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정
절차
순서
길
단계
노선
항로
d라이브러리
"
경로
"(으)로 총 1,538건 검색되었습니다.
바래지 않는 추억 홀로그램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기록하기 때문에 평면으로 나타난다. 이에 비해 홀로그램은 빛을 물체파와 기준파의 두
경로
로 분리한다. 물체에 반사돼 나온 물체파와 물체에 닿지 않은 기준파가 만나면 서로 중첩돼 수많은 선으로 이뤄진 간섭무늬가 생긴다. 바로 이 무늬가 필름에 기록된다. 간섭무늬에는 빛의 밝기뿐 아니라 ... ...
보이는 대로 믿지마
과학동아
l
2005년 05호
무엇을 보는가, 뒤관자
경로
는 어디를 보는가에 밀접한 관계가 있다. 이 같은 시각
경로
는 서로 독립적인 것이 아니라 다양한 부위에서 서로 정보를 교환해 단순한 ‘보는 것’이 아닌 ‘지각’을 창조한다.이렇듯 시각이란 카메라처럼 ‘본다’라는 단순한 작용이 아니라 뇌의 복잡한 분석과정을 ... ...
나는 기억 못해도 뇌는 기억한다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기울여 정보를 선택하고 의식하게 하는 것이다.두정엽과 달리 측두엽에 해당하는 무엇
경로
에 손상을 입은 환자는 우산이나 열쇠처럼 일상생활에서 쉽게 접하는 그림을 보여주고 따라 그리게 하면 잘 그린다. 하지만 그 사물이 무엇인지 물어보면 대답을 하지 못한다. 그렇다고 이 환자가 그 사물의 ... ...
BBC 과학과 자연 - 멀티미디어로 즐기는 과학
과학동아
l
2005년 04호
예측해보는 미래인간, 다양한 과학용어에 대해서 설명해주는 용어길잡이, 알맞은 먹이와
경로
를 기억해 목적지에 도달하는 동물 생태를 응용한 게임, 우주에 대한 내용을 전문가에게 질문해서 답변을 얻는 전문가에게 묻기 등 각 주제를 더 재미있고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로 정보를 ... ...
“일단 믿고 맡겨봐” 인간과 맞붙은 로봇 외과 의사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작게 절개하고 주변 조직에 해를 입히지 않으면서 종양을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최단
경로
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곤 한다. 과거에는 뇌 컴퓨터단층촬영(CT), 자기공명영상(MRI) 장치의 2차원 단층 영상을 참고하면서 집도의의 직관에 따라 수술했다. 하지만 디지털 영상처리 기술이 발전하면서 2차원 ... ...
탐사선 딥 임팩트, 혜성 향해 발진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물질 또는 기구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본 것 생화학적 진화의 연구는 생체 내의 대사
경로
나 생화학 물질을 비교 연구하고 계통적으로 알아보는 방법에 따른다 또 비교생화학과 비교생리화학의 성립 및 발전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분자생물학의 발전과 함께 유전물질의 DNA 연구로 더욱 자세한 고찰이 ... ...
수정란에서 신경세포가 탄생하기까지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신경세포가 생기는 과정과 매우 유사하다. 이제 단일 수정란에서 신경세포가 생기는
경로
에 대해 알아보자.신경분화 명령하는 사령관 유전자수정란은 난할(세포분열)을 여러 차례 거듭해 배반포를 만든다. 배반포는 후에 태반이 될 바깥쪽의 영양세포와 태아가 될 안쪽의 세포덩어리로 양분된다. ... ...
진화론의 고향 갈라파고스는 전쟁 중
과학동아
l
2005년 01호
산타크루즈 동쪽의 작은 섬 플라자로 안내한다.“동물을 만지지 마시고, 정해진 이동
경로
를 벗어나지 마세요.”영어와 스페인어를 구사하는 전문 가이드가 신신당부한다.갈라파고스 제도는 남아메리카 에콰도르에서 서쪽으로 약 1000km 떨어져 있다. 제도 윗부분으로 적도가 관통한다. 수백만년 동안 ... ...
집먼지진드기는 춥고 눅눅한 걸 좋아해
과학동아
l
2004년 12호
발견했다. 연구자들은 온도와 습도가 다양한 환경을 만들어놓고 집먼지진드기의 이동
경로
를 추적했다.연구자들은 “집먼지진드기는 대기에서 습기를 흡수해 수분을 보충한다”며 “따라서 습도가 50% 미만이면 살 수 없다”고 설명한다. 반면 샤워를 하고 욕실의 문을 열어 놔 수증기가 집안으로 ... ...
02. '죽음의 입맞춤' 유비퀴틴 발견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극히 일부분만이 알려져 있다.노벨화학상 수상팀은 일단 분해가 결정된 단백질이 어떤
경로
를 거쳐 죽음을 맞는지를 밝혀냈다. 분해될 단백질에는 ‘유비퀴틴’ (Ubiquitin)이라는 단백질이 가지를 치듯 여러개가 붙는다. 유비퀴틴이 붙은 단백질은 세포 내 쓰레기처리장인 ‘프로테아좀’ (Proteasome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