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정
절차
순서
길
단계
노선
항로
d라이브러리
"
경로
"(으)로 총 1,538건 검색되었습니다.
나노 화폭에 펼친 명장의 솜씨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인력에 따라서도 이동
경로
가 수시로 바뀐다. 이런 특성을 이용해 우리가 원하는 이동
경로
를 따라 입자를 움직일 수 있다. 탄소로 만든 양파최 교수팀이 다루는 나노 입자는 다양하다. 금이나 은 같은 금속 입자, 각종 산화물, 나아가 단백질을 붙인 나노입자까지 모두 그의 손 안에서 ‘앞으로 ... ...
첨단 디지털 펜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물질 또는 기구의 변화라는 관점에서 본 것 생화학적 진화의 연구는 생체 내의 대사
경로
나 생화학 물질을 비교 연구하고 계통적으로 알아보는 방법에 따른다 또 비교생화학과 비교생리화학의 성립 및 발전을 기초로 하고 있으며 분자생물학의 발전과 함께 유전물질의 DNA 연구로 더욱 자세한 고찰이 ... ...
기획3. 가상 도둑 잡으며 학습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안다. 결국 학생들은 자신이 누구를 만났는지 유추하는 과정에서 병원균의 잠복기, 유포
경로
와 방법 등을 배울 수 있다.이 내용은 미시간대가 PDA에서 구현한 ‘쿠티즈’(Cooties)라는 교육용 프로그램이다. 질병이 퍼지는 과정을 학생들이 함께 시뮬레이션으로 알아보는 프로그램이다. 미시간대가 199 ... ...
내 몸에 딱 맞는 입체음향 기술
과학동아
l
2006년 05호
얼굴이 넓적한 사람과 길쭉한 사람이 오른쪽 귀로 듣는 소리는 다르다. 소리가 이동하는
경로
가 서로 다르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이점을 고려해 ‘맞춤형 머리전달 함수’를 개발하고 있다. 맞춤형 머리전달 함수를 입체음향 기계에 넣으면 내 체형에 맞는 풍부한 3차원 입체음향을 들을 수 있다 ... ...
기획3. 대형망원경 기술로 핵융합에 도전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일렁거림을 보정함으로써 선명한 천체의 영상을 얻는 것이다.대기의 요동에 따라 별빛의
경로
를 추적해 대기 효과를 보정할 수 있다면 마치 허블우주망원경이 우주 공간에서 천체를 관측하는 것이나 매한가지다. 그것도 허블우주망원경보다 10배나 싼 가격으로 말이다. 더군다나 적응광학 기술은 ... ...
PART1 컴퓨터 바이러스는 살아있다
과학동아
l
2006년 04호
나온 바이러스는 현실 세상을 돌아다니고 있다. 디스켓 하나뿐이던 악성코드의 감염
경로
는 이제 인터넷, 이메일, 공유 폴더, 메신저 등으로 다양해졌다.그뿐인가. 휴대전화와 PDA, 나아가 게임기마저 바이러스의 공격에서 자유로울 수 없게 됐다. 새로운 모바일 기기가 생겨날 때마다 악성코드도 ... ...
기획2. 오늘 마신 물은 어제 내린 비?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사실은 물이 땅속에서 한 덩어리로 같이 움직이지 않고 지역이나 깊이에 따라 다른
경로
와 이동 속도를 갖는다는 것을 의미한다. 오래된 지하수는 지상에서 일어나는 홍수나 가뭄 같은 기상 변화에 그리 크게 영향을 받지 않는다. 또 오염물질들이 자연정화작용을 거칠 수 있는 시간이 있다. 따라서 ... ...
기획4. 손가락 사이로 물 새듯 관리한다?
과학동아
l
2006년 03호
어느 곳에서 얼마나 일어났는지를 정확히 알아낼 수 있다. 증발산이 일어나 탑까지 온
경로
를 파악한다는 뜻에서 이 방법을 ‘발자국 분석’이라 부른다.관측된 데이터를 특정 방정식에 적용하면 초당 숲 전체에서 대기로 얼마만큼 증발산이 일어나는지도 알아낼 수 있다.현재 연구팀은 ... ...
모차르트 효과 정말 있나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요제프 로트마이어가 장례 뒤 10년이 지난 후에 직접 도굴했다고 한다. 이후 여러
경로
를 거쳐 유골은 1902년 모차르트의 고향인 잘츠부르크의 모차르테움 재단에 안치됐다.하지만 모차르트 무덤의 정확한 위치가 확인되지 않을 정도로 사후 관리가 소홀했던 탓에 두개골의 주인이 누구인지 ... ...
분자의 과속은 무죄!
과학동아
l
2006년 02호
실험으로도 가능하다는 사실이 증명됐다.김 교수는 “이를 이용하면 두 가지 반응
경로
가 있는 화학반응에서 특정한 생성물만 선택적으로 고를 수 있다”고 밝혔다. 대부분의 화학반응에서는 한 가지 이상 생성물이 생기기 마련이다. 화학반응을 제어할 수 있게 되면 원하는 생성물이 생기는 반응만 ... ...
이전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