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손해
해
피해
상해
상처
결손
위해
d라이브러리
"
손상
"(으)로 총 1,706건 검색되었습니다.
로봇이 청소해주는 시대 열린다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만약 가구에 부닥치기라도 하면 큰일이다. 고가의 가구나 로봇 청소기가 모두
손상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로봇 청소기는 다양한 장애물 감지 센서를 장착하고 있다. 로보킹의 경우 장애물을 감지하기 위해 14개의 초음파 센서를 사용한다.초음파는 주파수가 높고 파장이 짧기 때문에 아주 작은 ... ...
영화 매트릭스의 세계 실현 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움직임을 컴퓨터로 제어할 수 있음을 보였다. 또한 미국의 MIT와 하버드대의 연구자들은
손상
된 망막을 대신할 수 있는 인공망막장치를 개발해 시각 장애인을 대상으로 이식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일본에서도 바퀴벌레의 신경에 전극을 연결해 컴퓨터로 조종하는 실험이 성공한 바 있다. 이처럼 뇌 ... ...
진짜 살갗에 도전하는 인공피부
과학동아
l
2003년 07호
약 20층 이상의 계층화된 생인공피부를 키울 수 있다. 이렇게 키운 인공피부는 피부
손상
환자에 막(sheet) 형태로 제공되므로 치료효과가 높다. 이식한 후에는 환자 본인의 피부가 재생되는데, 지난해 10월 인도네시아 발리의 폭파사고 때 발생한 화상 환자에 적용돼 우수한 치유 효과를 얻었다. 막 ... ...
사이버 세계 수호하는 디지털 수사관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부분만
손상
이 없다면 가능하다. 물리적인 충격이 하드디스크에 가해져 실린더와 헤드가
손상
되면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기는 어렵겠지만, 섹터 부분이 ‘살아 있다면’ 데이터를 복원하는데 문제가 없다. 이같은 디지털 미디어 분석에 사용되는 프로그램으로는 EnCase, SafeBack, SnapBack, DIBS 등이 있다 ... ...
껌과의 전쟁 과학자가 나선다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제거하고 있다. 영국의 경우에도 끌개를 이용해 껌을 제거하고 있지만, 이 방법은 도로에
손상
을 입히는 문제를 일으키고 일일이 사람이 작업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껌을 좀더 효과적으로 떼어내는 방법은 없을까. 최근에는 다양한 방법이 동원되고 있다. 우선 껌에 뜨겁거나 차가운 물을 고압으로 ... ...
줄기세포로 난자 만드는데 성공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분화가 가능한 만능세포다. 더욱이 실험실에서 무한대로 증식이 가능하기 때문에
손상
된 장기나 조직을 재생하는데 활용 가능성이 높다. 예를 들어 줄기세포를 이용해 만든 뇌세포와 간세포는 각각 치매환자와 간환자에게 큰 도움이 된다. 최근 전세계적으로 생명과학과 의학분야에서 줄기세포에 ... ...
2 힘세고 오래가는 에너지 활용비법
과학동아
l
2003년 06호
내부의 필라멘트를 가열할 수 있기 때문이다.필라멘트나 전극은 일정 시간이 경과하면
손상
돼 광원의 수명에 결정적으로 영향을 준다. 따라서 전극을 제거하고 공간을 통해 전달되는 전자파에너지로 방전을 시키는 방식인 무전극 램프는 당연히 수명이 길다는 특성을 갖는다. 예를 들어 기존 형광등 ... ...
입 속 세상 다스리는 구강청정제 허와 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대표적인 살균·소독 성분 중 하나가 클로로헥시딘이다. 이 성분은 세균의 세포막을
손상
시킴으로써 살균 효과를 보인다고 한다. 클로로헥시딘이 다른 성분보다 입 안에 오래 남을 수 있다고 알려져 있는데, 그 이유는 아직 정확히 밝혀지지 않았다. 이 성분이 첨가된 구강청정제를 사용했을 때는 ... ...
수백년에 한번 찾아오는 태풍 발생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발생해 시간당 1백40km의 속도로 말레이반도 남부를 홍수에 빠뜨리고 미국 군함 두척에
손상
을 입힌 주인공이다.지역에 따라 허리케인 또는 사이클론이라고도 불리는 태풍은 강력한 뇌우가 따뜻한 바다 위의 대기를 교란시켜서 만들어진다. 코리올리 효과 또는 전향력이라고 알려져 있는 이 힘은 ... ...
햇빛으로 수술한다
과학동아
l
2003년 05호
간에서 떼어낸 조직에 3백60초 동안 가했는데, 그 결과 약 1천mm³에 해당하는 조직세포가
손상
됐다. 이는 레이저로 암세포를 파괴하는 것과 같은 수준이다. 지난 1월에는 살아있는 동물을 대상으로 햇빛 집광기를 이용한 수술에 성공했다.연구팀이 사용한 햇빛 집광기는 지난해 10월 자체 개발한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