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모듈
기준
하나
단원
중량단위
중량
유니트
뉴스
"
단위
"(으)로 총 2,700건 검색되었습니다.
모듈러 건축 바닥 진동 70% 이상 줄이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10.02
줄어드는 성질)이 낮아 생활 진동에 특히 취약했다. 연구팀은 주파수를 0.1Hz(헤르츠)
단위
로 정밀하게 조정할 수 있는 강성 조절형 동조질량댐퍼를 개발했다. 건축 구조 기준을 만족하면서 약 70% 이상의 바닥 진동 저감 효과를 입증했다. 주파수는 5.1~6.9Hz 범위에서 세밀하게 조절 가능하며 주문 ... ...
과학 대중화의 시작…영국 에든버러 과학 축제 2025
과학동아
l
2025.10.02
북적이는 것이 꽤나 즐겁다”고 말했다. “과학 축제를 한 바퀴 둘러보려는 가족
단위
방문자나 평소 AI에 관심이 많던 어른들이 대다수”라는 것이 바 부관장의 설명이다. 상설 전시 외에도 참가 신청을 따로 받아 진행하는 강연이나 체험 프로그램도 많다. 4월 13일 오후 6시에는 스코틀랜드 ... ...
'한국계 우주비행사' 조니 김 "고추장 다 떨어져…누리호 4차 발사 응원"
동아사이언스
l
2025.10.02
고 했다. 옷 세탁에 대해서 조니 김은 "ISS에서 옷을 세탁하지 않는다"며 "물이 분자
단위
에서 매우 무겁기 때문이다. 옷이 더러워지면 세탁하는 것보다 그냥 버리는 것이 훨씬 비용 효율적이다. 지상에서는 우리가 임무 기간 내내 입을 수 있도록 충분한 옷을 보내준다"고 설명했다. 조니 김은 물이 ... ...
[과기원NOW] KAIST, 헌팅턴병 원인 단백질 새 기능 규명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10.01
차선 등 핵심 객체 인식률을 95.3%에서 3.23%까지 급감시켰다. 이번 연구는 모델에서 취약한
단위
계층을 규명해 향후 더 안전하고 신뢰성 높은 자율주행 인식 시스템을 설계하는 데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김 교수는 "이론적으로 가장 취약한 시나리오를 사전에 분석·진단해 더욱 견고한 방어 ... ...
그린수소 상용화 촉진할 '단일원자 백금촉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5.10.01
단일원자 촉매 연구가 전 세계적으로 진행되고 있다. 단일원자 촉매는 금속을 원자
단위
로 분산시켜 촉매 활성을 극대화할 수 있는 기술이지만 단일원자의 불안정성 탓에 활성도와 안정성을 동시에 확보하기 어렵다. 연구팀은 기존 한계를 전기도금 방식으로 극복했다. 다공성 탄소 지지체의 ... ...
뇌전증 발작 이유, 3차원 전자현미경으로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25.09.30
연구팀은 3차원 전자현미경 영상기술을 활용해 발작 메커니즘을 살폈다. 뇌 신경회로
단위
에서 난치성 뇌전증 원인을 추적하기 위해 서울대병원이 제공한 'FCD 타입I 환자'의 뇌 조직을 다양한 3차원 전자현미경 기법으로 정밀 분석했다. 3차원 전자현미경은 세포나 조직의 구조를 나노미터 ... ...
단일세포 빅데이터 장착한 SCL사이언스… KAIST와 손잡고 암 백신 승부수
동아사이언스
l
2025.09.30
이질성과 종양 미세환경을 정밀하게 해석할 수 있는 차세대 분석 기술이다. 기존 조직
단위
분석이 간과했던 미세한 차이를 포착할 수 있어 질환 발생 과정의 이해도를 높인다. 질환 진단 마커 발굴과 신약 후보물질 탐색, 환자군 특성 분류체계 마련에 활용할 수 있다. 특히 SCL사이언스는 이번 ... ...
[과기원NOW] KAIST, 빛과 AI로 경제적이고 튼튼한 3D프린팅 구현 外
동아사이언스
l
2025.09.29
것"이라고 밝혔다. 김유수 IBS 양자변환연구단장은 "이번 워크숍을 통해 원자·분자
단위
에서 진행되는 나노 스케일 연구의 한계를 극복하고 새로운 공동연구 주제를 발굴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 GIST는 남창희 물리·광과학과 교수가 9월 14일부터 19일까지 이탈리아 팔레르모에서 개최된 ... ...
"AI, 양자컴퓨터와 상호보완적으로 발전 가능"
동아사이언스
l
2025.09.29
관측할 은하의 0.05%에 그친다"고 설명했다. 이어 "하루에 쏟아지는 천문학 데이터 양의
단위
가 페타바이트(PB, 1PB=약 100만GB) 이상이라는 뜻"이라며 "천문학자들이 전통적 방식으로 연구하기 어려워져 자연스럽게 AI가 필요하게 된 것"이라고 말했다. 29일 경기 성남시 한림원회관 지하 1층 강당에서 ... ...
뇌기능 실시간 촬영 한국 연구자 논문, 저자들이 철회
동아사이언스
l
2025.09.26
당시 논문에서 기존 기능적자기공명영상(fMRI)보다 8배 빠른 5밀리초(ms, 1000분의 1초)
단위
로 뇌 반응을 포착할 수 있다는 ‘DIANA(Direct Imaging of Neuronal Activity)’ 기법을 제시하며 뇌과학의 새 장을 열 것이라는 기대를 모았다. 그러나 발표 직후 국내외 연구진이 재현에 잇따라 실패했다. 자기공명영상 ... ...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