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뉴스
"
바다
"(으)로 총 2,739건 검색되었습니다.
못생긴 심해 물고기 ‘눈길’
팝뉴스
l
2020.01.31
‘귀신고기’라 불리기도 한다. 길이는 18cm 정도이고 수심 500미터에서 2100미터
바다
에 산다. 외모가 유달려 못생겨 오그르피쉬 ogrefish라는 별칭도 갖고 있다. 오그르는 유럽 신화 속의 괴물이다. ※ 편집자주 세상에는 매일 신기하고 흥미로운 일이 많이 일어납니다. 보는 이의 눈살을 ... ...
[인류와 질병]점점 북적이는 치과의 비밀 '치아의 진화'
2020.01.25
거슬러 올라간다. 무악어류는 치아가 없는데, 턱이 없기 때문이다. 실루리아기까지 원시
바다
를 점령한 녀석이다. 그러다가 아가미 활에서 점차 턱이 진화하기 시작했는데, 아마 처음에는 아가미로 더 많은 물이 지나가도록 하려는 목적이었을 것이다. 아가미를 지나는 물의 양을 늘리려면 입을 크게 ... ...
설 차례상에서도 기후변화를 읽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25
잡히던 방어가 강원도까지 올라왔다. 제주가 주산지였던 방어가 요즘 강원도 앞
바다
를 주름잡고 있다. 방어가 강원도 특산물로 꼽힐 정도다. 연간 1000t 수준이던 강원도 방어 어획량이 2017년부터 3000t대로 급증하고 있다. 반대로 제주도의 방어 어획량은 급감했다. 제주특별자치도의 연간 어획량 ... ...
[에코리포트]영구동토가 사라진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20.01.24
영구동토층을 조사하던 러시아 톰스크 폴리테크닉대학교 이고르 세밀레토프 교수팀은
바다
에서 메탄 기체가 올라오는 모습을 포착했다(왼쪽). 연구팀이 현장의 대기 중 메탄 농도를 측정한 결과 16ppm으로, 평균 1.85ppm이 있는 것과 비교하면 약 9배 높은 수준이었다.Tomsk Polytechnic University 제공 ... ...
[인류와 질병] 자연이 인간 면역계에 좋은 과학적인 이유
2020.01.18
들어왔다는 주장이 있다. 일본인의 장내 미생물은 이러한 효소를 가지고 있었다. 파란
바다
에서 살면 해조류를 소화할 수 있게 된다는 것이다. 일본인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밝혀진 것이지만, 아마 한국인도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다. 아픈 건물 증후군 아픈 건물 증후군(sick building syndrome ... ...
[주말 고고학산책]강인한 전사 바이킹은 왜 그린란드를 버렸나
2020.01.18
13을 적게 흡수합니다. 광합성 화학 과정이 달라서 일어나는 차이죠. 이와 비슷하게,
바다
에서 채취한 음식을 많이 먹거나 질소가 많이 함유된 콩류 음식을 먹으면, 동위원소인 질소-15의 비율이 높아집니다. 따라서 뼈의 조직을 추출하여 동위원소 비율을 분석했을 때 질소-15의 비율이 높다면, ... ...
공룡 대멸종 원인은 소행성 충돌…화산폭발 원인 아냐
동아사이언스
l
2020.01.17
PNAS)’에 발표했다. 바닷물이 산성화하며 석회질 조류가 살아남지 못했고
바다
상층부의 생명체도 사라졌다는 것이다. 소행성 충돌 전 암석층에선 산성화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았다 ... ...
네안데르탈인도 조개 잡으러 다이빙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6
상황도 있을 수 있다”고 말했다. 네안데르탈인이 해변에서 홍합을 채집하고 얕은
바다
에서 낚시를 한 것으로 알려져 있지만 수영이나 다이빙을 했다는 증거는 거의 없다. 지난해 미국 세인트루이스 워싱턴대의 에릭 트린카우스 교수 연구팀은 많은 네안데르탈인들이 잠수부들이 많이 겪는 ... ...
한국 면적 태워버린 호주 산불…지구온난화 부추기는 '악순환' 경고
동아사이언스
l
2020.01.15
공개했다. 이달 3일 기준 이미 연기는 남동부 해안과 호주와 뉴질랜드 서부 사이의
바다
인 태즈먼해을 넘어 태평양까지 퍼져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NASA는 8일 기준 이미 연기가 남미 대륙에도 도달했으며 지구 한바퀴를 돌아 다시 호주로 돌아올 것으로 분석했다. 문제는 연기와 함께 배출된 ... ...
아열대 지역 온실기체, 열대지역 온도 40% 더 상승시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14
바람인 무역풍이 차가운 아열대공기를 다시 열대지역으로 나른다. 이 과정에서 열대
바다
깊은 곳에 있던 차가운 해수를 해수면으로 끌어올리는 ‘용승’ 현상이 발생한다. 연구팀은 열대 온도 상승 원인을 밝히기 위해 열대와 아열대에서 발생한 온실기체가 온도상승에 기여하는 정도를 분리해 ... ...
이전
101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