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반
일단
만억
단
팀
d라이브러리
"
조
"(으)로 총 2,540건 검색되었습니다.
무인항공기 만드는 땅 위의 파일럿 항공로봇비행단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모형항공기를 이용해 벤처 기업을 차릴 준비를 하고 있다. 동아리 활동을 하며 쌓은
조
종 실력을 바탕으로 항공 촬영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 꿈이다. 최 군에게 항공로봇비행단은 아마추어에서 프로로 발돋움하기 위한 발판인 셈이다.3학년 홍영기 학생은 사람이 직접 갈 수 없는 곳까지 갈 수 있는 ... ...
피
조
금만 뽑아도 되는 초민감 센서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세기를 측정하는 식이다.그렇다면 어떻게 해야 더 민감한 센서를 만들 수 있을까. 나노구
조
설계가 그 해법으로 떠오르고 있다. 일정한 부피에 나노미터 수준으로 만든 아주 작은 센서들을 밀집시킬 수 있기 때문에 이전까지는 검출할 수 없던 미량의 물질도 찾아낼 수 있다. 바이오센서 크기 전체가 ... ...
좋아하는 사람에게 마음을 얻는 비법?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그런데 이상하다. 공사가 한창이던 때에도 비판은 거셌는데 사업은 계속됐다. “이미 몇
조
원을 쏟아 부었기 때문에 멈추면 손해다”라는, 이른바 ‘매몰비용’ 논리 때문이다.영화를 생각해보자. 재미있을 것 같은 영화가 있어서 3만 원을 주고 영화 시사회에 참석했다. 그런데 맙소사. 절반을 ... ...
투명한 뇌, 우울증 신경을 찾다
과학동아
l
2013년 07호
이 연구를 지도한 칼 다이스로스 교수에 따르면 이 방법을 써서 투명하게 만든
조
직은 원상태보다 단단하고 화학적으로 안정적이어서 오랫동안 여러 가지 연구를 할 수 있다. 정광훈 박사는 “앞으로 정상적인 뇌뿐만 아니라 다양한 질환에 걸린 뇌의 지도를 완성해, 뇌질환을 이해하고 치료법을 ... ...
Part 1. 흔들리는 백두산, 꿈틀대는 후지산 D데이는 언제?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화산의 영향을 받아 정기적으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아직
조
사단계에 있지만 백두산 천지처럼 큰 규모의 호수에서 결코 무시할 수 없는 위험이다. 첨단 사회는 2차 재앙을 낳는다1000년 전 백두산 분화는 대규모 폭발이었지만 지질학자들에게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 화산재의 ... ...
머리가 굳는다? 새빨간 거짓말!
과학동아
l
2013년 06호
바로 레슬리 아이엘로와 피터 휠러 영국 런던대 인류학과 교수가 1995년 발표한 ‘비싼
조
직 가설’입니다. 실제로 다양한 동물들을 비교한 결과, 과연 두뇌 크기와 소화기관 크기는 반비례한다는 결과가 나왔습니다.두 번째 문제는 두뇌 크기에 맞춰서 머리뼈도 자라야 한다는 점입니다. 그런데 ... ...
지구사랑 탐사대 1기 발대식
어린이과학동아
l
2013년 06호
선발했어요. 앞으로
조
장을 중심으로 각
조
가 맡은 지역 탐사가 이뤄지므로
조
원들은
조
장을 잘 따라 줘야 해요.1기 지구사랑 탐사대의 활약을 기대해 주세요~ ... ...
[수학뉴스] 세계 7대 수학 난제 소동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물리학적 결론을 도출했을 뿐이라는 것이다.포스텍 수학과 박형주 교수는 “수학계는
조
교수의 연구가 클레이수학연구소에서 제시한 세계 7대 난제와 관련이 없다는 입장”이라며, “양-밀스 문제의 핵심을 오해해 생긴 일”이라고 설명했다 ... ...
수학 7대 난제 정말 풀었을까
과학동아
l
2013년 05호
있다”며 “어떤 질량 간극을 해결했다는 것인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이 교수는 또 “
조
교수팀이 쓴 자기홀극 응축으로 답을 찾는 데 성공했다 해도 더 중요한 양자효과에 대한 연구가 아니기 때문에 전체의 극히 일부만 설명하는 것”이라고 말했다.사실 이번 보도 사태는 시작부터 무리가 ... ...
구구단 필요없는 최고의 곱셈 왕은 누구?
수학동아
l
2013년 05호
쓰고, 나머지와 상관없이 몫을 연속해서 2로 나눈다. 고대 이집트 사람들의 곱셈법과
조
금 다르지만, 본질적으로 수를 2로 분해한다는 점은 똑같다. 결국 러시아 농부들의 곱셈법도 이진법과 분배법칙을 이용한 것이다. 과정 ➊ 곱셈식에서 왼쪽에 있는 수를 연속해서 2로 나눈다. 이때 나머지가 1이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