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이국
타국
이방
해방
국외
국제
d라이브러리
"
외국
"(으)로 총 2,386건 검색되었습니다.
LG전자 사장 백우현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세계 가전산업을 이끈 11명’에 꼽혀 미국 가전 명예의 전당에 올랐다.24년에 걸친 긴
외국
생활을 마치고 그는 1998년 귀국해 LG전자에서 CTO라는 중책을 맡았다. 당시 LG는 디지털TV를 미래의 성장 동력으로 삼고 우수두뇌를 스카웃하는 중이었는데 ‘디지털TV의 아버지’를 모셔왔으니 그야말로 횡재를 ... ...
장에 사는 인체의 수호천사 비피더스
과학동아
l
2004년 11호
자체적으로 개발하기보다
외국
에서 수입한 유산균에 의존하는 경향이 크다. 그런데
외국
제품을 분석해보면 유산균이 죽어있는 경우가 많다. 유산균이 살아있는 상태로 장까지 도달해야 효과적인 정장작용을 할 수 있는데 말이다.우리나라 사람에게 맞는 살아있는 비피더스균을 우리 기술로 ... ...
고지도로 다시 보는 한국사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한국 여행을 소개하며 장죽을 물고 큰 갓을 쓴 조선 사람들의 그림이 나오는데
외국
인의 눈에는 상당히 특이하게 비친 모양이다. 예수회 신부들의 여행기는 산삼의 효능과 식별법 등을 자세하게 소개했다.옛 지도를 모으면서 나는 가능한 방법을 모두 동원했다. 거의 매년 유럽을 방문하는 것은 말할 ... ...
현대인에게 필요한 것은 운동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이런 통계수치는 마라톤을 주최하는 단체에서 알리기 싫어하는 내용이기도 하다) 적어도
외국
사례를 보면 10명 중 최소한 7-8명이 관절에 이상을 느끼고 있다.문제는 여기서 끝나지 않는다. 운동 중에 부상을 입는 것은 운동과정에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라고 한다지만, 더 심각한 것은 그러면서도 ... ...
02. 바람과 태양이 세상을 바꾼다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해바라기 등 다양한 식물이 이용되며 식물기름에 촉매를 넣어 바이오디젤을 만든다.
외국
서는 알코올을 휘발유와 섞은 ‘알코올 휘발유’ 를 이용한다. 이밖에 배설물과 음식 쓰레기에서 메탄 가스를 추출하는 기술도 이용이 늘어나고 있다.현재 재생에너지의 대부분은 폐기물 에너지다. 폐기물 ... ...
정보통신부 장관 진대제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무엇을 하고 싶냐”는 질문에 진 장관은 “뜻이 맞는 사람들과 힘을 합쳐 학교를 설립해
외국
에 비해 다소 약한 소프트웨어나 디자인 분야에서 고급 인력을 양성하고 싶다”고 말했다.이렇게 기초를 중시하고 부지런히 뛰어다니는 동력은 의외로 ‘지고는 못사는 천성’ 때문이라며 웃는다. ... ...
일본 따라잡는 한국 두 발 로봇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로봇 연구에 뛰어들면서 이론보다는 직관으로 문제를 해결했다고 말했다. 학생들이
외국
논문을 들이대며 이론적으로 이런 기술이 불가능하다고 하면 그는 학생 앞에서 논문을 찢어버렸다고 한다. 그들에게 직접 해보기 전에는 모른다고 강조했다. 그리고 학생들과 같이 실험실에서 팔을 걷어 ... ...
서울대 화학부 백명현
과학동아
l
2004년 10호
명성을 얻었지만 언제나 순탄한 것만은 아니었다. 고생고생해서 완성한 최신 연구논문을
외국
학자들이 믿어주지 않는 경우가 있었다. 아무도 그런 연구를 한 적이 없기 때문에 믿을 수가 없다는 반응이었다.속상하지만 더 정확한 결과를 얻기 위해 연구하는 동안, 다른 학자들에 의해 관련 논문이 ... ...
5. 검색능력이 경쟁력이다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둔 경우가 많다. 국내 사이트는 웹페이지를 치밀하게 구성하는 능력이 강조된 반면,
외국
사이트는 계층 구성과 정보검색의 효율성이 강조된 것이다. 이런 차이는 동서양의 사고 방식과 문화적 배경의 차이에서 비롯됐다. 한국인은 전체적인 조화를 중시하고, 개인 행동과 표현은 상황이나 주변의 ... ...
고구려는 독자적 천문학 지닌 한민족 국가
과학동아
l
2004년 09호
수도였던 국내성을 비롯해 왕릉, 광개토대왕비 등으로 다양하고 규모가 큰 것들이다.
외국
인들이 중국 내 고구려 유산을 찾는다면 필시 중국의 역사로 오해할 게 뻔해 보인다.아니나 다를까 중국은 세계문화유산 등재 후 본색을 드러냈다. 고구려가 한민족의 나라가 아니라 자기네 지방정권이었다며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