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 현장 교육기사 l20250628
- 토종 거북종이 2종 있는데요. 2종 중 자라가 토착종이라고 했는데, 왜 외래거북종이냐고 생각하실 수 있습니다. 이 자라 중 또 우리나라 토착종과 중국에서온 중국자라가 있기때문입니다. 출처:화살표 양서파충류 도감-자연과생태 (좌:자라/우:중국자라 자라와 중국자라 차이점은 자라는 등갑이 뒤로 갈수록 넓어지고, 배갑은 연한 노란색을 띱니다. 중국자 ...
- 누리호의 어머니, 한국항공우주연구원기사 l20250626
- 없었겠죠. 진화는 점점 나아지는 것을 말합니다. 피츄가 피카츄가 되고, 피카츄가 라이츄가 되는 것처럼요. 최초로 만든 로켓은 우리나라의 과학로켓 1호처럼 작았습니다. "우리는 항상 꿈을 가지고 나아가야 한다"라고 연구원 님께서 말씀해 주셨습니다. 출처: SKRABEK 이렇게 모든 일정은 끝났습니다. 정말 짧지만 뜻깊은 시간이었습니다. 이 ...
- 2025년, 남한vs북한 군사력 비교기사 l20250625
- 대표되는 비대칭 전력입니다. 북한은 낮은 수준의 경제력에도 불구하고, 세계에서 몇 안 되는 핵보유국이 되었습니다. 그리하여 우리나라는 한국형 3축 체계로, 북한이 비대칭전력을 사용하기 전 제거할 계획입니다. ...
- 항우연에 대해 소개하겠습니다!기사 l20250621
- 추가로 그곳은 추워서 얼음이 있을 수 있다는 가설도 존재한다고합니다. 우리나라는 위성을 쏠 수 있는 7번째 나라입니다. 우리는 우리나라의 우주에 대해 연구하시는 연구원 분들께 감사해야 합니다. 이상입니다. ... ...
- [우주기자단] 기사 l20250621
- NASA와 함께 개발했는데, 한국에 돌아와서 그 기술을 그대로 바탕으로 한 다른 아리랑 1호를 만들어 총 2개의 위성을 만들었기 때문에, 우리나라가 만든 위성은 쏘아올리고, 그것이 실패한 경우 NASA와 협력해서 만든 인공위성을 쏘아올리자는 계획이었다고 합니다. 하지만 아리랑 1호 첫 발사 때 성공을 하여, NASA와 만든 발사체가 아직 남아있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