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해
해
피해
상해
상처
결손
위해
d라이브러리
"
손상
"(으)로 총 1,706건 검색되었습니다.
광우병 그 정체를 밝힌다
과학동아
l
2004년 02호
1960년대 미국 과학자인 빌 하들로우는 웰컴 의학박물관에서 스크래피로 죽은 양의
손상
된 뇌 사진을 봤다. 그리고 이것이 포어족 쿠루병 환자의 뇌와 비슷함을 발견했다. 2년 후 가주섹과 조 깁스가 쿠루병으로 사망한 환자의 뇌조직을 침팬지에 주입했더니 같은 증상을 보이며 죽었다. 쿠루병 역시 ... ...
05. [시간과 생체] 우리몸은 어떻게 시간을 알까?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나왔다. 일본 고베대의 히토시 오카무라 교수팀의 연구에 따르면 실험동물이 간 조직의
손상
을 받았을 때 재생을 위해 세포분열을 왕성하게 해야 하는데 이 과정의 진행시기를 알리는데 생체시계가 작용한다고 한다. 생체시계의 가속장치인 ‘클락’과 ‘비말1’이 세포분열과정에 관여하는 ‘위 ... ...
06. [시간의 심리] 연인과의 시간은 왜 빨리 가나?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경우 수십년 동안의 개인적인 기억이 완전히 증발된다. 만일 해마와 대뇌 측두엽이 모두
손상
된다면 기억 자체를 잃게 된다. 따라서 이런 사람들은 뇌가 정상일 때의 일을 기억하지 못할 뿐 아니라 1분전에 있었던 일도 잊어버린다. 반면 수면시간을 알려주는 생체시계는 여전히 정상적으로 작동한다 ... ...
피부색 따른 인종 구분은 넌센스
과학동아
l
2004년 01호
염증이나 주름이 쉽게 생긴다.피부암 예방도 멜라닌의 중요한 역할이다. 자외선은 DNA를
손상
시켜 정상세포를 암세포로 만든다. 실제 멜라닌 색소가 부족해 자외선에 취약한 백인들은 피부암에 잘 걸린다. 일광욕을 즐기는 사람들이 늘어남에 따라 백인의 경우 지난 50년간 피부암의 일종인 흑색종 ... ...
옛 소련 비밀 기술이 숙취를 예방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월귤은 노화와 기억력 감퇴 방지에, 엉겅퀴는 강한 항산화 효과를 통해 간세포의 재생과
손상
방지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왔다.술의 주성분인 에탄올은 소화관을 통해 체내로 흡수돼 일반인의 경우 술을 마신지 평균 2시간 안에 혈중 알콜농도가 최고치에 이르게 된다. 에탄올은 간세포에 있는 ... ...
매운 고추, 효과도 화끈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보고하고 있다. 캅사이신은 항산화, 염증 억제 작용을 나타냄으로써 조직의 산화적
손상
을 막고 종양 촉진이나 진행을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부분의 발암성 화학물질들은 우리 몸에 들어와 간에서 반응성이 높은 중간체로 바뀐다. 이들 중간체는 세포의 DNA를 공격함으로써 정상세포가 ... ...
지자기 폭풍이 빚어낸 걸작 오로라
과학동아
l
2003년 12호
띤 전자, 양성자, 이온들이다. 이와 같은 고에너지 입자에 노출되면 인체는 심각한
손상
을 입을 수 있다. 때문에 극지방을 자주 오가는 스칸디나비아 항공사나 브리티시 에어라인사는 비행기에 X선 피폭정도를 알 수 있는 감지기를 달아 승무원이 X선에 많이 노출되지 않도록 대비한다. 또한 ... ...
고래가 잠수병으로 죽는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혈액에 녹아있던 질소가 빠르게 나와 기포를 형성한다. 그 결과 조직과 세포에
손상
을 입혀 생존에 치명적이다.지난해 아프리카 북서부 대서양 카나리아제도에서 실시된 국제 합동 군사훈련과정에서 소나를 사용한 뒤 14마리의 부리고래가 죽은 채 해안가로 떠밀려왔다. 스페인 라스팔마스 드 그랑 ... ...
눈의 천적 자외선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각막염은 하루나 이틀 정도면 합병증 없이 치료된다. 각막을 통과한 자외선이 망막을
손상
시키면 광선 망막증이 생긴다. 이때는 사물의 모양이 변형돼 보이거나 가운데 부분이 보이지 않는 암점 증상이 나타난다. 심한 경우 실명할 가능성도 있다. 눈이 쌓인 곳에서 선글라스를 쓰지 않고 오랜 시간 ... ...
거미가 뽑아내는 황금실
과학동아
l
2003년 11호
강철 강도의 5배나 되면서 동시에 탄성력이 뛰어나다는 점이다. 탄성력은 늘어났다가
손상
되지 않고 다시 제자리로 돌아오는 고무줄과 같은 복원력을 말한다. 케블라는 16% 정도 늘릴 수 있는데 반해 거미 실크는 31%나 가능하다.이런 특성은 지난해 개봉돼 인기를 모았던 영화 ‘스파이더맨’에서 잘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