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울나라
대한민국
모국
국내
스페셜
"
우리나라
"(으)로 총 1,084건 검색되었습니다.
“국회에 생명공학자 의견 수렴할 의원모임 만들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9.29
개혁이 일어나도 과학기술정책만큼은 항상 안정적으로 기획되고, 또 추진됩니다.
우리나라
에도 그런 위원회가 꼭 필요합니다. 생명공학분야는 특히 더 그렇습니다. 기다림의 학문이니까요.” 생명공학은 선택과 집중 필요한 학문… 첨복단지는 유감 이 의원은 많은 연구개발 분야 중 어떤 분야를 ... ...
“한국을 역분화 줄기세포 중심으로”
동아사이언스
l
2009.09.14
활용할 수 잇어 잠재성이 매우 크다. 한 교수는 “다양한 줄기세포 연구가 있지만, 우선
우리나라
가 집중해야 할 연구가 바로 ‘역분화줄기세포 연구’라고 지적했다. 그는 “앞으로 역분화줄기세포가 생명공학 연구개발 등 기초연구 뿐 아니라 산업 분야에서 기폭제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며 ... ...
“신약개발에 1조원 든다는 얘기는 과장”
동아사이언스
l
2009.09.12
미국이나 유럽 벤처들의 전략인데, 그들의 전문성과 인프라가 좋아서 가능한 것이다.
우리나라
회사가 외국시장을 대상으로 희귀질환 치료제를 개발한다면 대부분의 경우 외국회사와 함께 가야하는데 이 때 서로 남는 게 적을 수도 있다. 다른 방법은 글로벌 제약사들이 관심이 있는 시장이 큰 ... ...
“효율적인 연구인력 관리가 성과의 지름길이죠”
동아사이언스
l
2009.08.18
5년이지만 좋은 연구성과가 있을 경우 재신청을 거쳐 계속 지원받을 수 있다.
우리나라
는 창의사업-도약사업-국가과학자 등 지원사업의 형태가 달라 매번 사업신청에 따른 연구자의 부담이 클 수밖에 없다. 정책적 문제로 과학 연구의 지속성 유지에 큰 어려움을 가져오는 것이다. “연구자에게 ... ...
0원하던 기술이전료 100억 만든 사나이
동아사이언스
l
2009.07.28
걸 하자는게 아니지요. 모두 함께 조금씩만 노력하면 됩니다. 그런 노력들이 모여
우리나라
바이오 연구개발사업의 수익구조를 바꿀 수 있다고 자신합니다 ... ...
“의사-과학자 공동연구센터 구축하자”
동아사이언스
l
2009.06.09
개발할 예정이다. 또 상호 교류를 위한 공동연구센터 구축 등도 검토하고 있다.
우리나라
의 강점인 한의학 분야를 연결하는 방법도 고려해서, 단기․중장기적 계획수립을 통해 지원을 강화하도록 하겠다. 좌담회를 마치고 기념사진 촬영시간을 가졌다.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enhanced@donga.com ... ...
“신약개발, 전략적 사고 가지고 끈질기게 접근해라”
동아사이언스
l
2009.06.02
연구원에 대한 처우와 직위문제에 대한 개선 역시 중요한 문제이다. ▽박 국장=과거
우리나라
의 출연연이 만들어 질 때와 지금은 시대상황이 다르다. 현재 출연연은 재창업 시기라고 볼 수 있다. 역할에 대한 재 정의가 필요한 것이 사실이다. 특성화를 통해 세부 분야 전문화를 꾀하고, 대학과 ... ...
“미국에 바이오 정책센터 만들어라”
동아사이언스
l
2009.05.21
” (다국적제약기업 엠젠 소속 한인 과학자) 미국에 거주하고 있는 한국인 과학자들이
우리나라
의 생명과학 사업화를 위한 조언을 던졌다. 신영근 베이커스 회장이 한인 생명공학자 네트워크 활성화를 위해 발표하고 있다.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 enhanced@donga.com18일 오후(현지시각) 미국 서부 ... ...
“한국에 바이오 기회 많다”
동아사이언스
l
2009.05.19
하고 있지만, 융복합 연구에도 많은 관심을 기울여 달라”고 요청했다. 그는 “현재
우리나라
정부는 생명공학을 중심으로 한 융복합 연구를 집중 지원할 생각”이라며 “한국 정부의 정책을 이해하는 것은 해외에서 연구활동을 하는 여러분들에게도 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국 ... ...
“바이오 전담 부처와 장관 있어야”
동아사이언스
l
2009.04.14
밝히고 “인력 양성과 산업체가 같이 가야 상호 발전이 가능하다”고 했다. 이어 그는 “
우리나라
가 IT 강국이 될 수 있었던 것은 정보통신부 있었기에 가능했던 것”이라며 “BT 분야의 발전을 위해 생명공학전담 부서와 장관이 있어야 한다”고 제안했다. BT 분야의 성과는 15년 이상의 연구개발이 ... ...
이전
104
105
106
107
108
109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