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하나"(으)로 총 13,944건 검색되었습니다.
- [특집] 유전자 변형 모기를 이용하자!수학동아 l2022년 09호
- 변형 모기가 야생 모기와 교배하면 그 자손들은 모두 불임 유전자와 가임 유전자를 각각 하나씩 가지게 돼요. 결국 순식간에 불임 유전자가 모기 전체에 퍼지게 되고, 결국 모기 개체 수가 줄어들게 되는 거지요. 하지만 아직 실제 생태계에서 유전자 드라이브 기술을 적용한 모기를 적극적으로 ... ...
- [매스미디어] 수학계에도 우영우가 있을까?수학동아 l2022년 09호
- 주는 ‘뇌량’이라는 부분이 단절돼 있어서 한쪽만 특출나게 발달했다는 거예요. 다른 하나는 한쪽 뇌가 손상돼 이에 대한 보상으로 반대쪽 뇌가 발달했다는 거예요. 말하기, 읽기, 계산 등을 담당하는 좌뇌가 손상되면 시공간 능력을 담당하는 우뇌가 상대적으로 뛰어나 본 것을 사진을 찍듯 ... ...
- 세계적인 수학자! 김민형 교수와 수다 떨자! 동대문 수학 클럽수학동아 l2022년 09호
- 김민형 교수님과 클럽원들이 어떤 이야기를 나눴는지 잠깐 살펴볼까요? 김민형 (빨대 하나를 들면서) ‘빨대의 구멍은 몇 개일까요?’라는 질문을 들어봤어요? 몇 년 전 인터넷에서 화제가 됐던 내용인데요. 고도형 못 들어봤어요. 그런데 1개 아닐까요? 이렇게 길쭉하면 1개인지 2개인지 모를 수도 ... ...
- [특집] 닷컴버블의 악몽, 지금 인기도 거품?과학동아 l2022년 09호
- 휴대폰을 생산하는 대기업의 카르텔을 완전히 부쉈다. 잘 만든 애플리케이션(앱) 하나가 거대 기업이 될 수도 있는, 진정한 소프트웨어 개발자의 신세계가 열린 것이다.어느 순간부터 네이버나 카카오 등 새로 등장한 IT기업이 기존 대기업을 위력적으로 넘어서기 시작했다. 정해진 수순으로 ... ...
- 공룡화석이 말했다 ‘아프냐, 나도 아프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꺾이고 움푹 들어간 흔적이 뚜렷이 남아있었다. 꼬리를 빳빳하게 고정하던 뼈힘줄 하나도 마른 나뭇가지처럼 45도 가까이 꺾여 있었다. 이 뼈들은 완전히 부러져 분리되지 않고 그대로 아물었다. 상처는 고통스러웠겠지만, 다행히 치명상은 아니었는지 뼈가 부러지고도 살아남은 것이다. 타르키아의 ... ...
- 네, 그래서 이과가 순간이동기술을 만들어봤습니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신체 능력이 20배 강해질 필요도 없었죠. 어딜 가든 사랑받는 건 조금 피곤할 겁니다. 하나둘씩 지우다 보니 매일 300만 원씩 통장에 들어오는 알약과 순간이동 알약이 남았습니다. 심각한 고민 끝에 순간이동 알약을 선택했습니다. 지각할 위기에 처해있었거든요.사실 순간이동은 기자의 오랜 ... ...
- 철도 덕후가 알려주는 입덕 가이드과학동아 l2022년 09호
- 긍정적인 역할을 한 일도 있다고 합니다.아쉬운 점도 있습니다. 최근 들어 작은 간이역이 하나둘 사라지고 있다는 점입니다. 기차의 종류도 많이 사라지면서 퇴역한 옛 기차들이 그리워지는 거죠. KTX 등 철도 공학의 발전으로 사람들이 편리함을 누리게 됐지만, 느림의 미학을 즐기는 철덕들은 ... ...
- 달 토끼도 ‘다이너마이트’ BTS 품고 달 향한 다누리과학동아 l2022년 09호
- 탑재체는 총 6기가 실렸다. 이 중 5개는 국내 연구기관과 대학에서 만들었으며, 나머지 하나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이 개발했다. 목표 궤도 진입에 성공하면 달의 극지방을 지나는 원궤도를 따라 돌면서 6종의 탑재체로 달을 관찰할 예정이다. 본체는 임무 궤도를 유지하고, 탑재체가 기능을 원활히 ... ...
- [논문탐독] 중독에 강하거나 약하거나 우리 뇌에 달려 있다과학동아 l2022년 09호
- 뇌의 보상회로가 망가진 질병이라고 봐야 합니다.이번 연구에서 드러난 것처럼 단백질 하나의 발현도 중독에 큰 영향을 줍니다. 그러나 우리 사회는 중독을 질병으로 여기기보다는 중독자를 한심하게 여기고, 그들의 의지력 부족을 탓하곤 합니다.무언가에 중독되지 않기 위한 개인의 노력도 ... ...
- [SF 소설]신을 비추는 거울과학동아 l2022년 09호
- “오늘 하루도 어떻게 끝냈네. 앞으로가 걱정되긴 하지만.”“스승님도 걱정이라는 걸 하나요?”“신이 자기 모습을 따서 인간을 만들었듯, 우리는 우리 모습을 따서 로봇을 만들었지. 그 연결성을 생각해보면 로봇은 우리를 비춘다기보다는 신을 비추는 거울이라는 소리는 아까 했고.”“그렇죠 ... ...
이전94959697989910010110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