구멍
바람
뉴스
"
구멍
"(으)로 총 1,125건 검색되었습니다.
[2020 미래 바이오 전략] 줄기세포 치료제 시장, 한국이 선점 나섰다
2015.03.20
스스로 공격해 여기저기 염증이 생긴다. 안트로젠은 크론병으로 염증이 생겨 소화기관에
구멍
이 뚫린 경우 이를 치료하는 약물 ‘큐피스템’을 개발해 시판 중이다. 줄기세포 치료제 큐피스템 안트로젠 관계자는 “줄기세포 치료제는 다른 사람의 몸에서 뽑아낸 줄기세포를 이용하는 ... ...
6억 년 전 해면 동물 화석 발견
2015.03.16
수 있는 구조다. 즉 벽의 틈으로 물이 들어올 때 영양분을 잡아채고 나머지 물은 위의 큰
구멍
으로 나가게 설계돼 있다는 말이다. 해면은 가장 원시적인 형태의 동물로 세포군체와 진정한 다세포동물(진정후생동물)의 중간 형태다. 게놈서열을 비교한 결과 해면과 다른 동물과는 7억~8억 년 전에 ... ...
스테로이드의 유혹
과학동아
l
2015.03.01
꾸준히 불법 약물을 이용하는 게 상식적으로 이해가 되지 않는다. 이들은 빠져나갈
구멍
을 자신했던 걸까. 사실 도핑의 역사와 함께 불법약물 복용을 숨기는 반도핑 기술도 점점 발전하고 있다. 가장 먼저 떠오르는 방법은 검출이 어려운 약물을 사용하는 것이다. 바이오제네시스 스캔들을 예로 ... ...
빨간 약을 먹으면 양자세계가 사라질까?
2015.02.22
실재성 둘중의 하나만 틀려도 된다. 양자세계에서 하나의 입자가 동시에 두개의
구멍
을 지날 수 있다. 근데, 이것은 아무것도 아니다. 양자세계에서는 두 입자의 스핀이 전 우주적으로 얽혀있을 수도 있고, 실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렇다면 우리는 매트릭스에 사는 걸까, 실제 세계에 사는 걸까? ... ...
한파에 폭설까지, 빙판길 미끄러지지 않는 방법
2015.02.09
빗물이 빠져나가는 하수통로가 제 모습을 드러내고 있다. 창살을 제외하면 커다란 네모
구멍
이 대부분이니 눈이 쌓일 리 없다. 빈공간이 많다고 안 미끄러질 것이란 생각은 금물이다. 오히려 신발과 접촉하는 면적이 적어 약간의 수막만 생겨도 쉽게 미끄러진다. 큰 도로로 나가는 비탈길. 더러워 ... ...
양자역학에 나비효과는 없다
2015.02.08
행렬로 기술된다). 하이젠베르크가 발견한 행렬역학도 선형적이다. 전자가 두 개의
구멍
을 동시에 지날 수 있는 것도 수학적으로는 두 경로의 선형중첩으로 기술되기 때문이다. 만약 양자역학에 조금이라도 비선형성이 있다면, 중첩상태에서 하나의 상태로 귀결되는 일이 저절로 일어날 수 있다. ... ...
신용카드를 보면 그 사람을 알 수 있다
2015.02.01
주 ‘사이언스’에 발표했다. 내가 쓰는 신용카드가 사실 내 정보를 밖으로 내보내는
구멍
인 셈이다. 미국 카네기멜론대의 알레산드로 마퀴스티 박사팀은 개인정보가 상업적인 용도로 이용될 수 있다며 개인정보를 보호하는 정책을 펴야 한다고 강조하는 리뷰 논문을 냈다. 이밖에도 이번 주 ... ...
양자역학 없는 세상
2015.02.01
양자역학의 중첩상태로 설명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산소 분자는 전자가 동시에 두 개의
구멍
을 지난다는 ‘말도 안 되는’ 설명이 진실이라는 것을 증명하는 것이다. 산소 분자의 공유 결합. 점선 속의 전자 4개가 중첩상태다. - 과학동아 제공 ● 스마트폰의 시작은 에너지 밴드 에너지 밴드 ... ...
세상에서 가장 아름다운 운석이 알려주는 지구의 비밀
2015.01.25
연구진은 먼지와 암석, 얼어붙은 가스로 이뤄진 혜성의 핵을 분석했다. 혜성의 핵이
구멍
이 송송 뚫린 다공성에 푹신푹신한 구조로 이뤄져 있다는 사실을 알아낸 연구진은 혜성 탄생을 설명하는 학설에 새로운 근거를 제공했다. 그 밖에도 각국 연구진은 핵의 표면이 얼음과 함께 불투명한 ... ...
두 마리 토끼를 잡기 위한 말다툼
2015.01.25
건드려 교란한 것은 아닌데 어디를 지났는지는 알 수 있다”로 요약할 수 있다. 어느
구멍
을 지났는지 알았다면 전자가 입자로서 행동했다고 볼 수 있다. 그렇다면 상보성원리에 의해 여러 개의 줄무늬는 사라져야 한다. 줄무늬는 파동의 성질이니까. 한편, 불확정성원리에 기반한 파인만의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