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입자
구성원
극소량
티끌
미립자
분자농도
농도
스페셜
"
분자
"(으)로 총 1,031건 검색되었습니다.
필라델피아 염색체를 아십니까?
동아사이언스
l
2013.06.27
미국에서 연간 5000명의 신규환자가 보고되는 수준이었다. 그럼에도 매터는 특정
분자
를 표적으로 한 최초의 항암제 개발이라는 데 의미를 두자며 임상을 시작하자고 간부들을 설득했다. 글리벡의 임상 필요성을 설득하고 임상을 진행한 오리건보건과학대 브라이언 드러커 교수. 만성골수성백혈병 ... ...
'간'에서의 혈당 조절 기작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13.06.10
- 미래창조 과학부 제공 국내 연구진이 간세포에서 단백질에 의한 혈당 조절 기작을
분자
수준에서 규명하여 당뇨병 연구에 새로운 방향을 제시하였다. 기존 당뇨병 치료제의 한계를 극복하는 새로운 치료제 개발의 장이 열릴 것으로 기대된다.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의 ‘미래유망융합기술 ... ...
박테리아와 바이러스에 치명적인 은나노복합체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6.04
소재가 국내 융합연구진에 의해 개발되었다.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 원장 문길주)
분자
인식연구센터 우경자 박사팀과 서울대학교 보건대학원 고광표 교수팀이 공동으로 수행한 이번 연구는 미래창조과학부(장관 최문기)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이 추진하는 나노·소재 기술개발사업 및 ... ...
휘어지는 투명 유기
분자
메모리 소자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3.05.30
그림 4. 참조)을 통해 확인하였다. 이 교수는 “그래핀과 화학적 결합이 가능한 유기
분자
소자는 공정이 쉽고 수율(收率)이 높으며, 다양한 기능을 가져 기존 실리콘과 금속 전극을 대체하여 향후 휘어지는 태양전지 및 투명전극체 등 새로운 유기반도체 소자 시장 개척에 크게 이바지할 것으로 ... ...
2020년 융합신산업 핵심은 ‘나노기술(NT)’
동아사이언스
l
2013.05.23
제공 “나노기술이란 10억 분의 1(Nano)이라는 말 그대로, 눈에 보이지도 않는 정밀한
분자
단위를 제어하는 겁니다. 어떤 산업기술에도 응용할 수 있지만 위험성도 높지요. 아직은 정부의 계획적인 관심과 투자를 통해 전략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습니다.” 손웅희 한국생산기술연구원(생기원) ... ...
‘정크 DNA’는 정말 쓰레기통에 버려야 할 개념인가?
동아사이언스
l
2013.05.22
PNAS)’ 4월 2일자에 무척 흥미로운 글이 한 편 실렸다. 캐나다 댈하우지대 생화학-
분자
생물학과 포드 두리틀 교수가 기고한 비평으로 글 제목이 거의 기사 제목 수준이다. ‘정크DNA는 터무니없는 말인가? 엔코드 비판(Is junk DNA bunk? A critique of ENCODE)’. 읽어보니 지난 반년동안 필자가 고민했던 바로 그 ... ...
거품의 물리학
동아사이언스
l
2013.05.15
상태인 거품이 꺼지는 것이다. 순수한 물은 세게 저어도 거품을 만들기가 어렵다. 물
분자
의 표면장력이 워낙 커서 거품이 만들어지자마자 깨지기 때문이다. 반면 비누나 샴푸, 맥주 같은, 표면장력을 낮춰주는 계면활성제가 녹아있는 수용액은 거품도 잘 생기고 오래 유지된다. 물리학자들은 ... ...
방사성동위원소 이용 동식물 대사 연구 종합연구실험동‘RI-Biomics 센터’준공
동아사이언스
l
2013.05.13
사업을 통해 암 및 심혈관계 난치성 질환 치료 표적 신약 및 신소재 개발을 위한 생체
분자
반응 규명을 위한 바이오센싱(Bio-sensing) 응용 기술 개발을 추진할 계획이다. RI-Biomics 센터 이용 연구개발을 통해 신약·신소재·천연물·기능성 식품 평가에 대한 신뢰성을 높여 세계보건기구(WHO), ... ...
분자
생물학의 거성(巨星) 떨어지다
동아사이언스
l
2013.05.07
1965년 노벨상을 받은 직후인 45세 무렵의 모습이다. - 노벨재단 제공 20세기 중반
분자
생물학을 개척한 과학자들 중 두 사람이 짝을 이룬 경우가 종종 발견된다. 올해 발견 60주년을 맞은, DNA이중나선 구조를 밝힌 제임스 왓슨과 프랜시스 크릭이 대표적이다. 이들만큼 유명하지는 않지만 ... ...
세계 초일류 융복합 연구중심대학 세울 것
과학기술인공제회
l
2013.05.03
DGIST의 안정적인 재원 마련과 직결됩니다. 9개월 동안의 끈질긴 설득 끝에 모신 식물
분자
유전학 분야의 세계적 권위자인 남홍길 교수는 국제과학비지니스벨트 기초연구단사업에 선정돼 1년간 100억원의 연구비를 10년 동안 지원받는 성과를 얻었습니다. 지금도 정부와 민간기업으로부터 자금 유치를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