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입"(으)로 총 2,668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통 전도사 안몽 동물회의장에 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정상상태시각유발전위(SSVEP)’가 발생한다. 이 뇌파는 뇌파 탐지기를 통해 컴퓨터에 입력된다.*SSVEP : 모니터에서 3.5Hz~75Hz 주파수로 깜빡거리는 빛을 볼 때 빛과 같은 주파수로 뇌의 뒤 쪽에서 발생하는 뇌파를 의미한다.아바타 프로젝트, BBIBBI는 ‘뇌-뇌 인터페이스’(Brain-Brain Interface)의 줄임말로 .. ...
- 수학은 우리의 VIP! 북일고 Math VIP수학동아 l2013년 11호
- 배울 수 있었고, 이를 통해 수학 공부를 해야 하는 이유를 분명히 느낄 수 있었다고 입을 모았다.문제풀이에만 치우친 수학 공부를 하다가 다양한 놀이를 체험하며 그 속에 담긴 수학 원리를 배울 수 있었어요. 그리고 친구들과 즐거운 시간을 보내면서 자연스럽게 동아리 활동에 대한 아이디어도 ... ...
- 신기한 바람개비 진동스피너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만들어라!진동에너지로 도는 종이 스피너✽를 만들어 볼까? 날개를 손으로 돌리거나 입으로 후후 불지 않아도 빙글빙글 도는 신기한 스피너란다!3 날개에 손 대지 않고 스피너 돌리기박사님, 다 만들었어요!그런데 종이 스피너가 정말 도는지 어떻게 알 수 있죠?이 나무봉으로 나무 막대의 홈을 ... ...
- INTRO. 세상엔 어떤 입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➊ 드래곤피쉬호주 근처 심해에서 포착된 드래곤피쉬는 혀에도 이빨이 있다. 일단 입에 들어온 먹이를 놓치지 않기 위해서다. 심해에서는 먹이를 찾기가 어려우니 이렇게라도 해야하는 ... 딴짓하는 입INTRO. 세상엔 어떤 입이Part|. 입은 어떻게 진화했나Part ∥. 우리는 왜 입으로 딴짓을 . ...
- ‘스마트’하게 즐기는 수백 년 전 과학실험어린이과학동아 l2013년 11호
- , 사포, 알루미늄 철사, 종이테이프, 강력 양면테이프, 병뚜껑, 송곳주의사항 자석을 절대 입에 넣거나 삼키지 말 것. 네오디뮴 자석의 자성은 매우 강력하기 때문에 자칫하다가는 내장 안팎에 서로 달라붙어 내장 벽에 큰 구멍을 내거나 벽을 찢을 수 있다.실험 순서❶ 사포에 양면테이프를 붙이고 ... ...
- 수학으로 푸는 성공의 비밀! 매스 CEO 클럽수학동아 l2013년 11호
- 지난 2007년에는 인공신경망의 경고에도 불구하고 제작했던 영화가 실패하면서 큰 손해를 입기도 했다. 드루 베리모어라는 유명 여배우가 등장한 라는 제목의 이 영화는 무려 5000억 원을 들여 제작했지만, 고작 70억 원 정도를 벌어들이는 데 그쳤다. 그뿐만이 아닙니다! 인공신경망은 독감 유행이나 ... ...
- [긴급진단] Part1_ 일본에서는 무슨 일이?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오염수 유출 문제를 심각하게 생각하고 있는 것이다. 단지 걱정해도 대책이 없기 때문에 입을 닫고 있을 뿐이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긴급진단] Part1_ 일본에서는 무슨 일이?[긴급진단] Part2_ 물고기, 방사능, 그리고 ... ...
- “고귀마를 조선 팔도에 퍼뜨려라”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쇼칸이 고구마를 식량사정이 어려운 류큐 지방에서 재배하면 좋겠다고 판단하고 수입을 했다. 1612년 류큐에서 널리 재배되고 있던 고구마는 규수 사츠마 지방으로 퍼져나갔다. 일본에서는 고구마를 지금도 ‘사츠마이모’로 부른다.이후 규수 가고시마에서 널리 재배되어 나가사키로 전해지고 ... ...
- [긴급진단] Part2_ 물고기, 방사능, 그리고 거짓말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전문가들은 “주변국인 우리나라가 좀 더 능동적으로 원전 문제에 개입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강윤재 교수는 “최인접국으로서 우리 정부는 일본을 면밀히 감시해야 하며, 몰랐다는 것이 국민에게 면죄부가 되지 않는다는 걸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 ...
- 소지섭은 난독증일까과학동아 l2013년 10호
- 을 더 쓰게 되는 것 같다”고 설명했다. 하전두이랑의 도움으로 난독증인 사람도 입과 혀, 성대로 그 단어를 물리적으로 구성해 느리지만 글씨를 읽을 수는 있다.난독증이 없는 사람들이 글자를 읽을 수 있는 까닭은 글자를 구성하는 음소를 파악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곰’이라는 말을 ... ...
이전10310410510610710810911011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