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허구
꾸밈
가공
가언
가정
건축
건설
뉴스
"
가설
"(으)로 총 1,093건 검색되었습니다.
우리 할머니는 아티스트
2015.02.25
사실이 드러났습니다. 호모 에렉투스 시절부터 노년기의 삶이 보편화됐다는 할머니
가설
의 허점이 발견된 것입니다. 우선 인류의 진화 역사 속에서 노년층의 비율이 점점 늘어난 것은 사실이었습니다. 노년층의 비율은 오스트랄로피테쿠스(약 400만 년 전 등장)보다 호모 에렉투스(200만 년 전)에서 더 ... ...
백설공주의 유전자를 찾을 수 있을까
2015.02.11
왜 인류의 털이 솜털로 바뀌었을까요. 고기를 무제한으로 먹을 수 있게 돼서라는
가설
이 가장 유력합니다. 초식을 하던 초기 인류는 250만 년 전부터 고지방, 고단백 음식에 맛을 들였습니다. 다른 짐승들이 먹고 난 찌꺼기인 뼈를 깨서 그 안에 있는 골수를 먹는 정도였지만, 그 덕분에 두뇌와 몸집이 ... ...
지구의 그 많은 물은 다 어디서 왔을까
2015.02.09
표면을 덮고 있는 물의 기원을 찾는 게 만만한 일이 아니라는 걸 알게 됐다. 실제로 많은
가설
이 나와 있지만 아직 결정적인 시나리오를 재구성하지는 못한 상태다. 그럼에도 필자가 막연히 생각한 것처럼 지구가 형성될 때 물이 있었던 건 아닌 게 거의 확실하다. 대신 지구가 형성되고 수천만 년 ... ...
우유 마시는 사람은 '어른아이'
2015.02.04
지닌 비율이 높습니다. 결국, 우유의 어떤 성분이 삶과 죽음을 갈랐는지는 무수한
가설
만을 남긴 채 여전히 풀리지 않고 있습니다. 우리는 지금도 이유도 모른 채 우유와 아이스크림을 맛있게 먹고 있습니다. ● 인류와 우유, 젖소의 공진화 사육되는 젖소들. 목축업과 우유는 사람의 유전자를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늑대복원, 정말 필요할까
2015.02.02
이처럼 포식자의 행동이 생태계에 연쇄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설명을 ‘행동연쇄
가설
(behavioural-cascade hypothesis)’라고 부른다. 필자가 보기에도 꽤 그럴듯한 설명 같다. 그런데 2010년 이런 해석에 의문을 제기하는 연구결과가 학술지 ‘생태학’에 실렸다. 미국 와이오밍주 어류 및 ... ...
아이 러브 ♥ 고기
2015.01.28
노화 과정을 진화생물학의 관점에서 설명하는 다양한 학설 중에 ‘플라이오트로피
가설
’이 있습니다. 플라이오트로피 현상은 하나의 유전자가 여러 형질에 관여하는 현상입니다. 어떤 유전자가 아동기와 청년기에 유익한 기능을 담당한다고 가정해 봅시다. 만약 그 유전자가 노년기에는 ... ...
최종경선! 최초의 인류는 누구?
2015.01.14
환경은 초원이 아닌 삼림지대입니다. 초원 환경에 대한 적응으로 직립보행이 태어났다는
가설
마저 흔들리게 된 셈입니다. 과연 최초의 인류는 누구이며 어떤 모습이었을까요. 이 질문은 진화론의 역사와 함께합니다. 다윈이 제기한 이후 200년이 넘게 끊임없이 탐구된 주제입니다. 논쟁은 끝나지 ... ...
공룡의 직계 후손은 닭?
과학동아
l
2015.01.14
pixabay 제공 수각류(이족 보행한 용반류) 공룡으로부터 조류가 진화했다는
가설
은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1990년대 중국 랴오닝성 등지에서 깃털 달린 공룡이 발견되며 새의 공룡기원설에 힘이 실렸다. 그렇다면 현생 조류 가운데 공룡의 ‘직계 후손’은 누구일까. 최근 닭이 공룡과 가장 가까운 ... ...
매머드 멸종 불러온 빙하, 혜성 충돌 탓 아니었어?
2015.01.07
신생대 마지막 빙하기가 찾아온 이유에 대해서는 여러
가설
들이 분분한 상태다. 유력한
가설
중 하나가 바로 지구 인근을 지나던 혜성이 중력에 의해 끌려와 충돌하고 충격으로 발생한 재가 대기 중으로 퍼지며 빙하기를 불러왔다는 혜성 충돌설이다. 북미에서 발견된 여러 흔적들이 그 증거로 ... ...
전쟁 때 태어난 남아는 건강하다
과학동아
l
2015.01.05
남아를 유산시켜 더 건강한 아이를 낳을 여지를 만든다”고 해석해 왔다. 그런데 최근 이
가설
을 뒷받침하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영국 셰필드대 생물학과 비르피 루마 교수팀은 어려운 시기에 태어난 남아가 평균보다 생존율이 더 높다고 ‘영국왕립학회보B’ 12월 10일자에 발표했다. 연구팀은 1 ... ...
이전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