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구
꾸밈
가공
가언
가정
건축
건설
뉴스
"
가설
"(으)로 총 1,093건 검색되었습니다.
진공을 채우는 에너지, 한 눈에
동아사이언스
l
2014.03.10
진공은 비어있는 상태가 아니라, 진공 에너지로 채워져 있다는
가설
을 발표했다. 이 같은
가설
은 여러 실험을 통해 간접적으로 확인됐지만 진공 에너지를 형상화해 존재를 입증한 적은 없었다. 연구진은 에너지 준위가 높은 원자들이 진공 에너지가 만드는 전자기장에 반응해 빛을 방출한다는 ... ...
'유령입자' 드디어 정체 드러내나
동아사이언스
l
2014.02.26
태양에서 나오는 과정에서 고밀도 플라스마를 통과하며 다른 형태로 변형될 것이라는
가설
을 세웠다. 그런 뒤 밀도가 더 낮은 지구의 물질과 상호작용하면 다시 변형돼 소수의 고에너지 중성미자만 지구에서 관측될 것으로 예상했다. 그런 가운데 일본의 슈퍼-카미오칸데 검출기가 태양에서 나온 ... ...
해면의 진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25
고생물학자들은 이런 급변의 원동력으로 산소의 증가를 꼽아왔다. 연구자들은 이런
가설
이 맞는지 ‘증명’해보기 위해 초창기 동물과 가장 가까운 형태일 해면을 대상으로 산소농도를 달리하며 생존과 성장의 한계를 알아보는 실험을 했다. 그 결과 놀랍게도 해면은 현재 대기산소농도의 0.5~4 ... ...
생명체 탄생 산소 덕분 아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4.02.19
"다세포 생물일수록 산소 농도가 아니라 한 번 진화하는 데 시간이 더 오래 걸린다는
가설
을 앞으로 연구에 적용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번 연구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최신호에 실렸다 ... ...
[신나는 공부/꿈을 만나다]한국체육과학연구원 정진욱 박사
동아일보
l
2014.02.18
갖고 연구에 임해야 한다는 것. “‘어떤 방법이 경기력 향상에 효과적이겠다’는 연구
가설
을 세우기 위해서라도 다양한 운동을 섭렵하고 인체의 한계를 넘나드는 운동도 해봐야 해요. 체육과학연구원을 꿈꾼다면 운동하다 죽을 것 같은 순간을 일컫는 사점(死點)과 그 구간을 넘기면 몸이 편해지는 ... ...
광우병 유발 단백질이 기억의 핵심물질이라고?
동아사이언스
l
2014.02.12
스스로를 유지할 수 있는 프리온의 성질이 오랫동안 지속되는 장기기억과 관련이 있다는
가설
을 증명할 수 있었다. 문제는 ‘방사능 물질’처럼 제어하기 어려운 프리온 활성이 뇌 속에서 어떻게 조절되는 지 였다. 연구팀은 Orb2 단백질의 여러 형태 중 Orb2A라 부르는 아주 희귀한 형태에 주목했다 ... ...
‘짝다리 자세’ 척추측만증 악화시킨다
동아일보
l
2014.02.10
원인이 아니다. 정성수 삼성서울병원 정형외과 교수는 “척추측만증만큼 이상한
가설
이 많은 것도 없을 것”이라며 “신발에 깔창을 깔면 더 안 좋아진다든지, 옆으로 눕거나 엎드린 자세는 피해야 한다든지 하는 말은 다 거짓말”이라고 못 박았다. 다만 한쪽 발에 무게중심을 싣고 삐딱하게 서 ... ...
악몽과 개꿈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4.02.04
있고 이를 토대로 악몽도 그럴듯하게 설명하고 있다. 그 가운데 필자가 공감한
가설
인 정서네트워크 기능장애 모형(affect network dysfunction model)을 잠깐 소개한다. 몬트리올대 수면연구센터 토레 닐센 교수와 미국 예시바대 로스 레빈 교수는 지난 2007년 학술지 ‘수면의학리뷰’에 발표한 논문에서 ... ...
[초대석]세계수학자대회 유치 주역 박형주 조직위원장
동아일보
l
2014.01.27
정말 흥분시키는 것은 대회의 여러 강연에서 제시되는 추론이다.” ―추론이라면 일종의
가설
아닌가. “수학자들이 풀어야 할 난제들이 도출되는 장(場)이라고 보면 된다. 세계적인 수학자들이 모여 ‘이 수학적 난제를 해결하는 방법은 이럴 것’이라는 추론을 저마다 내놓는 것이다. 이게 ... ...
위암 안 걸리려면 헬리코박터 균과 '궁합' 맞아야
동아사이언스
l
2014.01.15
동아일보DB 제공 우리나라 성인 3명 중 2명이 갖고 있다는 헬리코박터균(헬리코박터 파일로리)은 세계보건기구(WHO)가 지정한 1등급 발암 요인이 ... 설명했다. 연구진은 이를 위해 동아시아와 아프리카 지역에서도 이 같은
가설
이 적용되는지 연구를 진행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 ...
이전
100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