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굵기
층
겹
굵음
두꺼움
밀집
뉴스
"
두께
"(으)로 총 1,190건 검색되었습니다.
압전소자 하나로 LED 105개 동시에 번쩍
과학동아
l
2014.05.15
‘티탄산납(PbTiO3)’이라는 신물질을 800도 정도의 고온으로 구워 머리카락 100분의 1 정도
두께
로 얇게 가공했다. 그 다음 정밀한 레이저광선을 이용해 이를 전자기판에 가공해 붙여 새로운 압전소자를 만들었다. 가로 세로 2㎝크기로 만들어진 이 압전소자는 단순히 구부리기만 해도 25 ... ...
차세대 구동장치 ‘인공근육’ 개발됐다
과학동아
l
2014.05.09
특수 처리한 그래핀을 쌓아 종잇장처럼 얇은 5㎛(마이크로미터·1㎛는 100만분의 1미터)
두께
의 전극을 만들어 인공근육으로 활용한 것이다. 실험 결과 그래핀 인공근육은 6시간 동안 성능이 일정하게 유지됐다. 오 교수는 “그래핀 인공근육을 이용해 로봇이나 장애인용 보조기구에 쓸 수 있는 ... ...
반도체 공정 ‘10나노’ 장벽 무너지나
과학동아
l
2014.04.30
현상과 원자를 층층이 쌓는 ‘원자층증착법’을 융합했다. 산화알루미늄을 5nm
두께
로 쌓은 뒤 불필요한 부분을 제거해 5nm 간격의 초미세 패턴을 만들었다. 이렇게 만든 패턴을 ‘마스크’라 부르는 형틀을 이용해 기판 위에 똑같은 패턴을 만드는 데 성공했다. 이번에 개발한 기술을 실제 ... ...
울릉도, 살아 있네 살아 있어~
과학동아
l
2014.04.25
교수와 김기범 서울대 지구환경과학부 연구원은 울릉도 중심에 있는 나리분지에서 60m
두께
의 화산재 층을 분석해 그 결과를 과학동아 5월호에 단독 공개했다. 연구팀에 따르면 울릉도는 1만9000년 전 이후 다섯 번의 크고 작은 화산 폭발을 겪었다. 울릉도에서 최근 2만년 동안의 화산 기록을 ... ...
‘누드’ 노트북에 쓰일 ‘누드’ 메모리소자 탄생
과학동아
l
2014.04.23
여러 가지 정보를 저장하는 기술을 확보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다. 연구팀은 막의
두께
가 원자 한 개 정도에 불과해 투명도가 높은 RGO를 메모리소자 개발에 활용했다. 이 물질은 화학적 처리를 거쳐 산소 대부분을 제거했기 때문에 저항이 낮아 다른 물질처럼 초기에 전압을 흘려서 저항을 ... ...
와이퍼 없는 자동차 유리 ‘실용화’ 성큼
과학동아
l
2014.04.20
이산화티타늄의 표면변화를 정밀하게 측정했다. 그 결과 환경에 따라 흡착물층의
두께
가 수시로 변한다는 사실도 밝혀냈다. 흡착물층은 가장 얇을 때 4~5nm(나노미터·1nm은 10억분의 1m) 정도였지만 주변이 더 밝을수록, 또 습도가 더 높을수록 흡착물층 역시 두꺼워져 최대 200nm까지 늘어났다. ... ...
거미줄처럼 쭉~쭉~ 신기한 단백질 필름
과학동아
l
2014.04.15
유연하면서 외부 충격에도 잘 버틴다는 장점이 있다. 연구진은 여러 겹을 쌓아 수십 nm
두께
에 가로세포 10cm로 넓게 만드는 데도 성공했다. 이 교수는 “생체 물질인 단백질 성분으로 얇으면서 잘 늘어나는 필름을 넓게 만드는 기술은 우리가 처음”이라며 “몸이나 피부에 붙이는 바이오ㆍ의료 ... ...
차세대 메모리 소자 '얇게 더 얇게'
과학동아
l
2014.04.08
성능을 더 향상시킬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조 교수는 “나노미터 수준에서
두께
에 따라 원하는 메모리 성능을 낼 수 있다는 점에서 나노전자 소자의 메모리칩으로 활용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 연구결과는 미국화학회가 발간하는 나노재료 분야 전문지 ‘ACS 나노’ 3월 25일자에 ... ...
적외선 렌즈, 뭘로 만들면 좋을까요?
과학동아
l
2014.04.07
손쉽게 모양을 바꿀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물질을 0.001~0.2mm
두께
로 얇게 편 뒤 렌즈 모양으로 만들었더니 굴절률과 투과율이 뛰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진이 개발한 적외선 렌즈를 이용하면 기존 플라스틱 렌즈로 찍은 영상(왼쪽)보다 훨씬 선명한 영상을 얻을 수 있다. - 서울대 제공 ... ...
바이러스로 정수기 필터 만들었다
과학동아
l
2014.04.06
바이러스들을 한 층은 가로로, 그 위층은 세로로 번갈아 쌓는 작업을 반복했고, 그 결과
두께
가 10~30nm(나노미터, 1nm는 10억 분의 1m)그물망 구조의 분리막을 얻었다. M13 바이러스로 만든 분리막(초록색)을 수면 위에 띄워 놓은 모습. - 유필진 성균관대 교수 제공 연구진이 이 분리막을 시험한 결과 ... ...
이전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다음
공지사항