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이과학동아
- 한국과학기술원(KAIST)에서 만난 대한민국 인공위성기사 l20250806
- 점점 발전할 수 있습니다. 현재 화성에 인공위성을 보낸 나라는 미국, 인도, 유럽우주국, 아랍에미리트, 중국이지만, 언젠가 대한민국의 국기가 새겨진 인공위성이 화성 주변을 공전하는 그 날도 기대해 봅니다. 우리도 할 수 있습니다! 설명을 듣던 중 잠깐! 오싹한 사실이 하나 있습니다! 과학기술위성은 총 3개의 위성이 우주로 날아가려고 시도를 ...
- 대한민국 우주 도전의 시작, KAIST 인공위성 연구소기사 l20250806
- 위치도 감지합니다. 여섯째, 단열재. 단열재는 카메라를 보호해 줌으로서 카메라의 변형을 막습니다. 전시실로 이동한 다음에는 역대 대한민국 인공위성 일부를 찾아보았습니다. 처음으로 발사시킨 위성인 우리별 1호는 외국산 재료와 부품을 썼는데 우리별 2호는 더 나아가 재료와 부품을 국산화했습니다. 우리별 3호도 더욱 발전하여 우리별 1, 2호보다 ...
- [우주기자단] KAIST 인공위성연구소에서의 놀라운 하루기사 l20250804
- 사진으로 보실 수 있습니다. < 사진 4. 1층에 비치되어 있던 SaTRec 안내서 속의 카이스트 인공위성연구소 연혁 > 우리별 인공위성은 대한민국 최초의 인공위성인데요. 그 중 우리별 3호가 특별히도 유명했답니다. 그 이유는, 국가적으로 겨우 3번째로 만든 인공위성임에도 불구하고 아주 좋은 고화질 카메라를 싣고 갔기 때문입니다. ‘3번째인데 ...
- 대한민국을 우주와 연결하다, KAIST 인공위성 연구소!기사 l20250802
- 안녕하세요? 차지환 기자입니다. 여러분은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위성 우리별 1호를 아시나요? 우리별 1호는 우리나라 최초의 인공위성으로, 1989년부터 3년간 영국 써리대학과의 위성개발 및 인력양성을 위한 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개발되였습니다. 2004년에 통신이 끊겼지만, 지금도 자랑스럽게 우주에 떠있습니다. 그런데, 이 우리별 1호를 만든 곳은 어디일까요? ...
- 오랜만에 그림 (+취향릭 한분 받음)포스팅 l20250728
- 아니었다. Ai의 발달로 인해 인류는 게을러졌고, 그 결과 그들은 의식하지 못한 채 ai의 지배 하에 살아가게 된다. 그러던 도중 대한민국의 비밀연구소 팀장, ‘천재’ 권유하는 세계최초로 감정을 사용할수 있는 최고의 인공지능-이자 ‘신’인 ‘장미’를 개발하였다. 영악하기 짝이 없었던 장미는 게을러진 인간들을 꼬드겨 기후변화로 인해 황폐화 된 지 ...
어린이과학동아 더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