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큰"(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 만약 화학결합이 없다면?과학동아 l2000년 03호
- 이 당구공 두 개를 당구대 위에 올려놓자 어쩌다 한눈을 파는 사이에 좀 가까워지면 큰 일이라도 난 듯이 상대를 밀어붙인다. 어느 한 쪽만 그런 게 아니라 이리 저리 밀려다니다 보면 당구대 벽에 부딪쳐서 튀어나오고 그러다가 다시 가까워지면 또 밀려나는 일이 끝없이 반복된다. 당구대 위로 두 ... ...
- 2. 우애수, 완전수, 삼각수, 아라비아수과학동아 l2000년 03호
- 고대의 수 체계로 수를 나타내고 간단한 사칙 연산을 하기 위해서도 상당한 집중력과 큰 고통을 감내해야 한다. 그래서 수의 계산을 보조하는 수판이 동서양 모두에서 이용됐다.우리가 수를 자유자재로 다룰 수 있게 된 것은 열 개의 숫자 0, 1, 2, 3, 4, 5, 6, 7, 8, 9가 위치에 따라 다른 자릿값을 갖도록 ... ...
- 산가지 계산법과학동아 l2000년 03호
- 9처럼 자기 자릿수에서 부족한 것은 앞자리에서 꾸어와서 계산하면 된다. 계산이 복잡한 큰 수의 덧셈과 뺄셈 계산은 윗줄에 원래의 수를 놓고, 한 줄을 비워 셋째 줄에 더하거나 뺄 수를 놓는다. 그리고 결과는 상하의 수를 계산해서 가운데 줄에 놓으면 된다. 덧셈과 뺄셈은 단 한번 산목을 ... ...
- 3월 하늘의 북두칠성 시계과학동아 l2000년 03호
- 그려져 있던 서양 낫과 닮았는데, 이 때문에 서양에서는 옛날부터 이 별무리를 ‘사자의 큰 낫’으로 불러왔다.제일 밝은 별은 사자의 심장에 자리잡은 레굴루스다. 레굴루스를 중국에서는 사자의 머리를 이루는 밝은 별들과 그 북쪽의 별들을 용 모양으로 이어서 헌원(軒轅)자리로 불렀다. 헌원은 ... ...
- 공룡의 이웃사촌 익룡과 어룡과학동아 l2000년 03호
- 는 먹이를 잡기 위해 해초 속을 미끄러지듯 천천히 헤엄쳤을 것이지만, 짧은 몸에 큰 물갈퀴를 가진 플라테카르푸스(Platecarpus)는 상당히 빠르게 헤엄칠 수 있었고 기동성도 뛰어났을 것으로 추정된다.모사사우르의 이빨모양과 화석화된 위의 내용물을 살펴보면 여러 가지 다양한 먹이를 섭취했다는 ... ...
- 따뜻한 겨울 뒤에 라마마있다.과학동아 l2000년 03호
- 정체상태를 보일 때 소규모 기류들의 흐름이 교란되고 이 에너지가 모여서 규모가 큰 고기압을 형성해 발달했다 소멸하는 것을 말한다.금년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중앙아시아의 블로킹은 약 13일의 주기를 가지고 발달하고 있다. 중앙아시아 블로킹의 서쪽에는 고온다습한 기류가 북쪽으로 ... ...
- 1. 개성을 뽐내는 똑똑한 재료들과학동아 l2000년 02호
- 정상적인 엔진작동을 유지한다.최근에는 레저용 스키 플레이트에도 압전 세라믹스가 큰 몫을 한다. 여기서 압전 센서는 스키판이 진동하는 것을 감지하고 이와 반대되는 진동을 압전 진동자를 통해 인위적으로 반대방향의 진동을 발생시켜 스키어가 느끼는 진동을 완화시킨다. 같은 원리로 자동차, ... ...
- 4. 인간을 닮으려는 바이오 소재과학동아 l2000년 02호
- 바이오 세라믹스는 부작용이 적은 재료이지만 충격에 약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그다지 큰 기계적 특성이 필요치 않는 부위에 쓰인다. 하중을 받는 부위에 사용될 때는 다른 금속 구조물과 함께 쓰인다.바이오재료는 두가지의 성분을 섞어 그 특성이 변화되는 것을 이용하는 경우도 있고, 다공성 ... ...
- 공룡은 멸종하지 않았다. 지금도 하늘을 날고 있을뿐과학동아 l2000년 02호
- 잘 보존돼 있었다.이 가운데 1996년 발견된 시노사우롭테릭스(Sinosauropteryx)의 가장 큰 특징은 머리에서 꼬리 끝까지 등의 중앙부에 발달된 털처럼 생긴 구조다. 목 부분에는 마지막 식사로 여겨지는 도마뱀이 함께 화석화됐으며, 몸 속에 두개의 알이 있어 한눈에 암컷임을 알 수 있다. 전체 크기는 약 ... ...
- 1만원권 지폐에 새겨진 자동 물시계 자격루과학동아 l2000년 02호
- 들어간다. 작은 쇠구슬은 시보장치 안에서 도미노처럼 다시 다른 구동장치를 건드려 더 큰 쇠구슬을 떨어뜨린다. 이제 커다란 쇠구슬의 무게로 기어장치를 돌려서 그 시간에 해당되는 인형이 올라와 북을 치고 징을 치게 된다. 자시에는 쥐 인형, 축시에는 소 인형이 올라와 북을 치는 식으로 하루 1 ... ...
이전103310341035103610371038103910401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