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녕
빵꾸
홀
함정
입
바람구멍
바람
뉴스
"
구멍
"(으)로 총 1,125건 검색되었습니다.
원료 넣고 펄펄 끓였더니
구멍
이 숭숭
2014.11.18
메조다공성물질을 지목했다. 메조다공성물질은 지름 2~50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의
구멍
인 ‘메조 기공’이 송송 뚫려있는 소재다. 크기에 따라 기공의 종류도 나뉜다. 지름 2nm 이하는 ‘마이크로 기공’, 지름 50nm 이상은 ‘매크로 기공’으로 불린다. 최근 국내 연구진은 이처럼 서로 ... ...
영화 ‘인터스텔라’의 옥에 티, 찾아봤습니다
2014.11.14
더 이상 인류가 살 수 없게 된 지구. 때마침 토성 근처에서 웜홀(다른 시공간을 잇는 우주
구멍
)이 발견된다. 지난주 개봉한 영화 ‘인터스텔라(Interstellar)’는 새로운 터전을 찾기 위해 웜홀을 타고 심(深)우주로 떠나는 탐험가들의 이야기를 그렸다. ‘현대 우주물리학의 성과를 묘사한 사상 최고의 ... ...
미니어처 크기 ‘나노 배터리’ 나온다
2014.11.11
초소형 구조물을 완성했다. 이상복 메릴랜드대 교수팀이 개발한 나노동공 베터리.
구멍
하나가 하나의 배터리다. - 메릴랜드대 재료공학과 제공 이 배터리로 실험한 결과 전기를 발생시키는 것은 물론 12분 만에 배터리가 완벽하게 충전됐다. 또 연구진은 이 배터리를 수천 번 재충전해서 ... ...
5만 번 충·방전해도 끄떡없는 고용량 충전지 나왔다
2014.11.06
포함한 탄소계 원료 용액을 가느다란 관을 통해 뿜어내면서 열을 가하는 방식으로 겉에
구멍
이 많고 속은 비어 있는 공 모양의 탄소계 물질을 만들었다. 이어 이 물질 속을 금속화합물로 채워 새로운 구조의 소재를 개발했다. 이 물질은 기존 이차전지보다 에너지 저장 용량이 2.5배 많고, ... ...
홍상어 4발 쏘고 “합격”… 뒤늦게 결함 발견
동아일보
l
2014.11.05
홍상어-청상어 개발 과정서 700억 낭비 - ‘제2 천안함’ 막을 대북 해저 방어망에
구멍
- [사설]非理 방위사업청 놔두고 전작권 연기 설득할 수 있겠나 - ‘아이언 돔’ 위력 과시 이스라엘, ‘다윗 물맷돌’ 시험발사도 성공 - 핵폭탄 16발 은밀히 北 상공에? 평양 등골 ‘오싹’ - “北 까불지마”…美 ... ...
위를 줄인다고 비만이 해결될 수 있을까?
2014.11.03
되게 묶고 여기에 잘라낸 소장(뒷부분)을 붙인다. 잘린 소장 앞부분은 소장 벽에
구멍
을 내 연결한다. 가운데는 위소매절제술로 세로방향으로 위를 잘라내 용적을 줄인다. 오른쪽은 위밴드술로 조이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는 실리콘밴드를 채우는 비교적 온화한 수술법이다. - 네이처 제공 ... ...
맨홀뚜껑 닮은 나노구조로 뭐 만들까
2014.10.28
수준의 기공이 있는 3차원 구조물 틈새에 15nm(나노미터·1nm는 10억 분의 1m) 크기의
구멍
을 맨홀뚜껑 모양으로 낸 고분자물질을 채워 넣었다. 기존 평면(2차원) 구조였던 분리막을 3차원 구조로 만들면서 두께는 두꺼워졌지만 표면적이 넓어져 처리 속도가 빨라지고 내구성도 높아졌다. 유 교수는 ... ...
3차원 반도체 회로 기술 세계 최초 개발
2014.10.20
20~200nm 크기의 미세한
구멍
이 촘촘하게 수없이 뚫려있는 얇은 판을 만든 것. 이
구멍
안에 액정 분자가 형성하는 나선형 나노 구조체를 형성시켜 제각각 나선모양의 나노 구조체로 성장시키는데 성공했다. 또 나노 구조체의 지름을 바꾸면 내부에서 생기는 나선 간격도 일정하게 바뀐다는 사실 ... ...
‘네이처’가 KAIST의 ‘에듀케이션 3.0’ 주목한 까닭
2014.10.19
많았던 짧은 자기 고리를 찾아냈고, 하버드-스미소니언 천체물리센터 팀은 코로나
구멍
안에서 초고속 제트기류를 발견했다. 연구팀은 제트기류가 태양풍을 발생시키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것이라고 추정했다. 베일에 싸여 있던 태양의 비밀이 한꺼번에 벗겨지면서 과학계는 흥분하고 있다. 특히 ... ...
영화 ‘메이즈 러너’처럼 기억 지울 수 있을까
2014.10.10
기억을 조작할 수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 KAIST 제공 연구진은 이후 쥐의 두개골에
구멍
을 뚫어 이 신경세포로 빛을 전달할 수 있는 광섬유를 심었다. 그리고 광섬유로 빛을 쪼여 신경세포를 자극하면서 암컷과 교미하도록 했다. 놀랍게도 수컷 쥐는 교미가 끝난 뒤 전기 충격을 당한 장소에서도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