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구
꾸밈
가공
가언
가정
건축
건설
뉴스
"
가설
"(으)로 총 1,093건 검색되었습니다.
헉! 출생년도에 따라 허리둘레 달라지네
2015.01.01
사실에 주목했다. 시대에 따른 환경의 변화 탓에 비만률이 높아졌을 거라는
가설
을 세운 연구팀은 1971~2008년 추적조사 연구(코호트 연구)에 참여한 5125명을 대상으로 출생년도와 비만율의 상관관계를 분석했다. 그 결과 1942년 이전에 태어난 사람과 이후에 태어난 사람 사이에는 성별과 나이를 ... ...
올해 최고의 과학사진 톱10
2014.12.26
연구진은 이 사진이 극대거성(hypergiant)이 생성되기 위해서는 두 별이 병합해야 한다는
가설
을 뒷받침하는 것으로 보고 있다. 특히 이 쌍성은 200만 년 정도의 젊은 별이어서 학계에서는 두 별이 병합한 뒤 어떤 일이 벌어질지 주목하고 있다. 고생물학계에서는 수영하는 공룡 ... ...
과학은 길고 인생은 짧다 [1회]
2014.12.22
연속성이 없어 실체를 놓고 여러
가설
이 난무했는데 자일라허도 가세해 가장 과격한
가설
을 내놓은 것. 즉 에디아카라 화석군은 캄브리아기 동물계와는 별도의 계(Kingdom)라고 주장하고 ‘벤도비온트(Vendobionta)’라고 명명했다. 자일라허는 벤도비온트가 그 뒤 완전히 절멸했다고 주장하지만 ... ...
혜성 탐사선 ‘로제타’ 올해의 연구 성과 1위
2014.12.19
4만 년 전에 그려진 동굴 벽화가 발견되면서 미술의 발상지가 유럽이라는 기존
가설
을 뒤집는 연구도 선정됐다. 가로세로 10cm밖에 되지 않는 초소형 위성 ‘큐브샛’이 올해 75개 넘게 발사되며 과학적인 목적으로 활용 범위가 넓어지고 있다는 내용과, 아데닌(A), 티민(T), 구아닌(G), 시토신(C) 등 ... ...
해장술은 정말 숙취해소 효과가 있을까
2014.12.15
염증반응 뜻밖에도 현재 숙취의 원인으로 가장 그럴듯하게 여기는 이론이 염증반응
가설
이라고 한다. 즉 병균에 감염됐을 때 우리 몸이 보이는 증상과 숙취가 비슷하다는 말이다. 그리고 보니 몸살을 앓을 때 증상이 숙취와 비슷한 것 같기도 하다. 즉 숙취 상태에서는 우리 몸의 면역관련 ... ...
왜 나쁜 기억은 잘 잊혀지지 않을까
2014.12.09
사이가 얼마나 단단하게 연결됐느냐에 따라 기억이 남는 정도가 달라진다는 것이다. 이
가설
은 그동안 동물실험을 통해 사실임이 증명됐다. iStockphoto 제공 최근 뉴런 사이의 연결을 강화시키는 것 외에 또 다른 요소가 기억을 강화시킬 수 있다는 사실이 새롭게 밝혀졌다. 일본 ... ...
[일본, 하야부사 2 발사 성공] 소행성 1999JU3 향해 52억 ㎞ 여정 시작
2014.12.03
발견되면 지구의 바다와 생명이 물과 유기물로 구성된 소행성과의 충돌로 만들어졌다는
가설
을 규명하는 근거가 된다. 하야부사 2의 전신인 ‘하야부사’는 2003년 발사된 뒤 6년 7개월 만에 소행성 ‘이토카와’에서 미립자를 갖고 지구로 돌아왔지만 유기물의 흔적은 발견되지 않았다. 하야부사 ... ...
뉴욕시 거리 쓰레기 처리 일등공신은 개미?
2014.12.02
특정 지역에 서식하는 곤충의 종류가 다양하면 음식쓰레기 소비량이 많아질 거라는
가설
을 세웠다. 이를 확인하기 위해 연구진은 거리와 공원에 어떤 곤충들이 살고 있는지를 파악하고, 해당 곤충들이 어떤 종류의 음식쓰레기를 먹는지 확인했다. 그런 뒤 양을 정확히 잰 감자칩과 핫도그, 쿠키 ... ...
태양보다 150배 더 무거운 별이 있을까?
2014.11.17
명쾌하게 제시하는 이론도 없다고 한다. 다만 지금까지 가장 유력하게 받아들여지는
가설
에 따르면 태양질량의 150배가 한계라고. 미국 로체스터기술연구소 검출기센터 도널드 피거 박사는 ‘네이처’에 기고한 글에서 지난 7월 학술지 ‘천문학&천체물리학’에 실린 독일 ... ...
영화 ‘인터스텔라’의 옥에 티, 찾아봤습니다
2014.11.14
존재하면 웜홀을 통해 우주여행이 가능하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손 교수의
가설
에 등장하는 웜홀은 우주에서 아직 발견되지 않았다”며 “물리학적으로 검증된 바 없는 웜홀이 영화를 이끌어가는 핵심 장치라는 건 근본적인 옥에 티”라고 말했다. 탐사대원을 싣고 심우주로 향하는 ... ...
이전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