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단위"(으)로 총 2,803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1. 70억 인포그래픽으로 보는 인구과학동아 l2012년 01호
- 한 사람이 생존하기 위해 소모하는 지구 자원의 양을 토지 면적으로 환산한 단위)로, 지구의 생태계가 지닌 부담 능력(1.8gha)을 1.5배 넘고 있다. 지금 인류의 삶을 지탱하려면 지구가 반 개 더 필요하다는 얘기다. 또는 인류를 3분의 1 줄여야 한다(실제로 생태발자국은 국가별로 다르기 때문에 ... ...
- Part 4. 미래 100억 지구의 적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PHA는 2004년 발견된 ‘99942 아포피스’다. 지름이 270m인 이 소행성은 지구궤도에 0.00025천문단위까지 접근한다. 2004년 궤도 계산 결과 2029년 4월 지구와 충돌 가능성이 높다고 알려져 ‘토리노 척도’가 ‘주의’ 중 가장 높은 수준인 4까지 올라갔다. 이는 지금까지 PHA가 받은 등급 중 가장 높은 ... ...
- 학교생활기록부를 100배 더 알차게!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동기, 내용, 성과, 이를 통해 변한 가치관을 상세히 기록한다. 교과학습발달상황 과목별 단위수, 원점수/과목평균(표준편차), 석차등급(수강자수)을 쓴다. 세부능력 및 특기사항에는 과목과 관련된 세부능력 및 수행평가, 학습활동 참여도 및 태도가 포함된다. 이외에 대학과목선이수, 방과후학교 ... ...
- Part 3. 공간 섬, 도시, 극한과학동아 l2012년 01호
- 특히 아프리카의 도시가 눈에 띈다. 2010년과 2025년 세계 15대 도시를 지도에 표시해 봤다(단위 : 만 명). 인류 최고의 발명품, 도시18세기 유럽에서도 도시는 사람을 불렀다. 1760년 이후 영국에서는 공업생산에 기계가 도입됐고, 그에 따라 경제와 사회에 큰 변화가 일어났다(산업혁명).특히 영국은 ... ...
- 2012 빛을 밝혀라!어린이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대형 전광판은 국제 기준보다 2~6배 더 밝다.*㏅(칸델라): 빛의 양을 뜻하는 광도의 단위사람이 적은 늦은 밤에도 고층 빌딩에 환하게 불이 켜진 모습을 자주 볼 수 있다. 필요 없는 빛 때문에 연간 수천만 원의 에너지가 낭비된다. "연구를 하다 보면 다양한 조명을 하루에도 수백, 수천 개 이상 볼 ... ...
- 시작의 설레임을 담고 있는 1수학동아 l2012년 01호
- 되어 2만 명이 되고, 다시 10년 뒤 인구는 2만 명의 2배인 4만 명으로 늘어난다. 이렇게 10년 단위로 2배씩 변화하는 인구수를 표로 나타낸 뒤, 각 수가 어떤 숫자로 시작하는지 확인해 보자. 모든 통계의 결과가 벤포드의 법칙을 따르는 것은 아니지만, 통계의 항목들 중 곱셈과 관련이 있는 건 벤포드의 ... ...
- 신의 입자 힉스, 눈 앞에 다가오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두 개가 충돌할 때 실제로 충돌하는 양성자의 수는 20~25개”라고 설명했다. 양성자가 조 단위로 있어도 충돌할 확률은 매우 낮기 때문이다. 그래도 거의 빛의 속도로 달리는 양성자 빔은 둘레 27km인 터널을 1초에 1만 바퀴 돌 수 있다. 수백 개의 뭉치가 1초에 1만 번씩 충돌하면 1초에 충돌하는 ... ...
- 나노갤러리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변기의 모습을 설계 소프트웨어로 그린 뒤 이 형상을 슬라이스 치즈처럼 얇게 썰어 나노 단위로 줄였다. 이 설계도대로 탄소기체를 기판에 차곡차곡 쌓아 굳혀 실제 변기와 똑같은 형상을 만들어 냈다.[대량생산 어떻게 할까]농장식 VS 공장식나노 구조물을 생활에 직접 쓰려면 한 번에 많은 ... ...
- 겨울의 DMZ에서 독수리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빨간색이었다.“큰 두 마리는 부부고 가운데 작은 것은 새끼죠. 두루미는 저렇게 가족 단위로 산답니다.”서울에서 온 강서림 씨는 “평소에는 볼 수 없는 겨울철새를 직접 볼 수 있는 좋은 기회”였다며 “다음에는 철새 전문가에게 더 자세한 설명을 듣고 공부하는 시간도 함께 있었으면 ... ...
- 트러스-아치 구조의 비밀과학동아 l2012년 01호
- 대표적인 방법으로는 트러스 구조와 아치 구조가 있다. 트러스 구조에서는 기본단위인 삼각형을 그물 모양으로 짜서 하중을 지탱하며, 평면 구조와 입체 구조로 나눌 수 있다. 주로 다리의 상판 아래, 터미널의 지붕 등에 사용한다. 아치 구조는 누르는 힘을 옆으로 분산시켜서 하중을 줄이고 변형을 ... ...
이전102103104105106107108109110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