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해양
대양
해사
대해
해상
해운
함수호
뉴스
"
바다
"(으)로 총 2,739건 검색되었습니다.
외계행성 정밀 탐사 우주망원경 '키옵스' 내일 발사(종합)
연합뉴스
l
2019.12.17
밀도는 행성이 바위로 구성돼 있는지 아니면 가스로 돼 있는지, 금속 핵을 가졌는지,
바다
가 존재하는지 등 행성의 구성과 내부 구조 등을 유추할 수 있는 단서를 제공해 준다. [ESA/CNES/Arianespace/Optique video du CSG/J Durrenberger 제공] 키옵스가 밝은 별을 중심으로 관측한다고 해도 식 현상을 ... ...
[표지로 읽는 과학] 집채 만한 대왕고래도 몸집에 한계가 있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5
먹이를 잡아 먹고, 거대동물은 비교적 큰 동물을잡아 먹는다. 하지만 역설적으로
바다
를 호령하는 최고 거대 동물인 고래는 몸길이가 고작 수cm에 달하는 크릴새우를 잡아 먹는다. 제레미 골드보겐 미국 스탠포드대 홉킨스해양연구소 교수팀은 몸집이 작은 알락돌고래부터 가장 거대한 ... ...
가두리 양식장 속 어류 360도 선명한 영상으로 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4
10km 이내에 어디서든 스마트폰을 통해 영상을 볼 수 있다. 연구진은 양식장이 대부분
바다
한가운데 자리하고 있다는 점을 고려해 배터리를 원격에서 효율적으로 켜고 끄는 기능을 추가했다. 또 태양광 패널을 함께 설치해 시스템에 필요한 전기를 한 달간 자급자족할 수 있다. 연구진은 가두리 ... ...
가장 정교한 남극 빙하 밑 지형도 새로 그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3
한국 유일 쇄빙연구선 ‘아라온호’도 내년 1월부터 합류해 스웨이트 빙하와 인근 남극
바다
를 탐사한다. 이원상 해수면변동예측사업단장은 “정밀해진 지형도를 활용해 해수면 상승 예측 정확도를 높이는 연구를 수행 중”이라며 “국내외 연안 침수 피해예방에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 ...
지구에 생명 불어넣은 '산소화' 점진적으로 진행
연합뉴스
l
2019.12.12
이 사건을 시작으로 약 8억년 전과 4억5천만년 전에 두 차례 더 산소가 폭증하면서 대기와
바다
의 산소량이 현재와 같은 수준이 된 것으로 지질기록에 나타나 있다. 큰 동물일수록 더 많은 산소가 필요해 공룡이나 포유류 등의 등장도 고생대 때 마지막으로 산소 폭증이 이뤄진 뒤에나 가능했다. ... ...
북극 대기순환 변화가 빙하 빠르게 녹인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2.11
변했고 북극 해빙에 주는 영향이 강해진 것을 찾아냈다고 이달 10일 밝혔다. 북극
바다
에 떠다니는 얼음 덩어리인 ‘북극 해빙’은 기후변화의 원인이자 결과다. 해빙이 줄어 햇빛 반사량이 적어지면 지구가 햇빛을 흡수해 점점 더워지게 된다. 그 결과 해빙이 더 많이 녹게 된다. 해빙이 줄어 ... ...
[화보+]영국왕립학회가 선정한 올해의 과학사진 10선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있는 홍해아네모네피시를 담았다. 아네모네피시는 이름에서도 알 수 있듯이 따뜻한
바다
산호초 해역 말미잘 안에서 알을 낳고 살아간다. 탐 슐레싱거/영국왕립학회 제공 지구과학과 기후학 부문 준우승작인 '거품이 나는
바다
'. 미국 플로리다공대에서 해양공학및해양과학을 연구하는 탐 ... ...
토성 위성 엔셀라두스 '줄무늬' 정체는 얼음 분출 균열
동아사이언스
l
2019.12.10
워싱턴 카네기과학연구소 연구원팀은 엔셀라두스의 얼음지각의 규칙적인 줄무늬가 지하
바다
에서 물이 얼음 형태로 뿜어나올 때 발생한 균열이며, 하나의 균열이 연쇄적으로 주변 수십km 지역에 영향을 미쳐 여러 개의 평행한 줄무늬를 만들었다는 사실을 밝혔다. 연구 결과는 천문학 분야 ... ...
소형발사체도 재사용 시대 열렸다…'로켓랩' 재진입 테스트 첫 성공
동아사이언스
l
2019.12.09
로켓 페어링을 회수할 때 낙하산으로 천천히 떨어지게 한 후 그물이 달린 배를 이용해
바다
에 떨어지는 페어링을 잡는 방식을 쓴다. 대기권 재진입도 쉬운 기술은 아니다. 로켓랩은 당초 소형발사체가 대기권 재진입 과정에서 노출되는 열에 견디기 어려워 재사용이 어렵다고 봤으나 발사 때마다 ... ...
[표지로 읽는 과학] 하와이 킬라우에아 화산폭발, 사건의 재구성
동아사이언스
l
2019.12.08
능선을 따라 이어진다. 화산에 따라 다양한 원인으로 만들어지는데 하와이에서는 산이
바다
방향으로 중력을 따라 계속해 흘러내리는 과정에서 만들어진다. 몇 가지 조건이 맞아떨어지면 마그마는 열곡대 쪽으로 평소보다 많은 양이 흘러가게 된다. 그 결과 2018년 5월 4일 규모 6.9의 강진이 ... ...
이전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111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