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닷컴버블의 악몽, 지금 인기도 거품?과학동아 l2022년 09호
- 휴대폰을 생산하는 대기업의 카르텔을 완전히 부쉈다. 잘 만든 애플리케이션(앱) 하나가 거대 기업이 될 수도 있는, 진정한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신세계가 열린 것이다.어느 순간부터 네이버나 카카오 등 새로 등장한 IT기업이 기존 대기업을 위력적으로 넘어서기 시작했다. 정해진 수순으로 ... ...
- [광고] 과학덕후를 위한, 과학덕후에 의한 문구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유독 과학에 진심인 사람들이 많습니다. 마케팅팀의 차미현 마케터도 그중 하나입니다. 그가 어느 날부터 갑자기 “과학덕후를 위한 문구를 만든다면 어떤 게 좋을까요?”라고 물어보고 다니기 시작했습니다. 한 초여름날에는 메모지 샘플을 한 무더기 들고 등장해서 “학창 시절에 이런 제품이 ... ...
- [슬기로운 세특 생활] 고려대 생명과학부에 입학한 건에 대하여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번에 몰아서 완성할 수 없다 희망 전공이나 진로 관련 활동이라면 서로 다른 활동들을 하나의 흐름으로 묶는 게 좋습니다.저는 고등학교 1학년 때 과학 동아리에서 다양한 실험을 했고, 그 뒤 DNA 관련 실험을 더 해보고 싶어서 1학년 말 학교에서 열린 과학 실험 방과 후 교실에 참가해 DNA 전기영동 ... ...
- [특집] 코딩하는 인공지능이 일자리 뺏어갈까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이때 개발자는 설계자가 될 것입니다. 예를 들어 어떤 문제를 맞닥뜨렸을 때 설계자는 하나의 커다란 문제를 여러 문제로 쪼갠 다음 각각의 작은 문제를 어떻게 해결할지를 고안해 내 AI가 솔루션을 수행할 수 있게 지정하는 역할을 해야 합니다. 즉 그 어떤 시기보다 창의성과 문제해결 능력이 ... ...
- [기획] ‘신경다양성’이라는 따뜻한 시선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있어야 할 것이다. 우영우가 그려낸 자폐의 세계는 따뜻하고 환상적이다. 하지만 그것이 하나의 문화상품으로 소비되지 않고 자폐와 장애 전반에 대한 관심으로 이어진다면 논의는 이제부터 시작이다. 강병철도서출판 꿈꿀자유, 서울의학서적의 대표. 서울대 의대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에서 ... ...
- [시사기획] 기후위기에 잠긴 도시 ① 서울 한복판 ‘아포칼립스’ 빗물터널은 도시를 홍수에서 구원할까과학동아 l2022년 09호
- 한무영 서울대 건설환경공학부 교수는 “가장 기본으로 돌아가 생각해야 한다”며 공식 하나를 소개했다. ‘Q=CIA’란 공식이다. 그는 “수자원공학 전공도서 1장 1절에 나오는 가장 기본적인 공식”이라며 “Q는 유량, C는 유출계수, I는 강우강도, A는 면적을 뜻한다”고 했다. 땅 위를 흐르는 물의 ... ...
- [논문탐독] 중독에 강하거나 약하거나 우리 뇌에 달려 있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뇌의 보상회로가 망가진 질병이라고 봐야 합니다.이번 연구에서 드러난 것처럼 단백질 하나의 발현도 중독에 큰 영향을 줍니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중독을 질병으로 여기기보다는 중독자를 한심하게 여기고, 그들의 의지력 부족을 탓하곤 합니다.무언가에 중독되지 않기 위한 개인의 노력도 ... ...
- [SF 소설]신을 비추는 거울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오늘 하루도 어떻게 끝냈네. 앞으로가 걱정되긴 하지만.”“스승님도 걱정이라는 걸 하나요?”“신이 자기 모습을 따서 인간을 만들었듯, 우리는 우리 모습을 따서 로봇을 만들었지. 그 연결성을 생각해보면 로봇은 우리를 비춘다기보다는 신을 비추는 거울이라는 소리는 아까 했고.”“그렇죠 ... ...
- [수콤달콤 연구소 그림으로 보는 수학] 촉촉하고 달콤해~ 예각, 둔각 쿠키 만들기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8호
- +놀이북 6쪽과 함께 보세요! 수콤, 달콤이 쿠키를 만들기 위해 반죽에 쿠키 틀을 찍고 있어요. 다양한 모양의 쿠키를 만들기 위해 각도를 활용하네요. ... 해요. 둔(鈍)은 한자어로 ‘둔하다, 무디다’라는 의미이지요. 달콤은 둔각과 예각이 하나씩 포함된 쿠키 틀을 각각 반죽에 찍었네요 ... ...
- [필즈상 인터뷰 ➊] 허준이 교수 “수학은 자유로움을 학습하는 일”수학동아 l2022년 08호
- 가 예상했던 대로 한국 수학의 역사가 다시 쓰였습니다. 허준이 미국 프린스턴대학교 교수 및 고등과학원 석학교수가 한국에서 교육받은 수학자 중 처음으로 필즈상을 ... . [조합론과 만나다] “수학자에게 공동연구는 필수예요”Part5. [수학이란?] 수학은 예술의 하나 ...
이전979899100101102103104105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