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과
과업
과정
학업
전공
학부
스페셜
"
학과
"(으)로 총 1,315건 검색되었습니다.
토양 속 미세플라스틱, 생물 움직임 방해
동아사이언스
l
2019.03.26
흙 속 생물의 움직임까지 방해한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안윤주 건국대 환경보건과
학과
교수 연구팀은 토양 내 미세플라스틱에 의해 흙 속 생물의 움직임이 방해받고 있다는 사실을 규명했다고 26일 밝혔다. 방대한 양의 플라스틱 폐기물은 최근 전세계적인 우려가 되고 있다. 특히 5밀리미터(mm∙0. ... ...
북한 과학 국제연구는 김일성종합대,국내 연구는 김책공대가 주도
동아사이언스
l
2019.03.25
국내 현장문제 해결형 연구활동은 김책공대와 국가과학원이 각각 맡은 형국"이라며 "대
학과
과기특성화대, 정부출연연구기관의 연구 분야나 내용에 큰 차별점이 없는 한국과는 다른 모습"이라고 설명했다. 논문에 사용된 단어를 분석한 결과에서는 단독 논문과 공동 저술 논문이 각기 다루는 ... ...
[표지로 읽는 과학] 전 세계 소아암 게놈 데이터를 모으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7
분자, 세포및발달생물
학과
교수와 데이비드 하슬러 산타크루즈 캘리포니아대 생명분자공
학과
교수(하워드휴스의학연구소 연구원)의 논평을 실었다. 그들은 소아암환자의 종양에서 얻은 게놈 데이터 공유가 절실히 필요하다고 주장한다. 소아암은 세계적으로 어린이 300명당 1명 꼴로 겪고 있을 ... ...
염한웅 과기자문위 부의장 “수소경제, 혁신성장 정책에서 과학은 빠졌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12
이를 증명합니다.” 염한웅 대통령직속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부의장(포스텍 물리
학과
교수)은 6일 오전 본보와의 단독 인터뷰에서 작정한 듯 정부의 소통 의지에 문제를 제기했다. 그는 “대통령 비서실과 부처, 국가과학기술자문회의 사이의 삼각관계가 국내 과학기술 분야 거버넌스(의사결정)의 ... ...
[프리미엄 리포트]‘어떻게 죽음을 맞이할까’를 생각하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9
필요 게티이미지뱅크 웰다잉과 죽음교육에 대해 연구하고 있는 서울대 사회
학과
서이종 교수는 “과연 대다수 사람들이 자신의 임종 과정을 결정하는 데 인간 존엄성이나 삶의 가치만을 기준으로 삼았을까"라고 반문했다. 그는 "살아남아 있는 가족들이 경제적 어려움을 겪을 것을 우려해 ... ...
[표지로 읽는 과학] 우아한 도둑 파랑새 큰애니
동아사이언스
l
2019.03.09
남의 둥지를 훔치는 것이다. 크리스티나 리엘 미국 프린스턴대 생태학및진화생물
학과
교수팀은 파나마 야생에서 11년간 큰애니를 관찰했다. 그리고 큰애니가 번식을 할 때 어미새들이 모여서 한 둥지에 낳거나, 또는 다른 새 둥지를 훔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큰애니는 보통 두 마리 이상이 ... ...
딥페이크 만들던 AI기술로 태양 뒷면 자기장 관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3.05
문용재 경희대 우주탐사
학과
교수 연구팀은 인공지능을 활용해 세계 최초로 태양 뒷면의 자기장 영상을 생성해내는데 성공했다. 인공지능과 위성을 이용해 3일 간 ... 과학적인 검증 방법을 세밀하게 고려한 만큼 의미가 깊다”고 말했다. 문용재 경희대 우주탐사
학과
교수. 경희대 제공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동물이 거울을 본다는 것의 의미
2019.02.12
프란스 드 발이 그린 그림이다. ‘플로스 생물학’ 제공 1970년 미국 툴레인대 심리
학과
고든 갤럽 교수는 학술지 ‘사이언스’에 ‘침팬지: 자기인식’이라는 다소 철학적인 제목의 논문을 발표했다. 오늘날 동물인지과학 분야의 고전으로 꼽히는 이 논문에서 갤럽은 침팬지가 거울 속에 비친 자기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젊을 때 근력운동을 해두면 좋은 이유
2019.02.06
줄어들지 않는다(아래). 미국립과학원회보 제공 리뷰논문을 쓴 미국 매사추세츠대 생물
학과
로렌스 슈와르츠 교수는 이런 발견이 고령사회가 되면서 점점 심각한 문제가 되고 있는 근감소증에 대한 해결책을 마련하는데 영감을 준다고 주장했다. 근육량 유지의 열쇠는 근육세포 안에도 있다는 ... ...
[팩트체크] 잘못된 논문에…“슬라임 유해성 과장됐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1.24
밝히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이덕환 대한화학회 탄소문화원장(서강대 화
학과
교수)도 “함량과 용출량이 큰 차이가 없다고 말하려면 이를 입증해야 한다. 학술적으로도 일방적인 주장에 불과하다”고 지적했다. 이어 “용출량을 측정하는 방식과 함량을 재는 방식에는 비용 차이가 거의 없다”며 ... ...
이전
102
103
104
105
106
107
108
109
110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