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뉴스
"
두께
"(으)로 총 1,190건 검색되었습니다.
태양전지, 제조원가 절반으로 낮췄다
2014.10.06
끝내는 기술을 추가로 개발해 공정 과정을 대폭 줄였다. 연구팀은 앞으로 기판의
두께
를 50㎛까지 줄이고 태양전지의 에너지 효율을 지금의 18.5%에서 20% 이상으로 끌어올려 세계적 수준으로 높일 계획이다. 송 연구원은 “이번 연구성과는 우리나라가 태양광전지 시장에서 선발주자로 거듭날 수 ... ...
그래핀으로 DNA 염기서열도 분석한다고?
2014.09.11
교수 - 서울시립대 제공 그래핀은 탄소 원자가 벌집 모양으로 배열된 얇은 막으로,
두께
가 탄소 원자 하나에 불과하지만 강도가 세고 전기가 잘 통하는 점 때문에 ‘꿈의 신소재’로 불린다. 연구진은 그래핀에 작은 구멍을 뚫고 여기에 DNA나 단백질 같은 생체 분자를 통과시키면 해당 분자가 ... ...
전자섬유, 세탁기 넣고 돌려도 OK
2014.09.05
세척하는 과정에서 쉽게 망가지는 단점이 있었다. 연구진은 전자센서를 0.005mm
두께
로 매우 얇게 만든 뒤 잘 늘어나는 천에 인쇄하는 방식으로 전자섬유 센서를 개발했다. 천에는 접착이 가능한 재료로 코팅을 해둬 어디든 쉽게 붙였다 뗄 수 있었다. 이 전자섬유는 피부에서 오래 붙이고 있어도 ... ...
[표지로 읽는 과학] 이해력 떨어지는 건 ‘내 탓’ 아닌 ‘뇌 탓’
2014.08.31
우주를 관측하는 효과를 내는 것으로, 뉴욕에서 로스엔젤레스에 있는 25센트 동전의
두께
까지 구분할 수 있는 정밀도를 자랑한다. 연구팀이 이 시스템으로 1년 반 동안 플레이아데스 성단을 관찰한 결과 지구가 공전하면서 생기는 차이까지 고려해 플레이아데스 성단까지 정확한 거리가 44 ... ...
원자력발전소에 어린이 기자가 떴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4.08.28
120cm
두께
의 철근콘크리트 외벽 모형을 직접 눈으로 보고 철근을 손에 쥐어보면서 엄청난
두께
와 견고함을 체감했다. 월성원자력발전소 안에 있는 양식장. 월성원자력발전소 안에 있는 독특한 양식장에도 가보았다. 발전기를 돌리고 배출되는 뜨거운 증기를 식히는 과정에서 생긴 7~8℃의 ... ...
반도체
두께
가 겨우 원자 몇 개?
2014.08.24
그치지 않고 전이금속 칼코겐 화합물 대신 단원자층 그래핀을 이용해 소자 전체의
두께
를 원자 몇 개 수준으로 줄이는 데도 성공했다. 이 교수는 “이번 향후 초고속‧고효율 광전자소자 개발 및 신개념 투명 유연소자 응용 연구에 초석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이번 연구성과는 ... ...
우리가 작아진다면?
수학동아
l
2014.08.12
유지하기 위해서는 음식을 먹어 열량을 높이는 방법이 있다. 그러나 작은 동물일수록 몸
두께
가 얇아 금방 몸이 식어버리기 때문에 발산되는 열의 양이 많다. 따라서 더 많은 음식을 먹어야 한다. 덩치가 작아지면 우선 큰 생명체의 먹잇감이 되기 쉽다. 또한 앞서 언급한 것처럼 체온 발산이 ... ...
구닥다리 생산기계에 전자칩 꽂아 스마트 기계로
과학동아
l
2014.07.29
연구팀은 무인 가공공정을 최적화하기 위해 가공물의 가로, 세로 크기뿐만 아니라
두께
를 자율인식 하는 기능을 탑재했다. 또 열이나 진동으로 인한 변형을 동적으로 예측하고 보정할 수 있는 수치제어기(CNC)를 지능화시켜 자동으로 원하는 크기로 물건을 깎을 수 있도록 했다. 여기에 ... ...
OLED TV, 값싸게 대량생산 가능해졌다
과학동아
l
2014.07.28
뒤를 있는 차세대 디스플레이 소재다. 뒤에서 빛을 비춰주는 백라이트가 필요 없어
두께
가 수 밀리미터(mm) 수준으로 얇고, 자유롭게 휘어지며 화질도 훨씬 또렷하다. 이미 상용화에 성공해 시장에서 판매도 시작했지만 대당 1000만 원이 넘는 높은 가격이 대중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연구팀은 ... ...
이런 게 ‘일석이조 다이오드’
과학동아
l
2014.07.16
다이오드를 새롭게 개발했다. RGO는 여러 겹의 탄소 원자층에 산소가 일부 결합된 구조로
두께
가 3~5nm(나노미터, 1nm는 10억분의 1m)에 불과한 물질이다. 연구진이 이번에 개발한 다이오드에 전압을 걸었더니 1~4V의 전압에서는 전류가 일정하게 유지되는 현상이 나타났다. 이유를 분석한 결과 RGO의 ... ...
이전
105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