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뉴스
"
흔적
"(으)로 총 1,133건 검색되었습니다.
구석기시대, 물잔으로 두개골 사용
2015.04.20
골수를 뽑아내기 위해 뼈를 깨뜨린
흔적
들을 확인했다. 특히 뼈에 남은 인간의 이빨
흔적
은 당시의 식인 풍습을 증명하는 뚜렷한 증거로 제시됐다. 연구팀은 “마들렌기에는 장례의 풍습으로 두개골로 만든 컵을 사용하거나 식인 풍습이 있었던 것 같다”고 설명했다. ... ...
화성에 얼음 말고 소금물도 있다
2015.04.14
큐리오시티가 탐사한 게일 분화구 ‘감춰진 계곡’ 영역. 퇴적암처럼 보이는 암석들이 눈에 띈다. - NASA 제공 화성 표면 밑에 액체 상태의 물이 존재할 가능성이 발견됐다. 사비에르 마르틴-토레스 스웨덴 룰리아대 우주기술학과 교수팀은 미국항공우주국(NASA)의 화성 탐사로봇 ‘큐리오시티’가 ... ...
[신문과 놀자!/별별과학백과] 치키노사우루스 복원 가능할까
동아일보
l
2015.03.18
추측한다. 이후 뼈 화석에 혈관이 붙어 있었던 자국이 남아 있는지 확인한다. 혈관의
흔적
이 남아 있다면 피부가 아주 얇았다는 증거다. 마지막으로 위의 결과를 토대로 뼈 구조에 근육을 가상으로 붙여 원래 모습을 복원한다. 화석 주변에 깃털 등 무늬가 찍혀 있었다면 덧붙인다. 그렇다면 ... ...
6억 년 전 해면 동물 화석 발견
2015.03.16
말한다. 즉 캄브리아기 지층에서는 그렇게도 흔한 화석이 왜 바로 아래 지층에서부터는
흔적
도 없이 사라졌는냐는 것이다. 자연선택을 통한 점진적인 진화를 주장했던 다윈으로서는 도저히 받아들일 수 없는 현상이었고 결국 다윈은 어떤 이유에서인지 그 아래 지층에서는 생물이 화석화가 되지 ... ...
지구 역사상 가장 거대한 절지동물 발견
2015.03.15
것으로 추측되는 데, 새로 발견된 절지동물의 코 바로 아래에서 커다란 지느러미 2개의
흔적
이 발견됐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아에기로카시스는 환상적인 생물”이라며 “이 동물의 생물학적인 구조가 고생물의 진화과정을 밝히는 데 도움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결과는 ... ...
“달 지질구조 생각보다 복잡”
2015.03.13
140m까지 구간은 약 25억 년 전에 생성됐다. 또 25억~33억 년에는 마그마가 4차례나 관통했던
흔적
이 발견됐다. 지하 240m 아래 지질은 33억 년 이전에 생겨났다. 물이나 바람이 없는 달에서 지구의 퇴적암처럼 층층이 쌓인 지질 구조가 형성된 이유는 운석 충돌과 태양풍 때문이다. 운석 충돌로 생긴 ... ...
왜소행성 ‘세레스’ 오늘 밤 인류 첫 탐사
2015.03.06
MakeMake) 등 총 5개다. 세레스를 탐사하는 이유는 왜소행성이 태양계 생성 당시의
흔적
을 고스란히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왜소행성에는 대기가 없어 진공 상태인 우주에서 태양계가 생겨나던 당시의 원시 물질들이 그대로 보존돼 있다. 표면에는 운석 충돌로 생긴 크레이터도 대거 남아 ... ...
양자역학 도약 이끈 슈뢰딩거방정식은 ‘간통’ 덕분?
2015.03.02
도착했을 때는 벌써 떠난 뒤였다. 배경은 바뀌어 1963년 싱가포르. 집에 누가 왔다간
흔적
을 발견한 차우는 첸 부인임을 직감하지만 애써 외면한다. 회사로 걸려온 전화에 “여보세요” 한 마디뿐 끝내 아무 말도 하지 않는다. 첸 부인은 한참을 들고 있던 전화기를 마침내 내려놓는다. 영화에서 ... ...
3500년 전 보드게임과 수학의 역사
2015.03.01
이 책은 1억5000만 년 전부터 2007년까지 인류의 수학사에 중요한 족적을 남긴 250가지
흔적
들을 시대 순으로 정리해 놓은 ‘수학 역사책’이다. 복잡한 공식 대신 250장의 아름다운 그림과 함께 수학을 감상할 수 있으니 ‘수포자’들도 겁먹을 필요는 없다. 독자들이 “이런 것도 있었어?”라고 할 ... ...
동물의 천국, 탄자니아를 만나다
2015.02.15
북부 라에톨리에서는 무려 27m에 걸쳐 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발자국으로 추측되는
흔적
이 발견되기도 했다. 또 올두바이 협곡에서는 유난히 고대 인류의 화석이 많이 발굴되는 곳이다. 실제로 이곳에서 발굴한 머리뼈와 당시 이들이 썼던 석기도 이곳 자연사 박물관에서 만나볼 수 있다. ... ...
이전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