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자취
자국
발자취
자욱
상처
얼룩
징후
뉴스
"
흔적
"(으)로 총 1,133건 검색되었습니다.
티베트인은 중국인과 같은 민족일까
2015.02.15
나이가 지긋한 티베트 여성의 얼굴이 ‘표지 모델’로 등장한다. 얼굴 곳곳에 세월의
흔적
이 묻어 있는 여인을 통해 사이언스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티베트인의 기원에 대한 학계의 논란이다. 티베트 고원 북동부에 위치한 칭하이성에서 발견된 4000여 년 전 도자기와 공예품들은 중국이 티베트를 ... ...
“의사가 되려면 ‘차가운 시선’도 갖춰야”
2015.02.08
새로 펴냈다. 책에서는 정 교수의 학창시절은 물론 ‘진정한 의사의 길’을 고민한
흔적
도 나타난다. 환자를 볼 때는 ‘얼마나 아플까’ 보다는 ‘어째서 아플까’를 생각해야 하는 냉철함도 필요하며, 넋이 없는 시신을 차갑게 보는 것도 의사가 되는 과정 중 하나라고 말한다. ... ...
광합성 하는 달팽이를 소개합니다
2015.02.04
달팽이와 달팽이 먹이 사이의 게놈을 비교하면 먹이의 유전자 일부가 달팽이에게 옮겨온
흔적
이 관찰된다는 보고는 이전에도 있었지만, 이를 직접 증명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이렇게 다른 생물 종간에 유전자가 이동하는 일은 세균에서는 흔히 일어나는 현상이다. 연구팀은 “생물은 다른 ... ...
자궁없는 여성이 쌍둥이 출산, 어떤 일이?
동아일보
l
2015.02.02
방법을 백방으로 찾았다. 2007년 영국 의료진이 헤일리의 체내에서 몇 mm 크기의 자궁조직
흔적
을 발견한 것이 ‘희망의 끈’이 됐다. 헤일리는 이후 지속적인 여성호르몬 투여를 통해 이 조막만 한 조직을 정상에 가까운 자궁으로 키워냈다. 4년 뒤인 2011년 60%의 확률로 체외수정을 통해 임신이 ... ...
[중력파 검출 파문] 빅뱅 증거 찾았다더니 다시보니 ‘우주먼지’
2015.02.02
꾸리고 다시 연구를 진행했다. 그 결과 당시 데이터 해석이 잘못됐으며, 중력파의
흔적
으로 볼 만한 근거가 없다는 내용의 논문을 이번에 다시 발표한 것이다. 원인은 유럽 연구팀의 지적대로 우주먼지에 의한 것으로 밝혀졌다. 이번 논문에서는 데이터를 재차 검증한 결과 중력파의 명확한 증거를 ... ...
인류 최초의 ‘낙서’는 50만 년 전에?
과학동아
l
2015.01.29
휘어 있었다. 또 방향이 바뀔 때도 도구를 뗀
흔적
이 없었다. 연구팀은 “우연히 이런
흔적
이 만들어지긴 어렵다”며 “의도를 갖고 그린 일종의 낙서”라고 결론지었다. 직접 도구를 가지고 재현을 해봤는데 제작이 몹시 힘들었기 때문이다. 하지만 이 낙서를 예술로 봐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2015.01.14
자료가 남아있는 것을 고려했을 때, 초기 인류가 도구를 사용했을 가능성은 물론 그
흔적
을 발견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는 없습니다. ※ 동아사이언스에서는 미국 UC리버사이드 이상희 교수의 ‘인류의 탄생’을 매주 목요일 연재합니다. 2012-2013년 과학동아에 연재되었던 코너로 식인종, 최초의 ... ...
매머드 멸종 불러온 빙하, 혜성 충돌 탓 아니었어?
2015.01.07
“지금까지 혜성 충돌설을 지지해온
흔적
들은 사실 당시 신생대말 인류가 불을 사용한
흔적
”이라고 주장했다. 연구 결과는 ‘고고학저널(Journal of Archaeological Science)’ 최신호에 실렸다. ... ...
원시인은 식인종?
2015.01.07
화석에서 보이는 칼자국은 도축(짐승을 잡아먹기 위하여 칼로 손질하는 일)을 한
흔적
과 비슷해야 할 겁니다. 하지만 식인이 아니라 2차장(시신을 처음 매장한 다음 일정 기간이 지난 뒤 뼈를 깨끗이 손질해 다시 묻는일. 한국에서도 경남 진주 등지에서 최근까지도 이뤄지고 있다)을 했다면 ... ...
끈이론으로부터 물리학을 지키자?
2015.01.05
지난해 마지막호에도 비슷한 사례가 있었다. 2014년 3월 우주배경복사에서 빅뱅의 중력파
흔적
을 발견했다고 발표해 세상을 깜짝 놀라게 했던 미국 하버드-스미스소이언 천체물리센터를 중심으로 한 국제공동연구팀(바이셉2 실험)의 발표가 엉터리라는 주장을 처음 제기한 프린스턴대의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