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외
이국
타국
이방
해방
국외
국제
d라이브러리
"
외국
"(으)로 총 2,386건 검색되었습니다.
뇌에도 유쾌한 운동이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1999년에는 수학퍼즐을 만들다가 피타고라스 정리를 증명하는 새로운 방법을 발견해
외국
학술지에 발표했다.“수학퍼즐이야말로 진짜 수학에 가까워요.” 그의 수학퍼즐 예찬이 이어졌다. 흔히 사람들은 수학 공식을 외우면 수학문제를 풀 수 있기 때문에 수학을 공식과 동일한 것으로 여기는데 ... ...
안 봐도 보이는 모자 색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비교해 보면 양과 질 모든 면에서 인터넷 강국을 자처하는 우리나라가 훨씬 뒤쳐져 있다.
외국
의 퍼즐 사이트들을 보면 모자의 색을 묻는 문제들이 많이 올라와 있다. 이런 형태의 퍼즐은 비교적 만들기 쉬워서 여러 사람이 새로운 아이디어로 재미있는 작품을 많이 만들 수 있다.자신만의 독특한 ... ...
“디자인은 기술을 안내하는 설명서”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알려지기 시작한지는 불과 10년. 1990년대 초까지만 해도 국산 제품 디자인은 거의
외국
제품 베끼기 수준에 불과했다. 그러다 정보기술(IT)이 발전하면서 창의적이고 모험심 강한 디자인회사들이 하나둘 기지개를 펴기 시작했다. 모토디자인은 그 가운데 비교적 일찍부터 독자적인 제품 디자인에 ... ...
의학과 지질학의 만남, 메디컬 지질학
과학동아
l
2005년 03호
의·약학, 생물학, 지질학 학자들 간 활발한 정보교류가 이뤄지기도 했다.국내의 경우
외국
에 비해 메디컬 지질학이라는 개념이 아직은 생소하다. 그러나 몇몇 연구팀들이 단위 연구실 규모로 활발하게 관련 연구를 진행하고 있다. 국내에서는 특히 폐광산 지역을 대상으로 비소와 같은 중금속 오염 ... ...
MS 철옹성 무너뜨린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팀장은 “한국은 5년이라는 매우 짧은 기간 동안 인터넷 관련 산업이 급성장했다”며 “
외국
보다 상대적으로 초고속 인터넷 망이 일찍 도입되고 인터넷 산업이 발전하면서 한국은 한국 나름의 표준이 필요했다”며 그 이유를 설명했다. 기술이 상대적으로 빨리 발전하다보니 결과적으로 인터넷 ... ...
과학이 당신을 엿본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테러와 관련됐을 것으로 추정되는 내용을 적발하는 기술을 개발하겠다는 것. 자동
외국
어 번역기와 번역된 대화 내용을 분석하는 장치, 방대한 데이터베이스에서 의심나는 메일을 추출하는 것이 주요 연구 과제다.DARPA는 최근 멀리서 동작만으로 사람을 구별하는 인식기술에 깊은 관심을 나타내고 ... ...
한국교육에 나라 망치는 '음모' 있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교수는 “이공계 기피 현상의 근본 원인은 한국 기업이 스스로 기술을 개발하지 않고
외국
에서 기술을 도입했기 때문”이라고 강조했다. 이 교수는 “과거 70, 80년대는 도입 기술로 성공할 수 있었지만 21세기에는 안 된다”며 “이공계 기피는 국민의 존망이 걸려있는 대위기”라고 주장했다.이 ... ...
한국 드디어 로봇 르네상스 열었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지난해 8월 이라크 자이툰 부대에 파견돼 지뢰 등을 제거하는 위험 작업에 투입됐다.
외국
에는 간호로봇 등 더욱 다양한 생활 로봇들이 등장하고 있다. 특히 미국, 유럽에는 개 만한 것부터 사람 만한 크기의 경비 로봇이 많이 나와 있다. 일본에는 현금수송로봇까지 등장했다. ‘로보캅’이라는 ... ...
남극 하늘에 풍선 띄워 우주를 보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CREAM·Cosmic Ray Energetics And Mass)이다. 한국에서는 이화여대 물리학과가 주도하고 있으며
외국
에서는 미국항공우주국(NASA)을 비롯해 메릴랜드대와 이탈리아 피사대 등이 참가했다. 특히 메릴랜드대 서은숙 교수가 이 연구의 총괄 책임을 맡고 있다. 남극에 거주한 우리 팀 20여명 중 나 외에도 5명이 ... ...
“대중 없이는 의학도 없다”
과학동아
l
2005년 02호
있다.NIH에서 최근 한국 과학자들의 인기는 꽤 높다. 한국 과학자만큼 헌신적으로 일하는
외국
인 연구자들은 흔치 않기 때문이다. 특히 세계보건기구 사무총장 이종욱 박사가 취임한 이후 NIH 내 한국인 연구자를 선호하는 경향이 크게 늘었다고 한다. 취재 당일만 해도 전날 강연차 NIH를 다녀간 ... ...
이전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