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대형
방대한
d라이브러리
"
큰
"(으)로 총 14,224건 검색되었습니다.
축구공과 지오데식돔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여기에 매우 가볍고 안정되며 견고한 구조까지 제공한다. 이런 지오데식 돔은 엄청나게
큰
건물의 구조가 될 수 있는데, 리처드 풀러는 뉴욕시의 일부를 덮을 수도 있는 지름이 3 km에 달하는 반구 형태의 지오데식 돔을 만들자고 제안하기도 했다. 눈과 비도 피할 수 있고, 햇빛과 공기도 적절하게 ... ...
달의 바다가 어둡게 보이는 이유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때문이다. 바다는 크레이터보다 나중에 생긴 지형이어서 상대적으로 충돌에 덜 노출돼
큰
화구가 적다.월령에 따라 볼만한 지형■ 월령 3일 이전달의 아침이 되는 동쪽 가장자리 지형들을 관찰할 수 있지만, 달이 아주 낮은 서쪽하늘에 떠 있어 관찰하기가 쉽지 않다. 이 동쪽 지역은 보름 직후에 ... ...
TV속의 초능력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난 사람은 특정 엽서 한 개가 포함된 8개의 그림 중에서 꿈속에서 본 것과 유사한 정도가
큰
것부터 순서대로 나열한다. 만일 특정 엽서가 4위 안에 들어 있다면 꿈을 통해서 텔레파시가 전달된 것으로 간주한다. 이러한 실험을 반복해서 하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결과가 나오는지를 볼 수 있다 ... ...
전자상거래 시대 개척한 아마존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땅위에 한개의 매장도 없는 아마존에는 3백만 종 이상의 서적이 있으며 이용하는 고객은 4백50만명이나 된다.하지만 창업 이후 단 한번의 흑자 ... “내가 80세가 되었을 때 30세에 월스트리트를 떠난 것은 후회하지 않겠지만 30세에
큰
기회를 놓친 것은 후회할 거란 생각이 들었다”고 말한다 ... ...
목소리가 보여요!
과학동아
l
2000년 02호
큰
소리일수록 진폭이 크고,높은 소리일수록 파장이 짧다는데….레이저 포인터와 종이컵,거울을 이용해 독특한 내 목소리를 눈으로 확인해보자.왜그럴까?종이컵에 입을 가까이 하고 소리를 지르면 컵을 싸고있는 포장지가 떨린다.이 때문에 포장지 위를 비추는 레이저 빛도 진동한다.이 빛이 정지한 ... ...
지구관측위성 아리랑1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천원을 주고 살 것을 달러의 가치가 올라가다보니 2천원이 든 것이다. 아리랑 1호의 가장
큰
성과라면 우리의 기술로 어느 정도 지구관측 실용위성을 설계하고 개발할 수 있는 능력을 확보했다는 것. 아리랑 1호는 미국 TRW사에서 1차로 모델을 개발해보고, 그 모델을 국내로 반입해 우리 기술로 ... ...
Ⅰ. 고고학/2만년전 후기 구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나무와 뼈에 꽂아 작살처럼 만드는데 사용됐다. 이를 만들기 위한 재료에 해당하는
큰
돌이 좀돌날몸돌이다. 간접떼기로 만들어진 기존의 돌연장에 비해 훨씬 정교하고 세련된 형태였다. 흥미롭게도 공주 석장리뿐 아니라 단양 수양개에서도 놀라우리만큼 많은 양의 좀돌날몸돌과 좀돌날이 ... ...
Ⅳ. 신화/석기시대인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것은 여간 다행한 일이 아니다. 신화는 다른 것은 몰라도 적어도 시작에 관해서는
큰
소리 칠만하다. 왜냐하면 신화는 ‘시작의 시작’에 대해서 얘기하기 때문이다. 그래서 가령 동화가 “옛날 옛날 아주 오래된 옛날에…” 라고 시작하면서 우쭐댄다면 그것을 사뭇 귀엽게 내려다보게 될지도 모를 ... ...
벤처기업가로 나선 이면우 교수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실리콘밸리를 만들었다는 평가를 받기도 한다. 그러나 휴렛팩커드가 처음 출발할 때에는
큰
힘을 실어준 프레드릭 터맨이라는 지도교수가 있었다. 터맨은 기술적인 지원은 물론 자금을 마련하는 일까지 다양한 방법으로 휴렛과 팩커드를 도왔다. 그런데 우리나라의 대학생 벤처동아리에는 이들을 ... ...
동물들의 기발한 속임수
과학동아
l
2000년 01호
들려주자 그 옴개구리는 이보다 더욱 낮은 음으로 울기 시작했다. 자신보다 덩치가
큰
놈이 옆에 왔다고 느낄 때 위축되지 않고 오히려 ‘내가 너보다 더 크다’며 허풍을 떠는 것이다. 어쩌면 동물의 세계에는 우리가 짐작하는 것 이상으로 많은 허세가들이 판치고 있는지도 모른다 ... ...
이전
1035
1036
1037
1038
1039
1040
1041
1042
10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