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스페셜
"
분자
"(으)로 총 1,031건 검색되었습니다.
“종자 주권이요? 아직 논할 단계도 아닙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1.02.08
많이 들었습니다. 하지만 지금은 각각의 형질이 담겨있는 유전자 부위를 알 수 있는 ‘
분자
마커’나 손쉽게 형질을 전환하고 간단히 배양할 수 있는 기술이 발달했습니다. 문제는 이 기술을 사용할 수 있는 장비가 대부분 가격이 높아 개인 육종가가 갖고 있기 어렵다는 점입니다.” 오 상무는 ... ...
“BT 일자리 창출이 경쟁력 갖추는 일”
동아사이언스
l
2010.12.20
인제대 식의약생명공학과 교수(인당
분자
생물학연구소장)는 17일 서울 중구에 위치한 인당
분자
생물학연구소 사무실에서 기자와 만나 “우수한 대학원생이 많이 배출돼야 BT 경쟁력이 커지는데 국내 현실은 그렇지 못 하다”면서 이렇게 말했다. 그는 △정부의 연구 장비지원사업이 실제 연구를 하는 ... ...
일률적인 연구평가방식 맞춤형으로 바뀌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10.10.06
IF는 대부분 3을 넘지 않는다. 연구 인력이 적어 인용되는 횟수도 낮기 때문이다. 반면
분자
생물학 분야의 상위 학술지는 20이 넘는다. 유 책임연구원은 “연구결과가 나와도 해당 분야 권위지에 발표하는 게 아니라 좀 더 IF가 높은 유사분야 학술지에 발표하는 경우도 종종 있다”고 귀띔했다. 유 ... ...
합성세포 창조한 비결… “황당한 주제 당연하게 연구”
동아사이언스
l
2010.06.21
합성세포가 살아났다. 생명체의 유전자를 빼내거나 이어붙이는 방법을 써왔던 기존의
분자
생물학에서 한 걸음 더 나아간 셈. 합성생물학을 이용하면 사람이 처음부터 유전자를 설계하고 이들의 배치도 마음대로 디자인할 수 있다. 그 극단이 바로 합성게놈이다. “금요일에 최종단계의 실험을 하고 ... ...
“미래혁명 BT세상에서 터질 것… IT도움 절실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0.06.07
의과대학 조교수 1990. 4~1996. 3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부교수 1990. 9~1992. 9 미국 록펠러대학
분자
종양학실 객원연구원 1996. 4~ 현재 서울대학교 의과대학 의학과 생화학교실 교수 2000. 3~2004. 6 (주)마크로젠 대표이사 사장 2009. 4~ 현재 한국바이오협회 초대 회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 ...
“신약 개발, 미국의 위기가 한국의 기회”
동아사이언스
l
2010.05.20
들자면 요철을 만들기 전 온전한 쇠붙이가 중간체이며 자물쇠에 들어맞는 요철이 작은
분자
들인 셈이다. “열쇠를 개발하려면 일단 온전한 쇠붙이인 중간체가 대량으로 필요합니다. 그런데 품질 대비 가격을 비교해보면 미국이나 유럽에서 만든 것보다 중국에서 만드는 것이 가장 저렴합니다. ... ...
“독불장군은 없다… 연계형 연구개발 시대 앞당겨야”
동아사이언스
l
2010.04.14
기술력지수 세계 5위에 올랐으며 그간 신규 미생물 2만2000여건, 신규 단백질 780여건, 저
분자
물질 1만2000여점을 확보해 ‘미생물자원은행’도 만들었다. 국제 정보사이트(www.gem.re.kr)를 만들어 총 25만여 명의 과학기술자들이 다녀갔다. 이 중 60%는 해외 과학자들이다. 오 단장은 “여러 사람이 모여 ... ...
한국 바이오에는 ‘B&D’가 필요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0.02.09
이준승 원장은 - 2008년 8월~현재 한국과학기술기획평가원 원장 - 1986년~2008년8월 이화여대
분자
생명과학부 교수 - 1994년~1998년 이화여대 기초과학연구소 소장 - 2005년~2008년 서울시 산학연협의회 회장 - 2008년~현재 국가과학기술위원회 위원 - 2008년~현재 기획재정부 재정정책심의위원회 위원 - 2009년 ... ...
“부임 첫 해 5000만원 빚내 연구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09.10.13
지원을 해야 한다. 이상경 교수는 1993년 경희대 유전공학 학사 1996년 미국 뉴욕시티대
분자
생물학 석사 2000년 미국 뉴욕시티대 세포면역학 박사 2000년~2004년 미국 하버드의대 연구교수 2004년~2005년 미국 하버드의대 교수 2005년~현재 한양대 생명공학과 부교수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 ...
“한국을 역분화 줄기세포 중심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09.09.14
“최근 김광수 하버드대 의대 교수, 박인현 하버드대 박사, 김정범 독일 막스프랑크
분자
의학연구소의 박사 등 많은 한인과학자들이 줄기세포 분야에서 세계적 성과를 내고 있지요. 우리도 하면 됩니다. 적절한 지원과 제도만 있으면 한국내에서도 세계 줄기세포 연구의 선두주자로 발돋움 할 수 ... ...
이전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