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구녕
빵꾸
홀
함정
입
바람구멍
바람
뉴스
"
구멍
"(으)로 총 1,126건 검색되었습니다.
진공을 채우는 에너지, 한 눈에
동아사이언스
l
2014.03.10
진공 상태에 있는 거울 2개 사이를 지나면서 일정한 분포로 광자를 방출했다. 나노
구멍
을 통과한 원자가 거울 사이에 존재하는 진공 에너지(붉은 구름)를 지나고 있다. - 서울대 제공 거울 사이에는 이미 진공 에너지가 파도처럼 산과 골을 가지며 분포돼 있는데, 원자가 이 분포에 따라 특정한 ... ...
[단독]“줄기세포 주사 한방으로… 무릎연골 최대 22%재생”
동아일보
l
2014.03.06
안전성을 크게 높였다는 점이 특징이다. 무릎 절개 후 손상된 관절에 직경 3∼5mm의 미세
구멍
을 뚫고 줄기세포액을 1시간가량 도포하는 카티스템은 무릎 절개를 위해서 반드시 하반신 또는 전신마취가 필요하다. 하지만 고농축 줄기세포액 주사는 마취 없이 단 1차례의 주사만으로 상당한 재생효과를 ... ...
'계륵' 신세된 비인기 이공계 대학원생
동아사이언스
l
2014.03.04
있지만 현실은 녹록치 않다. 어디서부터 단추가 잘못 끼워졌는지 알지 못한 채 바늘
구멍
같은 취업문과 짧은 기간 안주할 수 있는 대학원 진학 사이에서 갈팡질팡하고 있다. “이런 상황을 지켜보면 정말 취업과 대학원 진학 사이에서 어떤 결정을 내려야 하는지 혼란스러워요. 누군가 속시원히 ... ...
해면의 진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5
하지 못한 것이지만. 해면은 작은
구멍
이 숭숭 뚫려있는 꽃병 같이 생겼다. 작은
구멍
으로 물이 들어올 때 그 속에 떠있는 먹이를 먹는 부유물섭식자(suspension feeder)다. 안으로 들어온 물은 꽃병주둥이(대공)를 통해 빠져나간다. 참고로 인류는 오래전부터 콜라겐 단백질 골격을 갖는 해면을 ... ...
생명체 탄생 산소 덕분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9
가장 유사한 형태라고 알려진 고생물 '바다 해면'(Halichondria panicea)을 채취했다. 해면은
구멍
이 무수히 뚫린 젤라틴 껍질을 가진 생물체로, 약 5억 년 전 고생대 캄브리아기에 등장해 아직도 바다 속에서 플랑크톤을 잡아먹으며 군집을 이루고 살고 있다. 연구팀은 이 바다 해면을 전체 기체 중 ... ...
꿈의 소재 ‘그래핀’ 상용화 눈 앞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14.02.02
만들어 활용 범위를 넓힐 수 있다는 사실도 확인했다. 김 교수는 “구조와
구멍
크기를 쉽게 조절할 수 있고 다른 물질과 결합이 가능하다는 점에서 맞춤형 그래핀 소재를 만드는 길이 열렸다”며 “유연하고 전기가 잘 통할 뿐만 아니라 대면적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에 그래핀을 상용화하는 데 ... ...
생물학의 역사를 바꾼 X선 분광기술 100년
동아사이언스
l
2014.02.02
유입된 신호는 포트 1로만 향했다. 알루 교수는 “오른쪽으로 회전하던 공기가 공진
구멍
의 강력한 울림을 만난 것이 한쪽 방향으로만 소리 신호를 전달하게 된 원리”라며 “이번에 개발한 기술은 다양한 종류의 단방향 통신기기 개발에 이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 ...
[기자의 눈] '삼성 문제다' 얘기 못하는 이들
동아사이언스
l
2014.01.28
것이다. 자본이 정치와 사회 모든 분야를 장악해 나가고 있는 이 시점에 언론도 ‘목
구멍
이 포도청’이라는 생각으로 뻔히 보이는 문제점마저 감추고, 옹호만 하다가는 대중이 영영 등을 돌릴 수도 있다는 의미를 준 것이다. 자본의 시대에 언론사에게 광고는 ‘당의’을 입힌 독약이다 ... ...
[채널A] 겨울잠 자는 어린 ‘물거미’ 첫 포착
채널A
l
2014.01.28
집입니다. 물거미는 평생을 물속에서 생활하지만 육상거미처럼 허파와 복부의 숨
구멍
으로 호흡하기 때문에 복부에 항상 공기방울을 붙이고 다닙니다. 또 거미줄로 공기주머니집을 만들어 그 안에서 먹이를 먹고 보온 효과를 이용해 겨울잠도 자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런데 몸길이가 3.3mm에 ... ...
‘나노횃불’로 생체현상 밝힌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1.23
데 이용할 수 있다. 실제로 연구진은 200~400nm(나노미터·10억분의 1m) 크기의 작은
구멍
이 촘촘히 나있는 금속칩 위에 관찰하려는 세포를 올려놓고 칩 아래에서 빛을 쪼였다. 그 결과 나노횃불이 세포 내 생체 분자를 투과하면서 선명한 영상이 나타났다. 이 나노칩을 이용하면 생체 분자의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